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0672 |
---|---|
한자 | 樂英堂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면 아산1길 72-113[아산리 121-2]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송석기 |
건립 시기/일시 | 1876년![]() |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08년 - 낙영당 중건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31년 - 낙영당 중수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96년 - 낙영당 중수 |
현 소재지 | 낙영당 -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면 아산리 원아산 마을 121-2
![]() |
성격 | 건물 |
양식 | 장여 수장 3량가 팔작 기와집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3칸 |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면 아산리에 있는 산앙 서원의 강당.
낙영당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이며 1905년 을사늑약에 항거했던 연재 송병선이 후학을 교육하던 건축물로서, 송병선을 배향한 산앙사와 함께 산앙 서원을 구성하고 있다.
낙영당은 국도 27호선을 타고 가다 와동 교차로에서 남쪽으로 아산 1길을 거쳐 동쪽으로 산남길을 따라 고봉산을 올라가면 정상 가까이에서 산앙사 인근에 위치해 있다.
낙영당은 송병선이 1876년 최초로 건립하였다. 당호는 추경(鄒經)의 삼락중 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하는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라는 구절에서 따왔다고 한다. 1908년 중건하였고, 1931년과 1996년에 중수하였다.
낙영당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ㄱ자형 건물로 석축 기단 위에 자연석 주초를 놓고 기둥을 세운 후 장여 수장에 홑처마 팔작지붕을 올렸다. 목조 가구는 3량가이다. ㄱ자로 꺾어진 서쪽에는 툇마루가 딸린 2칸 온돌방이 있다. 동쪽에는 2칸의 대청이 있으며 그 앞에 ‘부양루(扶陽樓)’라는 편액이 붙은 1칸의 누마루가 돌출되어 있다. 건물 외부에 섀시 문을 설치하는 등의 변형을 확인할 수 있다.
낙영당은 규모가 크지 않고, 장식을 절제하여 조선 후기 유교 건축의 특성을 잘 보여주며 우리나라 근대사와 밀접하게 연관된 이 지역의 유적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