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논 한 마지기에 대한 품값으로 미리 쌀을 빌려다 먹고 나중에 품으로 갚는 농사 관행. 고지는 논 한 마지기[지역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략 660㎡에 해당함]에 대한 품삯을 미리 쌀로 받고 나중에 모내기부터 김매기까지 농사일을 해 주는 노동력 교환 관행이다. 주로 가난한 농민이 농번기에 이르기 전에 식량을 변통하는 수단으로 고지를 사용하며, 이를 “고지를...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에서 해마다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곤향산 산신제는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의 포사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정월대보름에 마을 주산인 곤향산 중턱의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포사마을에서 매년 산신제를 지내면서 제수 비용으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장부. 「곤향산 산신제 장기(崑香山 山神祭 帳記)」는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의 포사마을에서 산신제를 지내면서 제물 구입에 지출한 비용과 방매(放賣)한 내역을 기록한 마을 문서이다. 최초의 기록은 확인할 수 없고, 19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장부가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에서 해마다 사월 초파일 무렵에 행하던 관등놀이. 규암나루 관등놀이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에 있는 규암나루에서 음력 4월 8일을 기점으로 규암시장과 규암나루의 부흥을 도모할 목적으로 해마다 베풀었던 민속 행사이다. 규암 지역을 대표하는 보기 드문 지역축제였으나, 1930년대 말 중일전쟁이 일어나면서 일제에 의하여 강제로 중단된 뒤로 더는 열리지...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에서 마을의 운영과 화합을 도모하고자 조직한 대동회의 자치 규약.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는 백마강 기슭의 자온대(自溫臺) 근처에 있는 마을로서 부여읍과 규암면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다. 규암리는 조선 후기 나루터와 규암장을 배경으로 인근에서 가장 번성한 시장촌으로 성장하였으며, 마을이 생겨난 이래로 대동회를 구성하여 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아동들이 문제에 따라 술래를 골리거나 약속된 동작을 취하는 놀이.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놀이하는 기름찍고빵은 마당이나 공터에서 즐겨 행하는 아동들의 동작 놀이다. 가위바위보로 술래가 정하여지면 일등을 한 아이가 놀이를 주도하는데, 이때 일등이 내는 동작과 문제는 약 30여 가지에 이를 정도로 다양하다. 놀이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부여읍...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아동들이 깡통을 매개로 하는 술래잡기 놀이.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놀이하는 깡통차기는 술래잡기의 일종이다. 전국에 분포하는 깡통차기는 일정 공간에서 술래가 깡통을 차서 사람을 맞히는 놀이, 깡통을 공으로 사용하여 문에 차 넣는 놀이, 깡통을 차고 나서 술래잡기를 하는 놀이 등으로 나뉜다. 부여 지역의 깡통차기는 술래잡기 방식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마을 구성원 모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우물. 마을의 공동 우물을 일컫는 대동 샘은 마을의 형성과 함께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수도가 설치되기 이전의 전통사회에서 대동 샘은 마을의 식수원으로서 식생활의 근간이 되는 공간이었으므로, 주민의 생존과 직결되는 마을의 필수 조건이었다. 그래서 마을 주민들이 항상 함께 정성 들여 대동 샘을 관리하며 해마다 주로 정월 초...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마을의 운영과 화합을 도모하고자 조직한 계. 인간은 태어나면서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서로 어울려 살아가는 모듬살이를 한다. 마을은 모듬살이의 출발점이다. 하나의 마을 공동체에는 모듬살이를 영위하는 과정에서 성립된 여러 조직이 중층적으로 기능하고 있다. 특히 동계 또는 대동계는 모듬살이의 상징적인 조직이다. 동계·대동계는 조선 후기 활성화된 촌락민 조직인 촌계...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마을의 관혼상제 및 공동생활을 위하여 갖춘 마을 공동 비품. 동물(洞物)은 ‘동네 물건’이라는 뜻으로, 애경사와 공동생활에 필요하여 마을에서 구비한 각종 공동 비품을 말한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동물은 마을별로 마을회관에 보관하거나 따로 동물 창고를 갖추어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논매기를 목적으로 조직한 마을 단위의 공동 노동 조직. 두레는 전통사회에서 농민들이 농번기에 공동으로 농사일을 하고자 만든 마을 단위의 조직이다. 두레의 역사는 17~18세기 새로운 농법으로 뿌리를 내린 이앙법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 이앙법이 논농사에 자리 잡으면서 노동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할 필요가 발생하였고, 이러한 필요성 때문에 공동 노동 조직으로 두레가...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청장년들이 힘자랑 또는 내기를 위하여 들돌을 들던 놀이. 들돌은 '드는 돌'이라는 뜻이다. 주로 정월대보름, 백중, 추석 등의 명절이 되면 청장년들은 들돌을 들어 가슴팍까지 올리거나 자기 어깨 너머로 넘기는 등 힘을 겨루었고, 이렇게 노는 것을 ‘들돌놀이’, ‘들돌들기’라고 칭하였다. 많은 지역에서는 들돌을 들어야 한 사람치의 성인 노동력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특정 장소에 어울리는 물건이나 사물을 노래하는 어린이들의 놀이.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놀이하는 럭키세븐은 주로 초등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들이 즐겨하는 놀이이다. 남녀가 함께하기도 하지만 주로 여자아이들 사이에서 널리 행한다. 특정 장소를 지정하면 한 사람씩 돌아가며 장소에 어울리는 물건이나 사물을 노래한다. 만약 자기 순서에 엉뚱한 물건을 대거나 말문이 막히...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마을의 공공 행사와 각종 활동을 목적으로 지은 건물. 마을회관은 마을 일로 회의를 하거나 각종 활동을 할 때 마을 사람들이 모이는 공공건물이다. 충청남도 부여군의 마을회관은 행정리 단위로 건립되는 것이 보통이다. 다만 사람 사는 집마다 거리가 제법 떨어진 마을의 경우 생활 문화를 공유하는 자연 마을별로 세우기도 한다. 마을회관의 전신은 일제 강점기에 관 주도...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백마강으로 회유하는 위어를 잡아서 먹는 회. 백마강은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기수역(汽水域)이다. 해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생태 환경의 특성상 어족 자원이 풍부한 내수면 어업의 보고였다. 조선 시대 각종 읍지와 지리지에 기록된 백마강의 대표적인 어종은 위어(葦魚)를 비롯한 숭어[秀魚]·붕어[鯽魚]·잉어[鯉魚]·뱅어[白魚]·농어[鱸魚]·참게[蟹] 등이다. 백마강...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연잎을 넣어 빚은 전통술. 연엽주는 술에 첨가하는 다양한 가향재(加香材) 중에서 연잎을 넣어 주조한 계절주이다. 백제연엽주(百濟蓮葉酒)는 전통 주조법에 따라 충청남도 부여에서 생산한 연잎과 쌀, 누룩을 첨가하여 빚은 청주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에서 해마다 음력 2월에 전쟁에서 사망한 원혼을 위로하고자 지내는 별신제. 별신제[별신굿]는 2~3년 혹은 10년 주기로 개최하는 ‘대제(大祭)’나 ‘큰굿’을 일컫는다. 마을에서 따라서는 필요할 때 특별히 지내는 제사를 의미하기도 한다. 주로 동해안과 남해안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서해안 및 내륙 지역은 매우 희소한 편이다. 충청남도에서는 부여군...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밤 재배. 부여군은 한국의 대표적인 밤 주산지이다. 한때는 이웃한 공주 밤의 유명세에 밀려 존재감이 미미하였지만, 2022년 현재 재배 면적 6,802㏊, 재배 농가 수 2,666호, 연간 생산량 1만 3000여 톤으로 전국에서 부동의 1위이다. 전국 밤 생산량의 24%를 차지하는 최대 밤 생산지이다. 부여군의 전체 산림 면적 3만 1964㏊...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반교리에 있는 민가와 경작지를 두른 담장. 부여 반교마을 옛 담장은 민가와 경작지를 두른 담장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반교리에 있다. 2006년 12월 4일 국가등록문화재 제28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충청우도 저산팔구 상무사에서 전승되던 보부상 공문제를 중심으로 복원한 전통 놀이. 충청남도 부여군의 부여 보부상놀이는 충청우도 저산팔구 상무사(忠淸右道 苧産八區 商務社)에서 전승되던 전통 놀이인 보부상놀이를 현대에 와서 복원한 것이다. 보부상은 전통사회를 대표하는 전문적인 상인으로, 특히 조선 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시장에서 생필품을...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선정한 부여를 대표하는 10가지 음식. 부여10미는 2019년 11월 3일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궁남지(宮南池)에서 ‘부여10미 사비 밥상’ 선포식을 통하여 공식화되었다. 선정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위하여 무작위 1,000여 명을 대상으로 하여 예비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2차 500여 명의 개별 면접 조사를 통하여 역사성과 대중성 및 식음 편의성, 가격...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전우치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전우치는 조선 전기 일세를 풍미한 인물 설화의 주인공이다. 전우치는 실존 인물이었지만 정사(正史)에 기록된 바가 없어 정확한 생애를 파악할 수 없다. 단지 조선 전기의 기인이자 환술가(幻術家)로 전할 뿐이다. 일설에 전우치는 송도에 살았던 선비였고, 도술(道術)을 연마한 술사로서 이단적 사상에 기울어져 반역적인 행위를...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용당리에 있는 백제 시대의 공동 우물. 부여용당리우물은 백제 시대부터 현대까지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용당4리 부두(扶頭)마을의 공동 우물로 사용되었으나 집집마다 샘을 파고 상수도가 설치되면서 우물의 기능은 소멸되었다. 2004년 4월 1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풍수상 지세의 결함을 인공적으로 보완하는 행위 또는 그 산물. 비보(裨補)의 사전적 의미는 도와서 모자란 것을 채운다는 뜻이며, 풍수상 지세의 결함을 보완한다는 인문학적 개념이다. 비보풍수(裨補風水) 개념에 따르면 인간이 땅의 정기가 모여 있는 곳를 차지하면 땅의 정기로부터 좋은 영향을 받는데, 이러한 기운은 인간에 의하여 파괴될 수도 있고 복구될 수도 있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사우에 배향된 선현을 봄가을로 기리는 제사. 사우(祠宇)는 선조나 선현의 신주, 영정을 모셔 두고 해마다 정기적으로 제사를 올리는 공간이다. 사우의 역사는 『주자가례(朱子家禮)』에서 비롯되었다. 고려 후기 주자학을 받아들인 정몽주(鄭夢周) 등의 주장으로 가묘(家廟) 제도가 성립되었고, 이후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하는 조선이 건국되면서 각 지역마다 많은 사우...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상여의 관리와 출납을 담당하는 마을의 역원. 상여장모는 충청남도 지역의 부여군·서산시·홍성군·공주시·예산군 등에서 주로 나타나는 공동체 관행으로, 마을에서 보유한 상여를 관리하고 출납하는 일을 책임지는 역원인 상여장무(喪輿掌務)가 잘못 전하여진 말이다. 부여 지역에서 언제부터 상여장모 관행을 행하기 시작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상여장모는 초상이 났을 때 상여...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머슴이 주인에게 한 해 동안 일한 대가로 받는 쌀 또는 돈.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전통 시대에는 보통 논 20마지기[약 1만 3000㎡]를 경작하면 부자 소리를 들었다. 그러한 농가는 으레 머슴을 두고 농사를 지었는데, 머슴 계약은 대략 1년 단위로 맺었다. 실제 사례를 보면 부여군 석성면의 한 마을에서는 과거 머슴을 부렸던 농가가 10여 호가 되었는데, 1...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서원에 배향된 선현에게 봄·가을로 지내는 제사. 서원(書院)은 조선 시대의 지역 교육 기관으로, 선비들이 모여 학문을 강론하거나 사당에 성현을 배향하고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서원에서는 배향된 선현들에게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면서 유교의 가치와 정치적 유산을 함께 전승하여 왔는데, 이러한 제사를 서원향사(書院享祀)라 일컬는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농삿소를 빌려 쓰고 품으로 갚는 농사 관행. 농작물의 재배는 땅을 갈고 씨를 뿌리며 비료를 주어 수확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여기서 논밭을 갈고 김을 매는 ‘갈이’는 한 해 농사의 시작이다. 갈이는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을 증진하고자 이랑과 그루 사이를 갈아엎는 작업이다. 갈이는 경작지에 따라 밭갈이와 논갈이로 크게 나뉘고, 계절에 따라서는 봄갈이, 여름...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수리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농민들의 조직.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수리계는 수리 시설의 관리를 전담하는 농민 자치 조직이다. 지역에 따라 규모가 매우 다양한데, 물을 받는 구역에 따라 인원은 10명에서 많게는 30~50명이 하나의 수리 공동체를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규모 방죽이나 저수지의 경우 수십 마을이 참여한 수리 조합도 적지 않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에서 숭어 등을 잡으려고 설치하던 전통 어로 도구. 어살은 싸리나 참대 따위를 날개 모양으로 둘러치거나 꽂아 울타리를 치고 그물이나 발을 엮거나 통발 같은 장치를 설치하여 안에 들어온 물고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잡는 전통 어로 도구, 또는 그러한 어로 방식을 말한다.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전통어로방식-어살’로 지정되어 있다.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해마다 절기에 맞추어 만들어 먹는 음식. 시절 음식은 명절이나 절기에 맞추어 따로 차려서 먹는 음식을 일컫는다. 시식(時食) 또는 절식(節食)이라고도 한다. 시절 음식은 농경·어로를 근간으로 삶을 영위하였기에 시기와 계절의 변화가 무척 중요하였던 전통 사회에서 자연환경이나 인문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여 온 식생활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막걸리나 소주 등을 제조·판매하는 공장.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예부터 집에서 빚은 술, 곧 가양주(家釀酒) 형태로 전승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인허가제가 도입되어 모든 술은 관의 허가를 받은 양조장(釀造場)에서만 제조·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양조장은 말 그대로 술을 빚어 만드는 술도가 또는 주조장을 일컫는다. 충청남도 부여군의 양조장은 1970~1980년대까지 읍...
-
조선 후기에 편찬된 『여지도서』에 실린 충청도 부여현의 읍지. 『여지도서(輿地圖書)』 부여현(扶餘縣)은 18세기 중엽 각 읍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 성책(成冊)한 『여지도서』에 수록된 충청도 부여현의 읍지이다. 『여지도서』는 270여 년 전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1486]을 기초로 하였으며, 호구(戶口)는 1759년 기묘장적(己卯帳籍)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구신리에서 논농사에 필요한 퇴비를 마련하고자 마을 자치로 풀을 채취하던 관행. 동산(洞山)은 동네논과 더불어 생활 문화를 공유하는 마을의 공동 재산이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흔히 ‘동유림(洞有林)’ 또는 ‘동네 산’이라 한다. 지난날 동산은 촌락 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무엇보다 마을의 구성원들에게 농사에 필요한 퇴비와 안정적인 땔감의 제...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공동으로 일을 맡아 품을 파는 놉.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10명 정도의 품이 필요한 작업량이나 면적의 농사일을 5~6명이 정해진 품값에 맡아 공동으로 수행하기도 하는데, 이를 ‘웃개’준다.' 또는 ‘웃개도리’라 한다. 웃개도리는 집중적인 노동력이 투입되는 모내기, 벼베기 등에 주로 행하여졌다. 웃개도리는 넓은 의미에서 놉의 범주에 속하되 변형된 방식의 농사...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아동들이 운동 기구인 정글짐을 이용하여 노는 놀이.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전승되는 인어공주는 아동들이 학교 운동장이나 놀이터에 설치된 운동 기구인 정글짐(jungle gym)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동작 놀이이다. 술래로 뽑힌 아이가 지시하는 동작 중에 ‘인어공주’가 있는데, 여기에서 놀이의 명칭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일대에서 아동들이 놀이판을 그려 놓고 승부를 겨루는 놀이. 임금찌까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일대에서 전승되어 오는 아동 놀이이다. 땅바닥에 놀이판을 그려서 공간을 구분하여 놓고 구분된 공간 안에서 납작한 돌을 한 발로 차면서 노는 사방치기의 일종이다. 놀이판의 형태가 임금의 왕관과 유사한 까닭에 ‘임금찌까’라고 불린다. 부여 지역에서는 약 30여 가지의 사...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있는 조선 전기에 마을의 허한 곳을 보완하고자 조성한 숲. 현재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는 조선 시대 충청도 임천 고을의 행정기관이 있던 곳이다. 임천 가림수(林川 嘉林藪)는 조선 전기에 고을을 설치할 때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 시대에 읍치(邑治)의 결함을 보완하려고 숲을 조성한 읍치비보(邑治裨補)의 전형을 보여 주는 사례이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아동들이 노래와 함께 자기의 이름과 동작을 소개하는 놀이.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전하여 오는 자기소개하기는 남녀 어린이들이 함께 즐기는 놀이이다. 참여자 각자가 이름과 동작을 정하고 노래를 부르며 서로 지목하며 노는 동작 놀이의 일종이다. 전국적으로 비슷한 놀이가 분포하고 있으며 어린이뿐 아니라 청소년이나 대학생이 여럿이 모여 즐기기도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날이 몹시 가물 때 비를 기원하며 시장을 옮기던 풍속. 새로 길을 내는 것을 ‘길내기’라고 하듯이, 장내기(場내기)는 새로운 장을 낸다는 뜻이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가뭄이 지속될 때 시장을 옮기는 ‘장내기’라는 주술적인 행위를 통하여 비를 기원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쌀이나 돈 등을 빌려주고 한 해 이자로 원금의 절반 이상을 받는 금리. 장리(長利)는 곡식이나 돈 등을 빌려주고, 받을 때에는 한 해 이자로 원금의 절반 이상을 받는 금리를 일컬으며, 조선 후기부터 이어져 온 전통 시대의 산물이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마을 문서에 나타난 대여 관행을 살펴보면 공동 자산을 불리고 이익를 키워 나가는 데에 일반적으로 장리가 쓰...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장벌리 마을 입구에 풍수상의 목적으로 가꾼 숲. 마을 숲은 지세의 결함을 인위적으로 보완하려는 풍수상의 조치, 곧 비보풍수(裨補風水)에 의하여 만들어진 숲이다. 탁 트인 동구 밖에 숲을 가꾸어서 수구(水口)막이로 삼거나, 마을의 허한 곳에 나무를 심은 것이 좋은 예이다. 18세기 지리서 『택리지(擇里志)』에도 “무릇 수구가 엉성하고 허술하게 비어 있으며 넓기...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포사마을에서 재첩을 채취하던 어로 관행. 재첩은 재첩과에 속하는 조개이다. 바닷가 쪽 민물, 또는 바닷물과 민물이 섞이는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데,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석성면 봉정리 포사마을이 대표적인 재첩 서식지이다. 포사마을은 백마강과 석성천이 조우하는 갯가 마을인데, ‘포사’ 또는 ‘개사리’로 불리는 지명에서 알 수 있듯이, 모래가 쌓인 개펄이라...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마을의 쉼터 역할을 하는 나무 또는 숲. 정자나무는 동네 어귀나 마을 한복판에 서 있는 오래된 나무를 말한다. 오래된 만큼 크기도 커서 가지가 많고 잎이 무성하기에 울창한 나무 그늘 아래에 사람들이 모여 놀거나 쉰다. 그야말로 정자(亭子)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정자나무는 인간과 자연이 함께하는 상징적인 경관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 두레에서 사용하던 농기. 조현리 농기는 일제 강점기에 농정 당국으로부터 받은 깃발이다.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는 홍산면에서 가장 북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일제 강점기 당시 조현리는 진흥회를 중심으로 퇴비 증산과 보리밟기 등 영농에 솔선수범하여 약 1만㎡의 땅과 농기를 받은 것으로 전한다. 그뿐 아니라 젊은이들은 근로청년단 활동에 앞장서서 다른...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에서 마을의 운영과 화합을 도모하고자 조직한 대동계의 자치 규약.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는 홍산면의 동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북쪽으로는 천보산과 월명산의 높은 고개를 뒤로하고, 마을 앞으로는 넓은 들이 펼쳐져 있다. 지역에 토착하고 있던 성씨인 경주 김씨(慶州 金氏)가 20여 호로 집성촌을 이룬다. 1930년대에는 근로청년단을 조직하여 농촌계몽...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추양리 두레에서 사용하던 농기.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추양리는 과거 두레의 공동노동과 두레풍장이 매우 성행하였던 곳이다. 추양리 농기는 논매기를 매개로 성립되었던 두레의 상징으로서 구성원들이 신성하게 받들었다. 농기를 세운다는 것은 곧 온 마을 사람들에게 두레가 났음을 고하는 동시에, 공동체의 영(令)에 따라 농사일을 한다는 의미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추양리에서 두레의 공동와 마을 행사 때 행하던 풍물놀이. 추양리 두레풍장(楸陽里 두레풍장)은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추양리에 있는 전주 이씨(全州 李氏) 집성촌인 고추골에서 전승되어 오는 풍물놀이이다. 과거 두레가 활발하였던 고추골에서는 모내기나 김매기 등 농사일을 할 때나 마을에 행사가 있을 때면 늘 풍물소리가 울려 퍼졌다고 한다. 과거 이노익·임상남·이용...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일대에서 아동들이 놀이판을 그려 놓고 하는 동작 놀이. 태극기는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일대에서 주로 초등학생들이 하는 놀이이다. 태극기 놀이는 보통 4명으로 구성된 놀이 참여자들이 땅바닥에 방패연 비슷한 모양의 놀이판을 그려 놓고 놀이한다. 놀이판의 한복판에 태극이 그려져 있어 ‘태극기’라 한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힘든 일을 서로 돕고 거들어 주며 품을 지고 갚는 관행.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품앗이는 타인에게 제공한 노동력을 품으로 되돌려 받는 교환 형식이다. 품앗이의 대상은 못자리, 모내기, 논매기, 벼 베기, 타작, 밭매기, 보리 베기, 이엉 엮기, 모시 짜기, 과일 따기 등 농사일에서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품앗이는 일가친척이나 이웃과 같이 혈연·지...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아동들이 뜀을 뛰면서 약속된 동작을 취하는 놀이.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놀이하는 한발두발은 아동들이 주로 학교 운동장이나 공터에서 행하는 동작 놀이다. 뜀을 뛰는 뜀뛰기 놀이와 술래가 내는 동작 문제를 따르는 동작 놀이가 결합되어 있다. 동작 관련 문제는 지역마다 다양하게 나타나 수십 가지에 이르는데, 여기서 아동 놀이의 창의적 특성이 잘 드러난다....
-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는 향교에서 해마다 봄가을로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 석전(釋奠)은 원래 정성스레 빚어 잘 익은 술을 받들어 올린다는 뜻이다. 유교에서 석전은 음력 2월과 8월에 문묘(文廟)에서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를 일컫는 말이며, 제사 날짜가 첫째 드는 정(丁)의 날인 상정일(上丁日)이기에 정제(丁祭) 또는 상정제(上丁祭)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석전은 크게 나누어, 성균관 대...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남촌리에 있던 홍산동헌 앞마당에서 행하던 기우제. 홍산 괘불기우제는 일제 강점기에 무량사(無量寺)에 봉안되어 있던 괘불을 홍산동헌(鴻山東軒) 앞마당에 걸어 놓고 읍민들이 합동으로 가뭄의 해소를 기원하였던 의례이다. 민관이 합동으로 기우제를 지내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괘불을 사찰 밖으로 옮겨서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는 괘불기우제는 극심한 가뭄이 아니면 좀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