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1028 |
---|---|
한자 | 田相元 |
이칭/별칭 | 명국(明國),상묵(相默)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두헌 |
출생 시기/일시 | 1859년![]() |
---|---|
활동 시기/일시 | 1894년 - 전상원 생원시 급제 |
몰년 시기/일시 | 1941년![]() |
출생지 | 전상원 출생지 - 전라북도 군산시 |
거주|이주지 | 전상원 거주지 - 전라북도 군산시 |
묘소|단소 | 전상원 묘소 -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선제리
![]() |
성격 | 문인|학자 |
성별 | 남 |
본관 | 담양 |
개항기 군산[옛 옥구현] 지역 출신의 문인·학자.
전상원(田相元)은 군산 지역에 세거한 담양 전씨 참판공파·참의공파 출신으로, 1894년(고종 31) 식년시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고향에 살면서 유교 예절을 몸소 실천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선행을 많이 베풀었다. 주위에서 전상원의 공을 기리는 공적비를 세웠다.
전상원의 자(字)는 명국(明國)이며, 초휘(初諱)는 상묵(相默)이다. 담양 전씨 시조 전득시(田得時)의 28세손이고, 야은(野隱) 전록생(田祿生)의 21세손이며, 옥구 입향조 전윤평(田允平)의 16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기벽(田基闢)이고, 할아버지는 전승룡(田昇龍)이며, 아버지는 의금부 도사를 지낸 전익성(田益成)이다. 외할아버지는 문약채(文若采)[본관은 남평]이며, 장인은 임상호(任相鎬)[본관은 풍천]이다.
전상원은 1859년(철종 10)에 태어나, 1941년에 사망하였다. 1894년(고종 31) 식년시 생원시에 응시하여 3등 46위[합격자 총 278명 중 76등]로 합격하였다. 1894년(고종 31) 식년시 사마방목인 『상지즉조 삼십이년 갑오식년 사마방목(上之卽祚三十二年甲午式年司馬榜目)』에는 전상원의 거주지가 옥구(沃溝), 부모는 구경하(具慶下)[응시 당시 부모가 모두 생존하였다.], 전자(前資)는 유학(幼學), 아버지는 통사랑 의금부 행 도사(通仕郞義禁府行都事) 익성, 형제는 상식(相式)과 상손(相遜)으로 각각 수록되어 있다.
전상원의 과거 급제 교지가 현재까지 전하는데, 1990년에 발간된 『옥구군지(沃溝郡誌)』에 다음과 같이 수록되어 있다
교지(敎旨) / 유학전상원생원삼등(幼學田相元生員三等) / 제사십육인입격자(第四十六人入格者) / 광서이십년사월일-과거지보(光緖二十年四月日-科擧之寶) 방(方)10㎝ 일개(一個).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의 문인으로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 간에 우애가 깊었으며, 베풀기를 좋아하여 빈궁한 사람들을 많이 구휼하고 지나가는 걸인들에게도 도움을 주니, 주위에서 전상원의 효행 및 덕행을 칭송하는 비석을 세웠다.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선제리 여기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