항목 ID | GC05701563 |
---|---|
한자 | 山仰書院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면 아산1길 72-113[아산리 121-2] |
시대 | 근대/근대 |
집필자 | 송석기 |
건립 시기/일시 | 1908년![]() |
---|---|
건립 시기/일시 | 1876년 - 낙영당 건립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22년 - 산앙사 재건립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08년 - 낙영당 중건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31년 - 낙영당 중수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05년 - 송병선 자결 |
현 소재지 | 산앙서원 -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면 아산 1길 72-113
![]() |
성격 | 서원 |
양식 | 산앙사 : 장여 수장 3량가 맞배 기와집 |
정면 칸수 | 산앙사 : 1칸 |
측면 칸수 | 산앙사 : 1칸 |
소유자 | 산앙서원 |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면 아산리에 있는 송병선을 배향한 근대기 서원.
산앙서원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이며 1905년 을사 늑약에 항거했던 연재 송병선 을 배향한 산앙사와 송병선이 후학을 교육하던 낙영당으로 구성된 근대기 서원이다.
산앙서원은 국도 27호선을 타고가다 와동 교차로에서 남쪽으로 아산 1길을 거쳐 동쪽으로 산남길을 따라 고봉산을 올라가면 정상 가까이에서 낙영당 인근에 위치해 있다.
산앙사와 낙영당은 각각 1908년과 1876년에 처음 건립되었다. 이후 산앙사는 1922년 재건립되었고 낙영당은 1908년 중건되고 1931년 중수되었다.
산앙서원의 산앙사는 정면 1칸, 측면 1칸 건물로 낮은 자연석 기단 위에 원형 주초를 놓고 민흘림 원기둥을 세운 후 장여 수장에 홑처마 맞배지붕을 올렸다. 목조 가구는 3량가이다. 정면에는 사분합 굽널 띠살문을 달았다.
산앙서원은 고봉산 정상 인근의 서쪽 편에 자리잡고 있으며, 송병선을 제향하는 산앙사(山仰祠)와 강당 역할을 하는 낙영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낙영당은 고봉산 정상 가까이의 언덕 위에 남서향하여 자리잡고 있고, 그 북서쪽으로 가파른 계단 위쪽으로 산앙사가 남동향하여 자리 잡고 있다. 낙영당은 2005년부터 대한 불교 조계종에 소속된 사찰로 사용되고 있다.
산앙서원은 근대기에 건립된 서원으로 조선 말기의 유학자인 연재 송병선을 배향하고 있다. 이곳에서 후학을 교육하였던 송병선은 1905년 을사 늑약을 참지 못하고 자결한 우국지사이다. 우리나라 근대사와 밀접하게 연관된 이 지역의 유적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