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401139 |
---|---|
한자 | 河東郡人民委員會 |
영어의미역 | Hadong People's Committee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경상남도 하동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상환 |
[정의]
광복 직후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설립된 민간 자치 기구.
[개설]
조선건국준비위원회가 조선인민공화국으로 재편되자 지방의 건국준비위원회 지부도 인민위원회로 개편되었으며 일시적이지만 관공서를 접수하여 실제 행정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건국준비위원회 경남도지부도 1945년 10월 5일 경남도 인민위원회로 개편되었으며 경상남도 각 지역에서도 인민위원회가 결성되었다. 당시 경상남도에는 1도 3시 19군에 모두 인민위원회가 있었으며, 상당수의 면·리에서도 조직되어 있었다.
하동군에서는 9월 15일 하동군 인민위원회가 결성되었으며 위원장 박치화(朴致和), 내정부장 윤영균(尹永均), 치안부장 김태수(金泰守), 선전부장 송재홍(宋在洪), 문교부장 김두영(金斗榮) 등으로 간부진을 구성하였다. 또한 하동군 하동읍을 비롯하여 악양면, 화개면, 적량면, 청암면, 횡천면, 옥종면, 북천면, 금남면 등 각 읍면과 마을 단위까지도 인민위원회가 조직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 아래에 인민반이 있었으며 농민조합연합회[회장 조동혁] 등과 같은 농민회, 청년동맹, 부녀동맹 등이 하부 조직으로 있었다,
[설립 목적]
하동군 인민위원회는 해방 이후 일제 강점기의 잔재를 청산하고 자주적인 정부를 수립하기 위하여 치안과 행정을 담당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하동군 인민위원회는 9월 16일에 군청을 점거하여 군수를 몰아내고 지방 행정을 장악하였다. 이어 세무서, 전매소, 우편소까지 장악했으며 군내 행정 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행정 전반에 걸쳐 사회주의 내지 친공산주의적 성격의 지방 행정의 기초를 닦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9월 10일 미군정의 선발 정세조사단이 하동경찰서에 들러 좌익 세력의 동태를 살폈고, 9월 17일 일본인이었던 경상남도지사가 미군정청의 해리스 준장으로 교체되었다. 9월 20일 하동군 인민위원회는 하동초등학교에서 농민 대회를 개최하고 5,000여 명의 군민을 모아 놓고 인민재판을 획책하였다. 우익 인사 4명을 참석시켜 그 자리에서 처단하려 했으나 군민들의 항의로 실패하였다.
9월 24일 미군정의 미라 대위가 하동에 진주하여 인민위원회의 일체의 행정권을 박탈하고 미군 병력 40여 명과 함께 주둔하면서 치안을 맡았다. 9월 28일 하동초등학교에서 미군 환영 대회가 열렸으며, 10월 7일 그동안 세력을 떨쳤던 하동군 인민위원회는 강제로 해산 당하였다. 10월 24일 한국인 손영수(孫永壽)가 초대 하동 군수로 취임하고, 김영진(金瑛晉)이 경찰서장 발령을 받았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미군정의 행정권 박탈에도 불구하고 인민위원회는 10월 10일 지주들을 투옥하고, 23일에는 일제 강점기 군 직원들을 축출하고 군청과 경찰서를 접수하여 군 전체에 대한 통제권을 장악하면서 미군정에 치열하게 대항하였다. 이에 하동으로 급파된 미 전술군이 군청을 장악하고 있던 인민위원회 간부들을 추방하고 원래의 관리들을 복직시켰다.
그러나 미군정이 철수하자 10월 29일 인민위원회가 재차 군청을 접수했으며, 인민위원회 간부들은 자신들이 군민들에 의해 선출되었고, 미군이 진주하기 전까지 군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행사하고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시 전술군이 출동하여 군 행정을 장악하고 있던 인민위원회 간부들을 재추방한 것으로 보이나 그 후에도 인민위원회는 계속해서 행정과 경찰력을 탈환하려고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11월 17일에도 미군정이 복위시켜 놓은 군수, 경찰서장, 군 직원들을 축출하고자 하였다.
11월 22일 경상남도 미군정 당국은 면 관리의 선출권을 인민위원회의 수중에서 빼앗아 일반 면민들에게 돌려주라는 명령을 공포하였다. 이어 12월에 면 관리를 선출하는 선거가 실시되었는데, 마을 주민들은 면 관리의 절반가량을 인민위원회 출신으로 선출하였다. 하동, 거창, 합천에서 수집된 쌀을 반출하려는 시도는 현지 농민들의 심한 저항에 부딪히기도 하였다. 그들은 군정 트럭을 에워싸고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미군의 계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민위원회는 1946년 봄까지 활동하였다. 하동군에서는 여전히 양곡을 수집하고, 세금을 징수하고 중요한 통계를 집계하였다. 인민위원회는 준 정부에 해당하는 정도의 지배력을 갖고 있었다. 『주한미군정사』에서는 “경남의 인민위원회는 치안 유지, 세금 징수, 인구 조사, 기타 중요한 통계 지수를 수집했으며, 다수의 군에서 경찰력을 장악했다. 한 마디로 경남의 인민위원회는 사실상의 정부와도 같은 광범한 통제력을 지녔다.”고 평가하였다.
당시 경상남도 군정 장관이었던 질렛 대령도 인터뷰에서, “1946년 4월 1일에야 미군정에 대한 이러한 위협이 제거되었다. 이때 미군정은 도 전역에 걸친 좌익분자들의 숙청 작업을 전개하여 약 300명에 달하는 좌익분자들을 체포했다. 군정은 군수 4명과 경찰관 160명 외에 수많은 하급공무원들을 해임시켰다. 관리들에 대한 이러한 숙청이 있은 후 인민으로부터 더 많은 격려와 지지가 있었으며 인민들은 비로소 군정을 합법적 정부로 인정했다.”고 말하였다.
[의의와 평가]
하동군 인민위원회는 미군정의 본격적인 탄압이 시작되기 전까지 하동의 실질적 자치 권력으로서 일제의 잔재 청산과 농민들의 권익 보호에 앞장선 정치 조직체였다. 급진주의자들 혹은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독점적으로 조직되지 않았으며 지역을 주도하는 사회 세력의 양상에 따라 복잡하게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