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광명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의 모든 종류. 식물의 분포는 그 지역의 습도·온도·고도 등 기후와 지형적 요인에 의해서 많이 좌우된다. 한반도는 세계 식물 지리구 6개 중 북방계에 속하며, 지구 식물구계 중 일화식물구계에 속한다. 이우철과 임양재 등에 따르면 한국의 식물은 갑산아구, 관북아구, 관서아구, 중부아구, 남부아구, 남해안아구, 제주도아구 및 울릉도아구 등 총 8개 구로...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갈참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도덕산, 가학산, 서독산 등지의 비교적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군집을 형성하며 서식하고 있다. 참나무속 식물 중 수세(樹勢)가 중간 정도이며 흔히 연료목, 목재용, 기구용 등으로 많이 잘려 나가 주변에서 장수하는 나무를 보기 쉽지 않다. 실제 갈참나무 목질은 단단하고 무거우며...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굴참나무는 한국의 고유한 자생 교목이다. 광명시의 도덕산, 가학산, 구름산 등지를 비롯한 전국의 야산 중턱 이하에서부터 높은 지역 지역까지 골고루 분포한다. 거친 듯 보이는 나무껍질이 특이하게 깊이 파인 형태로 발달하고 코르크층을 두껍게 형성하므로 촉감이나 질감으로 금방 분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굴참...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뭇과의 여러해살이풀. 깽깽이풀은 광명시의 구름산, 도덕산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중북부 이북과 중국 만주에 걸쳐 서식한다. 국가 지정 보호 식물[멸종 위기 동식물 2급]이다. 따라서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채집해서는 안 되는 종이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식물학자들도 자생지를 발견하는 것이 비교적 드문 일로 알려진다. 선황련,...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떡갈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도덕산, 가학산, 서독산, 애기능 주변 야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참나무속 나무 중에서 잎이 가장 크게 성장하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예로부터 음식물과 식재료를 쌀 수 있는 크고 넓으며 위생적으로도 우수한 특성의 잎을 가진 나무이다.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하여 중국에서도...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뭇과의 여러해살이풀.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등지의 등산로 주변 숲 속 등지에 서식하고 있다. 도덕산과 구름산 등은 해발 고도가 그리 높지 않음에도 비교적 다양한 식물이 살아간다. 국가에서 보존 식물로 지정할 정도로 그 개체 수나 서식처 보존 상태 등이 비교적 열악한 삼지구엽초는 일명 음양곽으로도 알려진 소중한 우리 고...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상수리나무는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서독산 등지를 포함한 전국 대부분의 산림과 숲 자락, 민가 주변 농경지와 임산지의 경계부, 산정 인근의 양지 등에 집단으로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참나무속 중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실제 수고(樹高)도 높다. 아울러 지하고(枝下高)가...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서어나무는 광명시의 서독산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독특한 외형으로 구분이 비교적 쉽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강원도 이남에 분포하는 온대 수종의 하나이다. 본래 서쪽에 있는 나무라 하여 서목(西木)으로 표기하였는데, 여기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하지만 특정 방향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일반적...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안양천 주변 등지의 습한 곳이나 계곡이 형성된 자갈이 많은 토양을 가진 지역 등에서 서식한다. 이정목으로서 20리마다 심었다 하여 ‘스무나무’에서 시무나무로 이름이 생겨났다고 전해진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청명절에는 느티나무와 버드나무 장작으로 불을 붙여...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신갈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가학산, 도덕산, 서독산 등지의 모든 산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수종이다. 우리나라 전체의 숲에서도 주인공 노릇을 하며 삼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와 함께 숲에서 실질적인 주인공으로 등장할 날이 그리 멀지 않는 자연적 천이 과정에서 가장 우세한 세력을...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 활엽 교목. 광명시에 서식하는 개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 정착한 아까시나무는 명칭부터 혼란스러웠다. 누군가가 학명의 일부를 그대로 발음하면서 아카시아 또는 아까시아라 불리기 시작하였으나, 실제 아카시아나 아까시아는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나무다. 1800년대 후반 사방, 조림, 연료용 등을 목적으로...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 관목. 올괴불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을 포함한 산지, 계곡, 민가 주변 등산로 등지의 양지바르고 약간 습한 곳에서 서식한다. 괴불나무류는 독특한 열매의 특성으로 이름을 얻은 경우이다. 괴불나물류에는 괴불나무, 암괴불나무, 홍괴불나무, 물앵도나무, 두메괴불나무, 털괴불나무, 좁은잎괴불나무, 털산괴불나무, 섬괴불나무, 산...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빗과의 한해살이풀. 외대으아리는 광명시 도덕산, 구름산 등지의 양지바른 곳에 서식한다. 으아리류의 하나인 외대으아리 등은 한약 명으로 흔히 위령선(威靈仙)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덩굴을 벋고 사는 덩굴나무이며 숲 속에서 다른 나무에 걸쳐 살기를 즐긴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유사한 형태와 이름을 가진 으아리속 식물...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버드나무목 버드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은사시나무는 광명시의 도덕산 어귀, 서독산, 구름산 등지의 계곡 및 산림 인접부 식재림 능선 아래 민가 주변 등에 서식한다. 한국의 수원사시나무와 미국 은백양 사이에 생겨난 자연 잡종이다. 인공적으로 수원사시나무와 은백양을 교잡하여 생산한 수종은 정식 명칭이 은수원사시나무 또는 현사시나무이다. 하지만...
-
경기도 광명시의 시목(市木). 은행나무는 광명시를 상징하는 시목으로 지정되었다. 광명시 광명7동에 수령 500년으로 추정되는 은행나무가 서식하고 있는데 광명시의 1호 보호수로 지정된 바 있다. 그럼에도 보호수로 지정된 사실이 무색할 만큼 주변 환경이 심하게 교란되어 지역 신문과 여론으로부터 지탄을 받은 적도 있다.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뭇과의 중국이 원산인 낙엽 교목으로 지금...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피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장구밥나무는 일반적으로 해안가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내륙인 광명시의 도덕산 어귀 등지에서 볼 수 있다. 황해도 이남에서는 전국에 걸쳐 고르게 분포한다. 주황색 또는 황색으로 4개씩 마주 달리는 열매가 마치 장구처럼 생겨 ‘장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장구밤나무, 잘먹기나무라고도 한다. 높이는 2m에 이른다....
-
경기도 광명시의 시화(市花). 장미는 쌍떡잎식물로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식물군의 총칭으로 북반구의 한대, 아한대, 온대, 아열대 지역 등에 자연적으로 분포한다. 관목성 식물로 100여 종의 야생종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장미라 부르는 것은 자연에 서식하는 야생 종간의 자연 잡종 및 이들로부터 얻어 낸 개량종을 말한다. 현재 특허 등록을 포함하여 수많은 계통과 품종이 개...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졸참나무는 광명시에 서식하는 기본 6종의 참나무속 식물 중 잎이 가장 작다. 아울러 열매인 도토리도 작은 편이며 대신 길쭉하다. 높은 산정에서 낮은 습지 주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우리나라 토양에 잘 적응해 살아가는 수종으로 거목으로 자라는 특성이 있기도 하다.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소수서원에는...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천남성은 광명시 전역의 산지, 들판, 계곡, 나무 밑 등 음습한 곳이면 어디서나 관찰할 수 있다. 흔히 사극에서 등장하는 사약의 재료가 되는 독성 식물로 유명하다. 실제 독성이 강해 함부로 섭취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에는 천남성과에 창포, 석창포, 큰천남성, 무늬천남성, 반하, 대반하, 넓은잎천남성, 두루...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 폭나무는 팽나무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팽나무속 식물은 북반구에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약 70종이 서식하며, 우리나라에는 8종 2변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 낙엽 교목이나 폭나무는 소교목에 속한다. 광명시 일원의 도덕산, 구름산, 서독산 등지의 햇볕이 잘 드는 비탈면 계곡부에서 서식하고...
보호수(保護樹)
-
경기도 광명시에서 보존 또는 증식 가치가 있어 보호하고 있는 나무. 보호수는 조상들이 유산으로 물려 준 나무 가운데 100년이 넘는 희귀 나무, 오래된 나무, 큰 나무, 이름난 나무 등 특별히 보호할 가치가 있는 나무나 옛날부터 전설이 깃든 향토적 나무 등을 지정하여 보호 육성하는 나무이다. 보호수는 지역 주민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 보호수의 지정은 「산림자원의 조성...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너부대마을에 있는 수령 약 250년의 보호수. 너부대 향나무는 높이 20m, 둘레 2.3m이다. 향나무는 나무를 깎아 향으로 쓰고, 향기가 좋고 붉은색이 나며 윤이 나고 결이 좋아서 고급 가구재로 쓴다. 가지와 잎은 잘라 말렸다가 약으로 쓴다. 상처와 피부병에 잘 듣고, 뱃병이 났을 때 먹기도 한다. 너부대 향나무는 2000년 1월 3일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은행나무. 소하동 은행나무는 1982년 10월 15일 보호수로 지정되었다가, 1986년 10월 13일 해제되었다. 소하동 은행나무는 태풍으로 소실되어, 뿌리와 몸체만 남아 있다. 은행나무는 불에 잘 타지 않고, 병충해에 강해 오래 살며 흔히 정자나무로 많이 심고 있다....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보호수. 소하동 측백나무는 높이 10m, 나무 둘레 2m이다. 소하동 측백나무는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이 말년을 보낸 관감당(觀感堂)과 역사를 같이하고 있다. 관감당은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인조[재위 1623~1649] 때 영의정을 지내고 청백리로 이름 높던 이원익의 집이다. 1630년(인조 8) 2칸 초가인 이...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 식골에 있는 수령 약 350년의 보호수. 식골 느티나무는 높이 30m, 둘레 4m이다. 우리 한민족은 예부터 오래된 느티나무를 마을을 지켜 주는 상징으로 여겨 왔다. 식골 느티나무는 마을에서는 ‘도당나무’라 하며 신성시하였다. 마을의 안정을 기원하는 해마다 음력 10월 1일 웃말 도당고개 옆에 있는 느티나무 앞에서 당고사를 지냈다. 일제강점기까지만 해도 4~5...
-
경기도 광명시 노동사동 영회원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보호수. 영회원 느티나무는 높이 20m, 둘레 6m이다. 영회원 느티나무가 있는 영회원(永懷園)은 소현세자의 빈인 민회빈 강씨의 무덤이다. 민회빈 강씨는 강감찬(姜邯贊)의 19세손이자 강석기(姜碩期)의 딸로, 병자호란 이후 소현세자와 함께 청나라에 볼모로 끌려갔다. 귀국 후 소현세자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인조의 후궁 조씨...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 원광명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보호수. 원광명 은행나무는 높이 25m, 둘레 5m이다. 원광명 은행나무는 1982년 10월 15일 광명-1호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삼리마을 동쪽 가장자리에 있는 광명사랑의 집 뒤편에 있다. 2006년까지는 줄기가 무성한 것으로 보아 발육 상태는 양호하여 은행나무의 둘레에 정자를 세우고 쉼터를 조성하였다. 그러나 2008년...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 원광명에 있는 수령 약 300년의 보호수. 원광명 회화나무는 높이 18m, 나무 둘레 3.9m이다. 원광명 회화나무는 1982년 10월 15일 광명-2호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발육 상태는 양호한 편이며 나무 앞에는 주민들이 쉴 수 있는 정자가 한 채 있다. 광문고등학교로 가는 고갯길에 있는 대명교회 맞은편에 있다....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2008년 광명시 하안동 밤일마을을 지나 광명동과 시흥으로 연결하는 도로가 개설되면서 하안동 느티나무가 서 있던 하안동 78번지가 도로에 편입되었다. 당시 지정 보호수는 아니었지만 밤일마을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던 하안동 느티나무를 지정물로 포함하고 우회하는 도로를 개설했다면, 하안동 느티나무는 자리를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