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100338
영어의미역 Mongolian Oak
이칭/별칭 돌참나무,신깔나무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경기도 광명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병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낙엽 활엽 교목
학명 Quercus mongolica Ficher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현화식물문〉쌍떡잎식물강〉참나무목〉참나뭇과
자생지역/재배지역 우리나라 전역
크기 30m
개화기 5~6월
결실기 9~10월 초

[정의]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개설]

신갈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가학산, 도덕산, 서독산 등지의 모든 산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수종이다. 우리나라 전체의 숲에서도 주인공 노릇을 하며 삼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와 함께 숲에서 실질적인 주인공으로 등장할 날이 그리 멀지 않는 자연적 천이 과정에서 가장 우세한 세력을 발휘하는 대체종이기도 하다.

산의 주인공으로 성장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발화 온도가 낮은 신갈나무 낙엽은 산불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산림 자원의 관리가 필요하다. 아울러 신갈나무의 낙엽은 제초 성분과 유사하게 초본류의 종자나 어린 나무의 성장을 억제하는 능력이 있어, 예로부터 신갈나무를 잘라 녹비용이나 잡초 제어용으로 논과 밭에 깔아 두는 일이 많았다. 그리고 잎이 시작되는 부분에 비해 끝 부분이 비교적 넓게 발달하여 마치 신발 모양을 하고 있어 신발에 깔아 쓰기에 좋았다 하여 신깔나무로부터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전해진다. 또한 돌참나무라고도 한다.

[형태]

높이는 평균 30m에 이르는 대형 수목으로 성장한다. 잎은 떡갈나무와 마찬가지로 잎자루가 없이 발생 지점에 바짝 붙어 있다. 떡갈나무와 다른 점은 잎의 뒷면에 갈색의 털인 모용이 없다는 점이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얕은 파상형의 거치가 발달해 있고, 잎 끝 부분은 점점 좁아지다가 쭈그러진 형상으로 사람의 귀를 닮은 미부가 있다.

가지는 은백색 또는 회백색의 반들반들한 코팅 물질로 덮여 있어 금방 구별이 된다. 다만, 성장해 가면서 나무껍질이 갈라지고 자연스럽게 은백색으로 덮여 있던 부분이 변색되거나 탈색 및 변형되어 특유의 질감은 사라지지만, 어린 가지에는 늘 같은 색감의 은백색 물질이 덮여 있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기에 같은 가지에서 생겨나며, 수꽃은 다른 참나무속 나무처럼 미상꽃차례로 아래로 늘어진다. 암꽃은 가지의 위쪽 방향으로 솟아 피며 전형적인 풍매화이다. 열매는 졸참나무와 같이 포로 말끔한 형태를 가진 각두를 가지며, 도토리 전체 길이의 절반에서 3분의 1 정도를 덮는다.

크게 발달하는 종자인 신갈나무 도토리는 어른 손가락 한 마디만 한 크기이며, 나무에서 떨어질 경우 무게 때문에 영양가 많은 낙엽층 토양이 들어 있는 곳으로 들어가 뿌리부터 발생시킨다. 흔히 산중에서 발견되는 붉고 가는 기둥에 가분수처럼 열매를 달고 있는 것은 대부분 신갈나무를 포함하여 사촌격인 다른 참나무속 식물의 후손이 자라고 있는 모습이다.

[생태]

높은 수고를 자랑하며 성장 속도도 높아 다른 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많은 종자를 생산함으로써 자신의 세력을 급속히 늘린다. 초본류의 성장을 억제하는 낙엽 성분으로 하층 식생의 발달을 제어한다. 우리나라의 참나무 속 식물은 유전자량이 2n=24로 동일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따라서 다른 참나무속 나무들과 교잡종이 생겨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며, 그렇기 때문에 이종 간의 교잡에 의해 발현되는 형질이 열성과 우성처럼 구별되지 않고 모호할 경우 참나무속 식물을 외형만으로 명확하게 구분하는 일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이름도 복잡한 신졸참, 갈졸참, 떡신갈, 떡졸참 등등 두 가지 수종의 이름을 합쳐 불러야 하는 경우가 생겨나게 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목질이 비교적 단단하고 우수한 품질을 가져 쟁기나 써레 등의 농기구, 건물의 마룻장, 대문, 창호, 떡판, 절구통 등으로 활용되었다. 그리고 철도의 침목, 화물 차량의 바닥재 등으로 쓰임새가 다양하였다. 그리고 신갈나무 잎에는 곰팡이를 비롯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성분 및 탈취 기능을 발휘하는 능력이 있어 신발 속에 깔아 둘 경우 발 냄새를 없애는 데 유용하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