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500382 |
---|---|
한자 | 安國寺所藏梵鍾 |
이칭/별칭 | 안국사 동종,안국사 범종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산성로 1050[괴목리 산184-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진정환 |
제작 시기/일시 | 1788년 - 안국사 소장 범종 제작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7년 5월 4일 - 안국사 소장 범종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88호로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안국사 소장 범종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현 소장처 | 안국사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산성로 1050[괴목리 산184-1] |
성격 | 범종 |
재질 | 동 |
크기(높이,길이,너비) | 83㎝[높이]|78㎝[너비] |
문화재 지정 번호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안국사에 있는 조선 후기 범종.
[개설]
안국사 소장 범종(安國寺所藏梵鍾)은 1788년(정조 12)에 조성된 조선 후기의 범종으로, 현재 안국사(安國寺) 범종각 내 후면에 안치되어 있다. 2007년 5월 4일에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8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전체 높이는 83㎝, 너비는 78㎝이다. 천판(天板) 위에 3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 것으로 볼 때 아마도 쌍룡(雙龍)의 용뉴(龍鈕)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종의 전체적인 형태는 종구가 약간 벌어져 있다.
[특징]
안국사 소장 범종을 제작한 주종장(鑄鐘匠) 이만중(李萬重)이 만든 다른 종을 살펴볼 때, 안국사 소장 범종의 천판 위에 있는 3개의 구멍 중 2개는 쌍용의 용뉴가 결합된 부분이며, 다른 하나는 종소리를 위해 뚫어 놓은 것으로 보인다. 상대에는 두 줄의 범자문 원권대(梵字文圓圈帶)가 있고, 그 아래에는 간격을 두고 넝쿨무늬가 새겨진 4개의 연곽[유곽]과 보살상을 교대로 배치하였다. 연곽 내부에는 10엽의 연판 위에 연뢰가 조각되어 있다. 보살상은 왼쪽으로 몸을 틀고 구름 위에 서 있는데, 뛰어난 조각 솜씨를 뽐낸다. 종의 표면에는 종의 조성 내력을 기록한 주성기(鑄成記)가 있다. 주요 내용을 발췌해 보면, "…건륭 53년 무신 3월일 무주 적상산 안국사 대종 개주종…각수 처성…편수 권동삼 도편수 이만중…[…乾隆五十三年戊申三月日 茂朱赤裳山安國寺大鐘改鑄重…刻手 處性…片手權東三 都片手李萬重…]"인데, 이로써 건륭 13년, 즉 1788년에 주조장 이만중과 권동삼(權東三)이 조각한 종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안국사 소장 범종은 명문이 새겨 있어, 안국사 대종을 고쳐 1788년에 다시 만들었다는 것과 함께 고성 옥천사 종[1776년], 법주사 종[1785년] 등을 조성한 이만중과 보천사 종[1794년], 고창 선운사 종[1818년] 등을 주조한 권동삼으로 이어지는 조선 후기 사장계(私匠系) 주종장의 계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