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희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702179
한자 金希磾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라북도 군산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이재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미상 - 김희제 전라북도 군산도에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221년 - 김희제 몽고 사신 저고여의 접반사(接伴使)를 시작으로 외교관 역할을 함
활동 시기/일시 1223년 - 김희제 의주, 정주, 인주를 침략한 금나라 우가하를 물리치고 서북면 병마 부사로 승진
활동 시기/일시 1226년 - 김희제 우가하의 침입을 물리치고 압록강 건너 석성을 쳐서 항복 받음
활동 시기/일시 1227년 - 김희제 전라도 순문사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227년연표보기 - 김희제 사망
출생지 군산도(群山島)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선유도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개성 - 미상
부임|활동지 충청도 - 미상
부임|활동지 의주 - 미상
부임|활동지 서북면 - 미상
부임|활동지 전라도 - 미상
성격 고려 무신
성별
대표 관직 의주 분도 장군(義州分道將軍)|전라도 순문사(全羅道巡問使)

[정의]

고려 후기 군산도 출신의 무신.

[개설]

김희제는 고려 고종 때의 무인으로 군산도 출신이나 조상을 따라 개성으로 이주하여 적을 옮겼다. 『고려사』에서 확인할 수 있는 그의 관직 생활은 3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개성으로 이주한 지 오래지 않아 낮은 관직인 산원(散員)에서 시작해 충청도 안찰사(按察使)까지 직책이 상승한 시기다. 이때 청백하다는 평판을 받으며 장군으로 전임하게 된다.

다음으로 1221년(고종 8)에서 대략 1222년까지 이르는 시기로 몽고 사신을 접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몽고 사신 저고여(著古轝) 등이 자신을 접대하는 사람을 놀리다가 갇힌 일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눈에 띄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약 2~3년간 외교적 역할을 하다가 그 공을 인정 받아 의주 분도 장군(義州分道將軍)으로 국경을 책임지게 된다.

『고려사』는 김희제가 조정의 허락을 받지 않고 전쟁을 치러 이겨낸 사건을 연달아 보고하고 있다. 금(金)나라 원수 우가하(于哥下)와 관련된 사건인데, 김희제는 두 건 모두 승전했으나 상을 받지 못했다.

1227년 전라도 순문사(巡問使)라는 직함을 맡았다가 최의를 모해하려 했다는 모함을 받고 나주에서 잡히자 두 아들과 함께 바다에 투신 자살하였다.

[가계]

김희제는 본래 군산도(群山島)[현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 사람이다. 선조가 상선을 따라 개성으로 가서 살다가 개성을 관향으로 삼았다. 대몽 항쟁기에 많은 공을 세운 김희제는 동북면병마사, 서북면병마부사 등을 거쳐 전라도 순문사에 이른 무신 관료이다. 용모가 아름답고 지혜와 용기가 있어 최우의 신임을 받았으나, 모함을 받아 자결하였다. 아들 김홍기는 고종 때 추밀원 부사를 지낸 조염경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딸은 추밀원 판사를 역임한 정통보의 아들 정상(鄭相)에게 시집갔다.

[활동 사항]

당시의 평가 중 하나인 고종의 의견을 보면, 김희제는 담력과 지략이 있고 또 시(詩)와 예법도 잘 알며 언변도 능란하였다. 그러한 모습을 보여주는 많은 일화가 있는데, 몽고 사신 저고여 등이 관반[접대원]을 놀리고 희롱하자 관반이 작당하여 저고여를 가둔 일이 있다. 외교적으로 매우 곤란한 이 상황이 김희제의 개입으로 해결되었다. 이후에도 김희제는 곤란한 상황을 매우 잘 해결하였는데, 이러한 모습이 당시의 사람들이 생각하던 무인의 기개와 닮았던지, 조정은 김희제에게 국경을 수비하는 임무를 맡겼다.

『고려사』에서는 이 시기의 김희제에 대해 자세한 서술을 하지 않는다. 다만 금나라 원수 우가하의 침략에 대처했던 두 사건만을 기술했을 뿐이다. 그 기술에 의하면 두 번의 사건에서 김희제의 행동에는 몇 가지 유사성이 있다. 첫번째, 적은 병사로 대승을 거두었다. 둘째, 조정의 명령을 받지 않았다. 두번째 사건은 다른 병마사의 지시로 이미 패배한 적을 다시 한번 급습한 것으로, 김희제는 승리만을 거두고 온 것에 불만을 품었던 듯하다. 우가하의 사과를 받는 것이 고려의 국가적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라 생각했던 것이다.

관계 부서에서는 명령 없이 토벌을 수행한 김희제에게 죄를 물으려 했으나 김희제는 자신을 아끼던 최이에게 미리 통기하여 벌을 면할 수 있었다. 대승을 거둔 일이지만 상을 받지 못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김희제가 이후 모함을 받아 죽음에 이르게 된 것도 일을 처리함에 있어 기개를 중시하고 절차를 무시하는 그의 행동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김** 선유도에 우뚝 솟아있는 망주봉은 옛날 귀양온 선비들이 임금을 기리고 망향의 설움을 
달래던 유적지라고 전하고 있으나 어느 시대, 어느 인물들이 이 곳을 거쳐 갔는지에 대하
여는 아무런 사실이 전하고 있지 않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등의 고문헌에는 군산도출신으로 알려진 고려때 인물 김희제장군
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2019.08.31
김** 김장군은 출생시기가 미상이나 고려후기때 인물로 고려 고종
14년(1227년) 세상을 떠났다.
기록에  따르면 장군은 선유도의 옛이름인 군산도 사람으로 집안이 상인들을 따라 배를
얻어 타고 개성으로 가게 되어 개성인으로도 불렸다고 한다.
2019.08.31
김** 감수직  산원  등의 벼슬을
지내던 장군은 충청도안찰사를 거쳐 장군이 되었는데, 고종이 1221년 지혜와 용기가 있고
서사에 능하다고 해서 횡포가 심했던 몽고사신의 접반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시문으로 그들을 놀라게 하고 달변과 뛰어난 처신으로 몽고 사신들을 감복시켜
방자한 행동을 막았으며 시종 그의 말대로 따르도록 하였다.
2019.08.31
김** 1223년 의주분도대장에 오른
장군은 금나라의 침입을 물리치고 압록강 건너까지 진격하여 항복을 받았다. 전라도순문
사에 오른 장군은 당시 권력자이던 최우(최충헌의 아들로 후에 이름을 "최이"로 바꿨다.)를
해하려 한다는  참소를 당하자 배에서 주연지, 아들 등과 함께 바다에 투신 세상을 떠났다고
. 일설에는 바다에 던져지는 해침을 받았다고 한다.
2019.08.31
김** 新羅神武王次子 英光-震禹-恒吉-殿邦-錫符-誠-大齡-進淀-仁康-順韋-正忠-彦志-益球-暹麗-希䃅 萬頃金氏始祖金希䃅(1181~2-1227) 忠簡-金弘己-00-00-00-00-00-00- 金永賢-金聲振-金聲鍵-金世弼-
萬頃金氏는 1930年度 후손들이 평남 평원군 공덕면 병공리에 40호,
2000年에는 摠 3가구 13名이 있는 것으로 調査되었다.
2019.08.31
김** 김희제(金希磾)
장군은 도끼를 짚고도 부끄러움을 씻지 못했거니 장차 무슨 면목으로 천궐에 조회하랴
한 번 푸른 뱀(칼)을 휘둘러 마산을 가리키매 오랑캐의 군사 세력은 모두 거꾸러지려 하였다
호분(勇士))이 날고 뛰어 다섯 강을 건너매 성곽은 모두 타서 잿가루 되었다
잔을 들어 대장부의 마음은 이미 풀었지만 돌아갈 면목 없으매 부끄러워 땀흐르네
2019.08.31
김** 고려 장수 김희제가 동진군을 격파하다.[高麗金希磾擊東眞]
김희제(金希磾)·손습경(孫襲卿) 함께 보기(步騎) 1만여 명을 거느리고 출전하여 우가하를 물리치고 개선하였다.
2019.08.31
김** 金希磾의 ​卽興詩를 한 수 읊었다.

맑은 황하 백 번 부어주신 큰 군은 갚으려고
사방을 다니면서 이 한 몸 잊었노라.
어찌하여 하루아침에 하늘로부터 버림받아
도성 사람[紫陌人16)]이 푸른 바다 사람이 되는가.
2019.08.31
김** 과거 金希磾가 術僧 演之가 崔怡의 앞날을 점치고 했던 말을 漏泄한 적이 있었는데, 어떤 자가 그 일을 崔怡에게 “金希磾 등이 공을 謀害합니다.”고 말하자 崔怡가 사람을 보내 全羅道巡問使 金希磾 등을 逮捕命令. 그때 金希磾는 羅州에 있었는데, 逮捕하려는 자가 왔지만 金希磾는 조금도 두려운 낯빛이 없이 “ “한 마디 하고 죽었으면 한다.”라 태연히 부탁. 2019.08.31
김** 장군이 왕명 받고 나라의 치욕을 씻지 못하면
무슨 얼굴로 대궐에 조회하리오.
한 번 큰 칼 휘둘러 마산(馬山)을 가리키니
오랑캐 군사 모두 거꾸러뜨리리라.
범같은 군사들이 오강(五江)을 뛰어 건너니
성곽은 모두 타서 잿가루 되었도다.
잔 드니 대장부 마음 통쾌하다마는
임금 뵈려니 까닭 없이 부끄러운 땀만 흐르네.
2019.08.31
김** ​金希磾가 자포강(紫布江)에 이르자 얼음이 이미 녹아버려 건널수가 없었으나 이날 밤에 얼음이 얼자 겨우
江을 건넜다.
청로진(淸虜鎭)을 거쳐 귀환하면서 ​金希磾(김희제)가 이런 시를 지었다.
2019.08.3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