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영덕 지역에 설립된 청년 운동 단체. 1920년대 초반 강구청년회(江口靑年會)의 운영 목적은 지역 유지와 청년의 수양, 봉건 의식 타파, 근대 지식 전파 등이었으며, 1920년대 중반 이후에는 청년을 포함한 지역민의 사회의식과 민족의식 고취를 표방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대열(姜大烈)[1881~1953]은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오포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삼인(姜三仁)[1892~1951]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우근(姜佑根)[1880~1957]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화개리에서 태어났으며, 1919년 영덕군 강구면 금호리에 거주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영조(權永祚)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윤부(胤夫)이다. 1889년 4월 13일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 343에서 권석섭(權錫燮)의 차남으로 태어나 권봉석(權鳳錫)에게 출계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태원(權泰源)[1891~1967]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원경(元卿)이다.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낙평리에서 권영유(權永裕)의 아들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태응(權泰應)[1890~1935]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희서(希瑞), 아명은 응모(應模)이다.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에서 아버지 권영송(權永松)과 어머니 한양조씨(漢陽趙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경발(金景發)은 1864년경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18일 일어난 영해면 3.1독립운동을 시작으로 영덕군 전역에 3.1운동이 확산되었다. 그런 가운데 창수면 3.1독립운동은 3월 19일 일어났다. 창수면 만세운동에 앞서 영양의 이종구(李鍾龜)가 이끄는 오촌동·삼계동 주민, 신리동 및 갈상동 주민들이 영해면 3.1독립운동에 가담하기 위해 이동하다가 신기동에 이르렀다. 김계규(金季...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18일 오후 1시경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동 시장에서 정규하(丁奎河)·박의락(朴義洛)·남효직(南孝直)·남세혁(南世爀)·권상호(權相鎬) 등의 주도로 영해면 3.1독립운동이 일어나면서, 영덕군 각 면으로 3.1운동이 확산되었다. 3월 19일 영양(英陽)의 이종구(李鍾龜)도 만세운동 소식을 듣고 만세시위 운동에 가담하기...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덕규(金德圭)[1874~1944]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덕수(金德壽)[1868~1937]는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18일 영해면 3.1독립운동이 시작되면서, 영덕군 전역으로 3.1 운동이 확산되었다. 창수면에서는 3월 19일 만세시위 운동이 일어났다. 창수면 만세운동에 앞서 영양의 이종구(李鍾龜)가 창수면 오촌동·삼계동의 주민 수십 명을 이끌고 독립만세를 외치러 영해로 향하였다. 갈상동과 신리동 주민들도 영해면 3.1독립운동에 가담...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김도현(金燾鉉)[1852~1914]의 본관은 김녕(金寧), 자는 명옥(明玉), 호는 벽산(碧山)이며, 도현(道鉉)이란 이름도 사용하였다. 사육신(死六臣)인 충의공(忠毅公) 김문기(金文起)의 15세손이다. 1852년 7월 14일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상청리에서 아버지 김성하(金性河)와 어머니 한양조씨(漢陽趙氏) 사이의 3남 3녀 중 장남...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동택(金東澤)[1885~1957]은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몽룡(金夢龍)[1898~1973]은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리에서 태어났으며, 이명은 김기락(金起洛)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김문오(金文五)[1874~?]는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화천리 금천(琴川)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반석(金盤石)[1893~1952]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출신의 의병. 김병두(金秉斗)[1879~1952]의 이명은 김경삼(金敬三)이며,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칠성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상준(金尙俊)은 1875년경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다....
-
일제강점기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성규는 1883년(고종 20)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호는 추암(湫岩). 김세영은 1889년(고종 26)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낙평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연순은 1881년 11월 11일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 124이다....
-
일제강점기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원발은 1870년(고종 7)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리에서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영덕군 영해면 묘곡리이다....
-
일제강점기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위석은 1898년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연평리에서 태어났다....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김일원(金日元)[1880?~1910]은 경상북도 영덕군 외남면(外南面)[지금의 남정면] 양성리에서 출생하였다....
-
일제강점기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재술은 1886년(고종 23)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대곡리에서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영덕군 영해면 연평리이다....
-
일제강점기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중규는 1888년 2월 8일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갈상동[신리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2월 말경 고종의 국장을 참례하기 위해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권태원(權泰源)·정규하(丁奎河)·남세혁(南世爀)·남효직(南孝直)·권상호(權相鎬) 등이 상경하였다가, 3월 1일 일어난 3.1운동을 직접 목격하고 귀향하였다. 또한 서울 성서학원 학생 김응조(金應祚)가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지품면 낙평동으로 귀가하였다. 그리고 평양신학교에...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치운은 1868년(고종 5)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에서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택이는 1895년(고종 32)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김탁이(金卓伊))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학이는 1888년(고종 25)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묘곡리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김학이(金學伊)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혁동은 1889년(고종 26)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수암리에서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영덕군 지품면 낙평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화원은 1864년 5월 6일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 275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나성운은 1891년 12월 11일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 190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18일 오후 1시경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동 시장에서 정규하(丁奎河)·권상호(權相鎬)·박의락(朴義洛) 등의 주도로 영해면 3.1독립운동이 일어났다. 영해면 만세운동 소식을 들은 창수면의 주민들도 3월 19일 영해면 3.1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영해로 향하였다. 그런 가운데 영해로 향하던 창수면 오촌동·삼계동·갈상동·신리...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남계병(南啓炳)[1877~1963]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334에서 태어났다. 남계병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여명(汝明), 호는 호정(湖亭), 이명은 남세혁(南世赫)이다. 아버지는 남택만(南澤萬)의 5대 종손인 아버지 남경질(南敬秩)이며, 어머니는 이능찬(李能燦)의 딸 여강이씨(驪江李氏)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남교문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명서(明書)이다. 1888년 11월 4일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각리리 522에서 남조홍(南朝洪)의 아들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남만진은 1894년(고종 31)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남갈백(南葛百)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남병구는 1888년 3월 4일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칠성리에서 태어났다. 이명으로 남일동(南一東)·남훈(南薰) 등을 사용하였다....
-
1919년 4월 4일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민족 대표 29명은 서울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고, 2시 30분경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로써 전국적인 3.1독립운동이 시작되었다. 한편, 3월 16일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면 금호동(錦湖洞)의 개신교 북장로파 조사(助師) 강우근(姜佑根)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남진두(南鎭斗)[1894~1919]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건경(建卿)이다. 아버지는 남극만(南極萬)의 5대손인 남효백(南孝栢), 어머니는 신홍집(申弘輯)의 딸 평산신씨(平山申氏)이다. 1894년 2월 7일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355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남출이는 1881년 10월 9일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남효직은 1875년(고종 12)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서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 조성된 관광 테마 도보 해안길에 관한 이야기.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부경리에 자리한 대게누리공원을 출발하여 축산항을 거쳐 고래불해수욕장에 이르는 도보여행을 위해 조성된 약 64.6㎞의 해안길이다. 영덕블루로드는 맑고 푸른 바다[Beach]에서 ‘B’, 새로운 빛[Light]·전설과 이야기가 풍부한 곳[Legend]에서 ‘L’, 언젠가 가보고 싶은 관광목적지[Ut...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방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벌어진 군자금 모집 사건. 1919년 4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이후 국내외 곳곳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한 군자금 모집 활동이 전개되었다....
-
1910년부터 1945년까지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전개되었던 민족해방운동. 일제강점기는 일반적으로 1910년 8월부터 1945년 8월까지를 말한다. 1910년대는 일본의 무단적인 식민통치에 대응하여 국내·외의 저항 세력이 국외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였다. 1919년에는 3.1운동이 일어나 독립운동이 전 민족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1920년대에는 일제의 문화통치에 대응하여...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맹학근은 1885년 8월 12일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다....
-
일제강점기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건(朴健)[1880~1943]의 본관은 함양(咸陽), 본명은 박의연(朴義然), 이명은 박해사(朴海史)이다. 1880년 9월 20일 아버지 박주병(朴周秉)과 어머니 무안박씨(務安朴氏) 사이의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우 박의열(朴義烈)과 박의훈(朴義熏)도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경종의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응낙(應洛), 호는 만성(晩醒)이며, 본명은 박우종(朴禹鍾)이다. 1875년 7월 25일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동 127에서 무의공(武毅公) 박의장(朴毅長)의 11대손 박재명(朴載明)의 아들로 태어났다. 백부 박재우(朴載佑)에게 출계하였으며,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의 매부(妹夫)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계도는 1900년 10월 20일 태어났으며, 본적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이고,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계혁(朴桂赫)[1866~1941]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읍 연평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동이는 1874년 9월 19일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다. 이명은 박수원(朴永源)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동활은 1891년 12월 29일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부곡동 242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박성용(朴石用)은 1875년 4월 3일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백청리에서 출생하였다. 이명은 박대춘(朴帶春)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수환은 1886년(고종 23)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숙이는 1872년 6월 12일 태어났으며,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장구동 마당두들[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다. 이명으로 박숙의(朴淑義)라는 이름을 썼으며, 일본식 이름은 정본숙의(井本淑義)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의열(朴義烈)[1884~1931]의 본관은 함양(咸陽), 호는 하산(河山), 이명은 박세진(朴世鎭)·박하산(朴河山)이다.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 258에서 아버지 박주병(朴周秉)과 어머니 무안박씨(務安朴氏) 사이의 3남 1녀 중 차남으로 출생하였다. 박의열의 형은 박의연(朴義然)[1880~1943], 아우는 박의훈(朴義熏)[18...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의훈(朴義熏)[1895~1983]의 본관은 함양(咸陽), 호는 호산(湖山), 이명은 박명진(朴明鎭)이다.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 258에서 아버지 박주병(朴周秉)과 어머니 무안박씨(務安朴氏) 사이의 3남 1녀 중 삼남으로 태어났다. 백형은 박의연(朴義然), 중형은 박의열(朴義烈)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작지는 1860년(철종 11)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가산리에서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재흥1896년 1월 14일 태어났으며, 본적지와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 393이다. 이명은 박재흥(朴在興)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제원은 1888년(고종 25)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연평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종하는 1883년 4월 4일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서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천석은 1889년 8월 5일 태어났으며, 본적지와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치도(朴致道)[1884?~1926]는 경상북도 영덕군 출신으로, 본관은 무안(務安), 이명은 박성호(朴成浩·朴星浩)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학래는 경상북도 경주군 강서면 금인동에서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동 167번지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희락(朴羲洛)[1882~1967]의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응인(應人)이다. 1882년 11월 14일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에서 박종규(朴鍾逵)의 아들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백수학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다....
-
1919년 3월 18일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민족대표 29명은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이어 2시 30분경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3.1독립운동이 시작되었다. 영덕에서도 서울을 다녀온 인사들에 의해 3.1 독립운동 소식이 전해지게 된다. 1919년 3월 18일 오후 1시경 영해면 성...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보천교(普天敎)는 차경석(車京石)[1880~1936]이 창시한 증산교(甑山敎) 계열의 종교였다. 1911년 차경석은 고판례(高判禮)[1880~1935]와 함께 선도교(仙道敎)를 세울 때 중심 역할을 하였다. 차경석은 교권을 장악한 후 자신이 동방연맹(東邦聯盟)의 맹주가 되고, 조선은 세계 통일의 종주국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삼사리에서 설립된 청년 운동 단체. 삼사동청년회(三思洞靑年會)는 1920년대 초반에는 지역 유지와 청년들의 수양과 친목 도모의 단체로서, 지역민의 봉건 의식 타파와 근대 지식 보급을 위해 조직되었다. 1920년대 중반 이후에는 명실상부한 청년 운동 단체로서 청년과 지역민의 사회의식과 민족의식 함양이 목적이었다....
-
1919년 3월 18일부터 4월 4월까지 경상도 영덕 지역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1919년 3월 1일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적인 3.1운동이 시작되었다. 경상북도에서는 3월 8일 경상도 대구를 시작으로 1부 21개 군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영덕에서는 3월 18일부터 4월 4일까지 영해면·병곡면·축산면·영덕면·창수면·지품면·남정면 등 7개 면에서 독립 만세를 외쳤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서삼진(徐三辰)[1890~1924]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남석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성칠성(成七星)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방가동, 출생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연평동,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동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손무준의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응인(應人)으로 손기섭(孫基燮)의 아들이다. 1887년 8월 8일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로 이주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손상석(孫尙錫)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이고, 주소는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손영세는 1880년(고종 17)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묘곡리에서 태어났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에 세워진 근대 교육기관. 송천정사(松川精舍)는 권득여(權得輿)[1636~1716]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권득여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득초(得初), 호는 송천자(松川子)이다. 1682년(숙종 8) 생원시·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93년(경종 19) 경릉참봉에 제수되었다.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송천자독오록(松川子獨娛錄)...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 설립된 신간회 산하 지회. 신간회(新幹會)는 민족주의 좌파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연합하여 결성한 민족협동전선 조직이다. 신간회 산하 영덕지부는 1927년 설립되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 설립된 신간회 산하 지회. 신간회(新幹會)는 민족주의 좌파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연합하여 결성한 민족협동전선 조직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갑수(申甲壽)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동 35번지이고,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동 48번지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경동은 1894년(고종 31)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신안리에서 태어났다....
-
개항기 영덕 출신의 의병. 신돌석(申乭石)[1878~1908]의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순경(舜卿), 초명은 신돌선(申乭先), 본명은 신태호(申泰浩), 이명은 태홍(泰洪)·태을(泰乙)·대호(大浩)이다. 돌석은 아명이며, ‘태백산 호랑이’라고도 불렸다. 고려 개국공신 신숭겸(申崇謙)의 후예로서 7대조 진사 신후종(申厚宗) 때부터 영해(寧海)에 들어와서 살았다. 이후 영해부(寧海府...
-
일제 강점기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동송(申東松)[1870~1919]은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 886에서 태어났다....
-
개항기 영덕 출신의 의병. 신석존(申石存)[1883~1909]은 1909년 처형 당시 27세였던 것으로 보아 1883년 출생으로 추정된다. 출생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북면(北面) 구룡동(九龍洞)[지금의 지품면 눌곡리]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신우경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본명은 신태범(申泰範)이다. 우경은 신우경의 자이다. 이명으로 신도환(申道環)이란 이름을 사용하였다. 고려 개국공신 신숭겸(申崇謙)의 후예로 1888년 2월 5일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에서 아버지 신석주(申錫柱)와 어머니 분성김씨(盆城金氏) 사이의 2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영릉의진 창의대장 신돌석의...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신운석(申運錫)[1839~1896]은 경상북도 영덕 영덕읍 화개리 출신으로,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응천(應天), 호는 청헌(淸軒)이다. 고려 개국공신 장절공 신숭겸(申崇謙)의 후예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재휴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 주소는 영덕군 창수면 갈상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안상식의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은서(殷瑞)이다. 1865년 6월 11일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에서 태어났으며, 이후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로 이거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 설립된 사회주의 사상단체. 야봉동맹(野烽同盟)은 경상북도 영덕 지역의 사회주의 사상 연구와 전파를 위해 1926년 설립되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일어난 교육 운동. 1919년 3.1운동 이후 문화 계몽 운동의 일환으로 야학운동이 활성화되었다.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는 1921년 영덕청년회가 노동자 대상의 일성야학을 개설하였다. 이후 청년 단체 및 지역 유지 주도로 잇달아 야학이 개설되어 민족 교육과 근대 지식 보급에 앞장섰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설립된 노동 운동 단체. 영덕근로회(盈德勤勞會)는 1926년 영덕 지역에서 처음으로 설립된 노동 운동 단체로,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민족의식 고취에 앞장섰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에 있는 1953년에 건립된 개신교 교회. 영덕 송천예배당의 교인들은 1919년 3월 18일 경상북도 영해면과 창수면에서 일어난 3.1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당시 약 90여 명이 만세시위에 참여하였으며, 약 20여 명이 투옥되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과영양을 중심으로 결성된 항일 비밀결사 운동 단체. 영덕영양그룹은 조선 독립과 공산주의 사회의 건설을 목표로 민족의식과 계급의식의 고취 및 공산주의 사상을 전파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설립된 청년 연합 단체. 영덕청년동맹(盈德靑年同盟)은 경상북도 영덕 지역 청년의 의식 교양과 훈련 및 영덕 지역 청년 단체를 공고히 다질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결성된 청년 연합 단체. 영덕청년연맹(盈德靑年聯盟)은 경상북도 영덕 지역 청년 운동의 역량을 결집하고, 청년들에게 계급의식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 설립된 청년 운동 단체. 영덕청년회(盈德靑年會)는 1921년 청년들의 사회의식 및 민족의식 고양을 위해 설립된 경상북도 영덕 지역 최초의 청년 운동 단체이다....
-
1919년 3월 18일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민족 대표 29명은 서울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이어서 2시 30분경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면서 3.1운동이 시작되었다. 한편, 1919년 3월 10일자 『매일신보』를 통해 전국 각지에서 전개되는 독립만세운동을 인지한 경상북도 영덕의 강...
-
1919년 3월 18일 민족 독립을 위해 영덕 사람들이 일으켰던 3.1운동 이야기. 1919년 3월 18일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동 시장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은 병곡면, 축산면으로 확산되고, 영덕 읍내에서 독자적으로 독립만세를 외치면서 영덕의 3·.1독립운동은 시작되었다....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에서 창의한 의병 부대. 영릉의진(寧陵義陣)은 1906년 3월 13일 평민 출신인 신돌석(申乭石)[1878~1908]이 조직하였다. 1908년까지 경상도 북부 지역과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결성된 청년 운동 단체. 영해청년회(寧海靑年會)는 1920년대 초반에는 지역 유지와 청년들의 수양과 친목 도모를 표방하고 지역민의 봉건 의식 타파와 근대 지식 보급을 목적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대 중반 이후에는 단체를 혁신하여 청년을 포함한 지역민의 사회의식과 민족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활동하였다....
-
1919년 3월 18일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민족 대표 29명은 서울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이어 2시 30분경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면서 3.1독립운동이 시작되었다. 경상북도 영덕에서는 평양신학교 입학을 위해 상경한 김세영(金世榮)이 서울에서 일어난 3.1운동을 목격하고 고향으...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오두환(吳斗煥)[1881~1909]은 순국 당시 29세였기에 1881년 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대서면(大西面) 궁기동(宮基洞)[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일원]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오만이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동, 출생지는 영덕군 병곡면 휘리동, 주소는 영덕군 창수면 장구동[창수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오해봉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 출생지는 영덕군 영해면 연평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우억만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가산리, 주소는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우주일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 출생지는 영덕군 병곡면 갈천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유말동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 출생지는 당시 행정 구역으로 영덕군 창수면 일역후동이다. 유끝동으로도 불린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윤봉산은 1892년(고종 29)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고곡리에서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영덕군 축산면 상원리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윤팔룡(尹八龍)[1872~1943]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북내면 관동(冠洞)[지금의 영덕군 지품면 삼화리]이며, 1908년 체포 당시 37세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기성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백이는 1895년 3월 1일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천리 194에서 태어났다. 이명으로 이백이(李栢伊)·이송이(李松伊)를 사용하였다....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구국운동가. 이범석(李範錫)의 가계 및 생몰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체포 당시 기록에서 영덕 출신으로 확인된다....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이봉술의 이명은 이학산(李鶴山)이다. 본적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외남면(外南面) 상회동(上晦洞)[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회리]로 체포 당시 29세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상화는 1871년(고종 8)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낙평리에서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영덕군 영해면 묘곡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석범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석술(李石述)[1870~1919]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묘곡리 540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선봉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수각(李壽珏)[1872~1955]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동에서 태어났다....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이수악의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치숭(致崇), 호는 우헌(于軒)이다. 존재(存齋) 이휘일(李徽逸)의 주손으로 1845년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 존재종택(存齋宗宅)에서 태어났다. 아들 이호발(李箎發)은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의 보인계첩(輔人契帖)에 올라 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원이는 1865년(고종 2)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상원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인술(李仁述)은 1925년 6월 13일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면 강구동[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금진리]에서 태어났다. 손난연과 결혼하여 슬하에 3남 6녀를 두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준윤(李浚允)[1925~1943]의 본관은 성산(星山)이며,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화개리에서 아버지 이건호(李建鎬)와 어머니 손봉숙(孫鳳淑)의 슬하에서 3남 2녀 가운데 둘째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진탁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이다. 이명은 이진택(李鎭澤)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학술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 출생지는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이다. 창수면 3.1운동을 주도한 이수각(李壽珏)의 둘째 아들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해일(李海日)[1892~1959]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수암동, 출생지는 영덕군 동면 고실동이며, 주소는 영덕군 창수면 창수동이다. 이명은 이해일(李海逸), 창씨개명한 이름은 고목해일(古木海日)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현설은 1894년 6월 15일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 308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현우(李鉉祐)[1894~1925]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에서 태어났다....
-
1910년부터 1945년 8월 15일 해방까지 경상북도 영덕 지역의 역사. 일제강점기는 일반적으로 1910년 8월부터 1945년 8월까지를 말한다. 이 기간에 일제는 인적·물적 수탈을 동반한 식민지 통치를 통해 우리 민족을 억압하였다. 이에 민족 독립을 위하여 저항하는 여러 독립운동이 전개되기도 하였는데, 영덕 지역에서도 여러 독립운동가들이 배출되었다....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임한조(林漢祚)[1881~?]는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우곡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장명술(張命述)[1895~1935]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에서 벌어진 의성단의 군자금 모집 사건. 의성단(義成團)은 1923년 10월 편강렬(片康烈)·양기탁(梁起鐸)·남정(南正) 등이 중국 봉천성(奉天省) 회덕현(懷德縣) 오가자(五加子)에서 조직한 독립운동 단체였다. 의성단은 길림(吉林)·장춘(長春)·이통(伊通) 등지를 근거지로 삼고 훈련소를 설치하여 대원을 양성하였는데, 단원은 250여 명 정도였다. 의...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장성열(張星烈)[1896~1966]은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장유학(張有鶴)[1899~1940]은 1899년(광무 3)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에서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영덕군 병곡면 각리리이다. 이명은 장석진(張錫珍)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장진규(張振奎)[1875~1928]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동이고, 출생지는 영주군 북면 수립동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전상호(田相鎬)[1889~1924]는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묘곡리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전상호(田相浩)이다....
-
일제 강점기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규하(丁奎河)[1885~1968]는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결성이 추진되었던 노동 운동 단체 정노회(正勞會)는 경상북도 영덕 지역 노동자의 단합과 친목 도모, 권익 옹호를 설립 목적으로 내세웠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돌석(鄭乭石)[1876~1926]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석근(鄭石根)[1879~1952]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 출생지는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이다. 창씨개명한 이름은 조천석근(鳥川石根)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재주(鄭在珠)[1886~1959]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점용(鄭占用)[1897~1964]은 1897년(광무 1)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부곡리에서 태어났으며, 이명은 정점용(鄭点用)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학수(鄭學壽)[1871~1930]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영한(趙榮漢)[1894~1923]은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태헌(趙泰憲)[1897~1982]은 1897년(광무 1)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에서 태어났다. 자는 진만(鎭萬), 호는 헌당(軒堂)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주명우(朱明宇)[1881~1952]의 거주지는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황장리 295이다....
-
개항기 영덕 출신의 의병. 주영수(朱永秀)는 경상북도 영해군(寧海郡) 북면(北面) 원해리(遠海里)[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서 출생하였다. 1910년 재판 당시 35세였으므로 출생 시기는 1875년생으로 추정된다....
-
1919년 3월 18일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민족 대표 29인은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뒤 2시 30분경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 이로써 전국적으로 일어난 3.1운동이 시작되었다. 3월 11일 무렵 지품면 황장동(黃腸洞) 교회의 집사 주명우(朱明宇)는 『매일신보』를 보고 서울과 기타 각지에서 독립운동이 전...
-
1919년 3월 18일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창수면 3.1독립운동은 1919년 3월 19일 약 200명의 면민이 참여한 가운데 일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에서 벌어진 대한통의부 군자금 모집 사건. 대한통의부는 1922년 만주 봉천성 환인현(桓仁縣)에서 결성되었다. 경상북도 안동 출신의 김동삼(金東三)이 총장, 채상덕(蔡相悳)이 부총장, 이웅해(李雄海)가 민사부장, 양규열(梁圭烈)이 군사부장을 맡았다. 대한통의부 산하 의용군은 친일 단체를 공격하고 친일파를 처단하는 무장투쟁과 군자금 모집 활동을 펼쳤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청년들이 벌인 사회운동. 1919년 3.1운동은 독립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 독립운동 세력은 3.1운동에서 분출된 대중의 민족의식과 역동성을 확인하고, 이전까지 소수 중심의 운동에서 벗어나 대중이 광범위하게 참여하는 대중운동에 주목하였다. 대중도 일제 식민지 지배 정책의 폭압성과 허구성을 인식하고 조선 독립과 권익 옹호를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명수(崔命守)[1887~1920]는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벌영리에서 태어났다....
-
1919년 3월 18일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민족대표 29명이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이어서 2시 30분경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함으로써 3.1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3.1운동에 대한 소식은 영덕으로 전해졌고, 3월 18일 오후 1시경 영해면 성내동 시장에서 영덕 지역의 3.1독립운동이 일어났다....
-
개항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한용수(韓鎔洙)[1875~1906]는 1875년 10월 12일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축산리 128에서 태어났다. 영릉의진 창의대장 신돌석의 처남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학용(洪學用)[1883~1944]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동이며, 출생지는 경상북도 영양군 동면 율목동이다. 창씨개명한 이름은 남홍학용(南洪學用)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황부칠(黃夫七)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리리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황선의(黃善儀)는 1879년(고종 16)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황선의(黃善義)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황유선(黃有先)[1888~1974]의 본적과 주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이며, 이명은 황유성(黃有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