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영덕 지역에 설립된 청년 운동 단체. 1920년대 초반 강구청년회(江口靑年會)의 운영 목적은 지역 유지와 청년의 수양, 봉건 의식 타파, 근대 지식 전파 등이었으며, 1920년대 중반 이후에는 청년을 포함한 지역민의 사회의식과 민족의식 고취를 표방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보천교(普天敎)는 차경석(車京石)[1880~1936]이 창시한 증산교(甑山敎) 계열의 종교였다. 1911년 차경석은 고판례(高判禮)[1880~1935]와 함께 선도교(仙道敎)를 세울 때 중심 역할을 하였다. 차경석은 교권을 장악한 후 자신이 동방연맹(東邦聯盟)의 맹주가 되고, 조선은 세계 통일의 종주국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삼사리에서 설립된 청년 운동 단체. 삼사동청년회(三思洞靑年會)는 1920년대 초반에는 지역 유지와 청년들의 수양과 친목 도모의 단체로서, 지역민의 봉건 의식 타파와 근대 지식 보급을 위해 조직되었다. 1920년대 중반 이후에는 명실상부한 청년 운동 단체로서 청년과 지역민의 사회의식과 민족의식 함양이 목적이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 설립된 신간회 산하 지회. 신간회(新幹會)는 민족주의 좌파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연합하여 결성한 민족협동전선 조직이다. 신간회 산하 영덕지부는 1927년 설립되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 설립된 신간회 산하 지회. 신간회(新幹會)는 민족주의 좌파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연합하여 결성한 민족협동전선 조직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 설립된 사회주의 사상단체. 야봉동맹(野烽同盟)은 경상북도 영덕 지역의 사회주의 사상 연구와 전파를 위해 1926년 설립되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일어난 교육 운동. 1919년 3.1운동 이후 문화 계몽 운동의 일환으로 야학운동이 활성화되었다.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는 1921년 영덕청년회가 노동자 대상의 일성야학을 개설하였다. 이후 청년 단체 및 지역 유지 주도로 잇달아 야학이 개설되어 민족 교육과 근대 지식 보급에 앞장섰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설립된 노동 운동 단체. 영덕근로회(盈德勤勞會)는 1926년 영덕 지역에서 처음으로 설립된 노동 운동 단체로,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민족의식 고취에 앞장섰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과영양을 중심으로 결성된 항일 비밀결사 운동 단체. 영덕영양그룹은 조선 독립과 공산주의 사회의 건설을 목표로 민족의식과 계급의식의 고취 및 공산주의 사상을 전파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설립된 청년 연합 단체. 영덕청년동맹(盈德靑年同盟)은 경상북도 영덕 지역 청년의 의식 교양과 훈련 및 영덕 지역 청년 단체를 공고히 다질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결성된 청년 연합 단체. 영덕청년연맹(盈德靑年聯盟)은 경상북도 영덕 지역 청년 운동의 역량을 결집하고, 청년들에게 계급의식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 설립된 청년 운동 단체. 영덕청년회(盈德靑年會)는 1921년 청년들의 사회의식 및 민족의식 고양을 위해 설립된 경상북도 영덕 지역 최초의 청년 운동 단체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결성된 청년 운동 단체. 영해청년회(寧海靑年會)는 1920년대 초반에는 지역 유지와 청년들의 수양과 친목 도모를 표방하고 지역민의 봉건 의식 타파와 근대 지식 보급을 목적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대 중반 이후에는 단체를 혁신하여 청년을 포함한 지역민의 사회의식과 민족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활동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인술(李仁述)은 1925년 6월 13일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면 강구동[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금진리]에서 태어났다. 손난연과 결혼하여 슬하에 3남 6녀를 두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종률(李鍾律)[1902~1988]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도성(度聲)·산수(山水)·선교공남(汕僑空男), 호는 정약당(靜若堂), 아명은 이상(李象)이다. 이남철(李南鐵)·이균(李鈞)·이일구(李一九) 등을 가명과 필명으로 사용하였다. 경상북도 영일군 북면 동대산 밑 산촌[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에서 아버지 이규환(李圭煥)과 어머...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준윤(李浚允)[1925~1943]의 본관은 성산(星山)이며,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화개리에서 아버지 이건호(李建鎬)와 어머니 손봉숙(孫鳳淑)의 슬하에서 3남 2녀 가운데 둘째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결성이 추진되었던 노동 운동 단체 정노회(正勞會)는 경상북도 영덕 지역 노동자의 단합과 친목 도모, 권익 옹호를 설립 목적으로 내세웠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청년들이 벌인 사회운동. 1919년 3.1운동은 독립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 독립운동 세력은 3.1운동에서 분출된 대중의 민족의식과 역동성을 확인하고, 이전까지 소수 중심의 운동에서 벗어나 대중이 광범위하게 참여하는 대중운동에 주목하였다. 대중도 일제 식민지 지배 정책의 폭압성과 허구성을 인식하고 조선 독립과 권익 옹호를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
-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경상북도 영덕군의 역사. 경상북도 영덕군은 광복 이후부터 6.25전쟁까지 분단 체제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커다란 정치적 격변을 겪었다. 해방 직후 영덕면을 포함한 각지에서 새로운 국가 건설을 위한 준비 기관으로 치안유지회와 건국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다. 미군 진주 후에는 인민위원회가 결성되어 미군이 영덕을 완전 장악하기 전까지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