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남지도』 「대구부지도」[영남대학교 박물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244
한자 嶺南地圖 大丘府地圖[嶺南大學校博物館]
영어공식명칭 Map of Daegu-bu in Yeongnamjido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영남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조영동 321]
성격 지도
권책 1책
규격 25.4×19.3㎝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영남지도』에 수록된 경상도 대구도호부의 지도.

[편찬/간행 경위]

『영남지도(嶺南地圖)』 「대구부지도(大丘府地圖)」 영조 연간에 제작된 영남대학교 박물관 소장 『영남지도』에 수록되어 있다. 『영남지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영남지도』 계열의 군현지도로 『영남지도』가 제작된 이후 필사 과정에서 모든 군현이 동일한 규격으로 편찬되었으며, 크기가 작아 휴대 및 열람하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형태/서지]

『영남지도』 「대구부지도」 의 크기는 세로 25.4㎝, 가로 19.3㎝이다. 지도 외곽에는 간지(干支)인 묘유오자(卯酉午子)를 사용하여 동서남북 방위를 표시하였고, 주기(註記)는 이면에 기록되어 있다. 『영남지도』는 1책으로 구성된 채색 필사본 지도책이다.

[구성/내용]

『영남지도』 「대구부지도」 에서 감영과 읍치는 분홍색 바탕의 적색 사각형 안에 같이 표기되어 있다. 읍치 북쪽에는 달성과 침산, 북동쪽에는 향교와 유정(柳亭), 남쪽에는 연구산·관덕당·상덕사·교장(敎場), 서쪽에는 읍북루가 위치한다.

방리는 황색 바탕의 적색 직사각형 안에 기록되어 있다. 기록된 방리는 동상면, 동중면, 동하동면, 서상면, 서중면, 서하동면, 서하하동면, 수남면, 수북면, 수동면, 수현내면, 상수서면, 하수서면, 감물천면, 화현내면, 조암면, 옥포면, 월배면, 인흥면, 성평곡면, 법화면, 각북면, 각현내면, 각초동, 각이동, 해동촌면, 해북촌면, 해서부면, 해서촌면, 하동면, 하서면, 하남면, 하북면이 있다.

산지는 연속된 줄기가 아닌 독립된 봉우리로 그려져 있다. 대구도호부의 북쪽 경계에는 팔공산, 동쪽 경계 부근에는 능성현·형제봉, 남쪽 경계 부근에는 팔조령·논공현 등이 분포한다. 그 외에 최정산, 금곡현, 마현 등이 있다. 봉수는 마천산봉대·성산봉대·법이산봉대가 있고, 봉수로는 가는 직선으로 표시하였다.

하천은 두 줄의 실선을 사용하여 청색으로 채색하였다. 대구도호부의 서쪽 경계에는 낙동강이 있고, 읍치 북쪽으로 흐르는 금호강에는 대구도호부 내에서 발원한 여러 하천들이 유입된다. 역참은 적색 바탕의 청색 직사각형을 사용하였는데, 금천역·설화역·유산역·범어역이 기재되어 있다.

사찰은 팔공산 자락에 파계사·부인사·동화사·북지장사·보재사, 대구도호부의 남쪽에 용연사·용천사·운흥사·남지장사·대산사 등이 있다. 서원은 표충서원, 남강서원, 청호서원, 연경서원, 낙빈서원, 이천서원, 구암서원 등이 기록되어 있다. 사당은 백원사, 누정은 하목당·전귀당, 창고는 수성창·해안창·강창·하빈창·풍각창·화원창 등이 표시되어 있다.

도로는 직선으로 표현하였다. 적색으로 표시한 대로는 읍치와 경산·청도·현풍·성주를 연결하고, 황색으로 표시한 중로와 청색으로 표시한 소로는 주요 방리와 사찰·봉대·서원·창고 등을 연결한다. 주기는 경도(京都)까지의 거리, 사계(四界), 방리, 학교, 단묘, 창고, 봉대, 역참, 사찰, 산천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영남지도』는 비변사에서 1리 방안을 이용하여 제작한 영남 지방의 군현지도책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영남지도』와 표현 양식과 내용이 유사하지만 방안이 없고 주기가 이면에 기재된 점 등에서 차이가 난다. 『영남지도』「대구부지도」는 주요 내용을 기호화하여 지도 제작에 정확성을 기하였다. 또한 지도와 함께 대구도호부의 지지가 수록되어 있어 18세기 대구 지역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