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701660
한자 音樂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군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유미

[정의]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주로 목소리나 악기를 통하여 음(音)으로 나타내는 소리 예술.

[개설]

음악은 형식미와 감정 표현을 위해 성악과 기악을 결합한 예술이다. 서양 음악의 경우 리듬·선율·화성이 주요 요소이며, 이외에 음조·음색·기악 편성법 등이 포함된다.

음악은 민족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모든 인간 사회에 스며들어 있는 예술로 의식, 예배, 의사소통, 오락 등과 같은 사회의 다양한 목적에 사용된다. 따라서 음악에는 각 민족별, 시대별로 다양한 철학과 문화를 담고 있다. 따라서 전라북도 군산시의 음악도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띤다.

[광복 이후]

군산 지역은 해방이 되면서 지역 음악인들의 움직임이 시작되었고, 6·25 전쟁을 거친 후 군산 사범 학교가 설립되면서 지역 출신의 이길환[피아노], 최동규[성악]를 비롯하여 이동범[성악, 고창 출신], 김순재[작곡, 인천 출신] 등과 당시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교사 1세대로 볼 수 있는 양윤식[성악], 박판길[작곡], 차진선[성악], 지영숙[성악], 천길량[성악, 전주 거주], 정회갑[작곡, 익산 거주] 등이 음악적인 토양을 만들기 시작했다.

해방 이후 최초의 음악회는 지영숙의 독창회였고, 장소는 주로 극장이나 교회 등에서 이뤄졌다. 1960년대까지는 군산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학교와 사회의 음악 교육의 태동기여서 공연 활동은 미미하였다. 더구나 기록이 제대로 남지 않아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1970년대]

1970년대에 들어오면서 한국 음악 협회 군산 지부가 발족되었고, 군산 사범학교가 군산 교육 대학으로 바뀌면서 이동범[대전 목원 대학교], 최동규[작고], 김순재[인천 교육 대학교], 박판길[인천 교육 대학교], 정회갑, 차진선[중앙 무대 진출] 등 대부분이 군산을 떠나면서 새로운 인적 구성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군산 교육 대학으로 학제가 변경되면서 김정두[작곡] 등이 주축이 되어 관현악 음악이 태동되기 시작했다. 좀더 전문화된 교육 시스템에서 교육을 받은 이들은 후에 4년제 정규 교육과 검정고시를 통하여 대거 중등 교사로 임용되어 군산 중등 음악 교육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 이들이 구심점이 되어 팔마 음악회가 형성되었고, 이는 후에 군산 시립 교향악단을 태동시키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1970년대 군산 음악계의 중요한 사건은 1970년 1월 15일 한국 예총 군산 지부의 산하 단체로 한국 음악 협회 군산 지부가 발족된 것이다. 한국 음악 협회 군산 지부를 중심으로 군산 음악계는 중요한 전환기를 맞이한다. 이길환이 주축이 되어 음악 애호가 그룹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월요 음악회라는 애호가 단체가 발족되면서 옛 군산 경찰서 부근의 다방에서 매주 정기적으로 음악 감상회를 열었다. 이들은 후에 군산 시립 합창단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편, 교사 2세대인 김기룡·김성환·김영환·박상현·김정권[바이올린]·권춘택[성악, 익산 거주]을 비롯한 중등 교사들이 음악 협회를 구성하여 군산 음악 발전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 박상현은 피아노 교육자로서도 많은 제자를 양성했고, 김정권은 바이올린 교육자로서 후진 양성에 공헌했다.

이외에 전계익, 장계동, 양해천, 그리고 사교육자로 윤석해가 많은 활동을 하였다. 1979년 국립 군산 대학교 예술 대학 음악과가 설립되면서 군산의 음악 전문가 시대가 열리기 시작했다.

[1980년대]

1980년 군산 대학교 예술 대학 음악과를 중심으로 우수한 음악 인재들이 입학하게 되면서 1982년부터 손홍만[초등학교 교사, 월요 음악회 회장], 조시민[군산 대학교 재학생]이 중심이 되어 시립 합창단 창단을 주도하여, 1983년 전국에서 여섯 번째로 시립 합창단이 창단되었다.

이때부터 전문 음악회, 독창회 등이 개최되면서 군산 음악 문화는 본격적인 변화가 시작되었다. 1989년 군산 시민 문화 회관이 건립되면서 공연 문화가 더욱 활성화 되었고, 1980년대 후반이 되면서 대학에서 배출된 전문가들이 급격하게 늘어나 학원 음악 교육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1980년대에는 기존 음악인과 더불어 함태균·홍순오·조성돈·김근배·김종영·장순이·김유월·오임춘·조시민 등이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1990년대]

1990년에 조성돈[당시 군산 예총 부회장, 중앙 여자 고등학교 교사], 김종영[당시 군산 여자 고등학교 교사]가 주축이 되어 군산 시립 교향악단이 창단되었다. 군산 시립 교향악단의 창단은 소도시인 군산의 여건에서 볼 때 큰 쾌거였고, 전국적으로도 매우 앞선 일이었다.

1990년대에는 실내악 운동도 일어나서 최필동을 중심으로 금관 앙상블인 하나로 앙상블이 활동하였다. 후반에는 김종영[당시 군산 여자 고등학교 교사]이 중심이 되어 군산 실내악단이 조직되며 다양한 음악 세계가 펼쳐졌다.

또한 여러 음악 단체의 창단과 더불어 장르의 세분화가 시작되었고, 서해 대학 음악과가 신설되어 평생 교육 개념의 음악 교육 시스템이 마련되기도 하였다.

[2000년대]

2000년대 군산의 음악은 외부 지향적으로 발돋움하였으나 도시 침체의 영향으로 어려운 상황을 맞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시민[군산 대학교 강사]이 주도한 전북 오페라단 창단을 비롯하여 김경선[군산 대학교 교수]이 주도한 군산 피아노 학회, 임옥희[군산 대학교 교수]가 중심이 된 4인의 피아노 앙상블, 박신정[군산 대학교 강사] 등이 주축이 된 전북 피아노 듀오 협회, 오임춘[군산 대학교 교수]가 주도하는 예술 가곡 연구회 등이 활동하면서 군산의 음악은 다양화·세분화되었고 전문적인 음악 문화의 시대가 열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