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306 |
---|---|
한자 | 古地圖 |
영어공식명칭 | Old Map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류명환 |
[정의]
조선시대에 경상도 대구도호부와 현풍현 지역을 그린 지도.
[개설]
대구 지역은 조선시대에 제작된 세계 지도, 조선 전도, 도별도, 군현지도, 대축척 조선 전도 등의 고지도에 빠짐없이 묘사되고 있다. 특히 18세기부터 대구도호부와 현풍현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유형의 군현지도가 편찬되었고, 19세기에는 『청구도(靑邱圖)』·『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 대축척 조선 전도와 읍지의 부도 형태로 대구 지역이 수록되어 있다. 한편 1981년 대구광역시에 편입된 구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지역은 「칠곡부지도(㓒谷府地圖)」, 구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 지역은 「하양현지도(河陽縣地圖)」, 구 경상북도 경산군 서면과 북면 지역은 「경산현지도(慶山縣地圖)」에서 관련 기록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 전기]
현재 전하는 지도 중에 가장 오래된 지도가 1402년(태종 2) 제작된 세계 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이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의 조선도 부분에서 대구(大丘), 현풍(玄風), 비슬산(琵瑟山) 지명을 확인할 수 있다. 임진왜란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는 조선과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을 그린 세계지도인 「화동고지도(華東古地圖)」 조선도에는 대구와 현풍 지명만 기록되어 있다. 또 1530년(중종 25)에 완성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수록된 『동람도(東覽圖)』「경상도지도」에는 대구와 현풍 외에 공산(公山), 비슬산이 묘사되어 있다.
[조선 후기]
17세기부터 조선 전도와 『동람도』 유형의 도별 지도가 많이 제작되는데, 대부분의 「경상도지도」에는 『동람도』에 기록된 지명들과 함께 감영(監營)이 추가되어 있다. 18세기 영조 대부터 정상기가 제작한 『동국지도』 유형의 「경상도지도」와 경상도 소속 군현을 그린 여러 가지 유형의 채색 필사본 군현지도가 제작되면서 읍치와 산천 외에도 세부적인 동리 지명들이 표기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군현지도는 오늘날 대구광역시에 있는 주요 읍·면·동·리 지명의 단초를 제공한다.
당시 가장 많이 제작된 형태는 회화식 군현지도인데, 홍문관에서 제작된 『해동지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가 대표적이다. 이 외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여지도(輿地圖)』·『지승(地乘)』·『경주도회좌통지도(慶州都會左通地圖)』,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여지도』·『팔도여지도(八道輿地圖)』 등에 수록된 대구도호부와 현풍현의 지도에도 유사한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
또 1리 방안 지도인 『영남지도(嶺南地圖)』[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남지도』[영남대학교박물관], 『영남도』[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광여도(廣輿圖)』[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각읍지도(各邑地圖)』[국립중앙도서관] 등에 대구도호부와 현풍현의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한편 대축척 전국 지도 제작을 위하여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20리 방안 지도는 비변사에서 제작한 대축척 전국 군현지도인데, 전국의 군현을 동일한 크기의 4.2㎝ 방안에 통일된 기호를 사용하여 편찬되었다. 이 방안 지도는 『조선지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가 대표적이며, 『지도(地圖)』[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팔도지도(八道地圖)』[국립중앙도서관], 『해동여지도(海東輿地圖)』[국립중앙도서관], 『강역전도(疆域全圖)』[일본 동양문고] 등이 있다. 또한 「대구지도」와 「현풍지도」 외에 대구와 현풍을 함께 그린 지도들이 제작되었다.
19세기에는 김정호(金正浩)가 『조선지도』·『해동여지도』 등 20리 방안 지도를 이용하여 1834년(순조 34)에 필사본 『청구도(靑邱圖)』, 1861년(철종 12)에 목판본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 대축척 전국 지도를 제작하였다. 이 지도들에는 대구도호부와 현풍현에 있는 산지, 하천, 봉수, 고산성, 역원, 사찰, 고현(古縣), 창고 등이 기재되어 있다.
1872년에는 전국의 군현을 회화식으로 그린 『1872년 지방지도』가 제작되었는데, 「대구지도」는 전하지 않지만 「현풍지도」가 전한다.
읍지에는 『대구읍지(大丘邑誌)』[1768년],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1832년], 『영남읍지(嶺南邑誌)』[1871년], 『여재촬요(輿載撮要)』[1895년], 『대구부읍지(大丘府邑誌)』[1899년] 등에 대구도호부의 지도가 부도로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