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233
한자 大東輿地圖 大邱府 玄風縣地圖
영어공식명칭 Map of Daegu-bu and Hyeonpung-hyeon in Daedongyeojido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864년연표보기 - 『대동여지도』 갑자본 간행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대동여지도』 보물 제850-3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6월 29일 - 『대동여지도』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편자 김정호
권책 22첩
규격 30×20㎝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1864년에 제작된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경상도 대구도호부현풍현 일대의 지도.

[개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는 22첩으로 구성된 목판본에 채색한 전국 지도이다. 『대동여지도』 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850-3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대동여지도』「대구부·현풍현지도」는 17첩 3-4판, 18첩 3-4면에 수록되어 있다.

[편찬/간행 경위]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는 조선 후기의 축적된 지도학적 성과를 집대성하여 『대동여지도』를 완성하였다. 『대동여지도』는 현재 국내외 주요 기관에 60여 점이 소장되어 있는데, 1861년(철종 12) 신유본과 1864년(고종 1) 갑자본 외에도 부분적인 수정을 거친 여러 이본(異本)이 제작되었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대동여지도』는 1864년에 제작된 갑자본이다.

[형태/서지]

『대동여지도』는 전국을 22첩으로 나누어 분첩절첩식(分疊折帖式) 형태로 제작된 채색 목판본 지도이다. 각 첩이 연속되는 일련의 지도로서, 각 첩의 지도를 순서대로 맞추면 조선 전도가 된다. 각 첩의 크기는 세로 약 30㎝, 가로 약 20㎝이며, 전체를 연결하면 세로 약 6.6m, 가로 약 3.8m에 이르는 대형 전도가 된다.

1첩 1면에는 ‘당저원년갑자(當宁元年甲子)’라고 간인되어 있어 1864년에 제작된 목판본임을 알 수 있다. 표제는 ‘대동여지도’이며, ‘고산자 교간(校刊)’이라 되어 있다. 2면에는 세로 12개, 가로 8개의 방안이 그려져 있고, 방안에는 ‘매방 십리(每方十里)’와 ‘매편(每片) 종(縱) 120리 횡(橫) 80리’라고 기록되어 있어, 각 도엽이 세로 120리, 가로 80리이고, 방안도법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음을 알려 준다. 방안의 크기는 약 2.5㎝이다. 다음으로 경원·온성·종성 일대의 지도와 지도표, 지도유설(地圖類說), 도성도, 경조오부도(京兆五部圖) 순으로 편집되어 있다.

[구성/내용]

『대동여지도』 「대구부·현풍현지도(大邱府·玄風縣地圖)」 에서 군현의 경계는 점선을 사용하였고, 대구도호부 읍치는 유성(有城), 현풍현 읍치는 무성(無城) 기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로는 직선으로 그려졌으며, 10리마다 방점을 찍어 거리를 알 수 있게 하였다. 대구도호부 읍치에서 칠곡·신녕·하양·경산·청도·현풍·고령·성주, 현풍현 읍치에서 대구·청도·창녕·초계·거창·고령·성주·인동 등과 연결된다.

산줄기는 회화식 방법을 사용하여 연맥식으로 그리고, 굵기를 달리하여 산지의 고저와 험이를 표현하였다. 대구도호부현풍현의 북쪽에는 팔공산(八公山), 동쪽에는 향림치(香林峙)·대장현(大墻峴)·법이산(法伊山), 남쪽에는 팔조령(八助岺)·최항산(最項山)·비슬산(琵瑟山)·대니산(戴尼山)·태백산(太白山) 등이 있다. 대구도호부 읍치 남쪽에는 진산(鎭山)인 연구산(連龜山)이 있고, 북쪽에는 침산(砧山)이 있다. 법이산, 마천산(馬川山), 소이산(所伊山) 등에는 봉수가 표시되어 있다.

하천은 쌍선과 단선을 혼합하여 그렸는데, 쌍선은 수운이 가능한 하천으로 서쪽을 흐르는 낙동강대구도호부의 북부를 가로질러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금호강(琴湖江)이 이에 해당된다. 그 외에 전탄(箭灘), 저탄(猪灘), 달천진(達川津), 차천(車川) 등이 표기되어 있다.

달성(達城)은 고산성으로 표시되어 있고, 역원은 범어역(凡魚驛)·금천역(琴川驛)·설화역(舌火驛)·유산역(幽山驛)·쌍산역(双山驛)·오동원(梧桐院), 사찰은 동화사(桐華寺)가 표시되어 있다. 또 고현(古縣)은 해안(解顔)·하빈(河濱)·화원(花園)·수성(壽城), 창고는 강창(江倉)·남창(南倉)·풍각창(豊角倉)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조선지도』·『해동여지도』 등 20리 방안 지도를 이용하여 제작한 대축척 전국 지도이다. 지도책 형식으로 편찬된 이전의 지도들과 달리 분첩절첩식의 형태로 만들어져 휴대와 열람이 편리하도록 고안되었다. 『대동여지도』「대구부·현풍현지도」는 당시의 공간적 상황을 담고 있어 19세기 대구도호부현풍현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