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군산시민대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700533
한자 群山市民大會
이칭/별칭 군산 부민 대회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전라북도 군산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원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23년 2월 15일 - 군산항 축항 요구
종결 시기/일시 1934년 11월 20일 - 군산항 하역 부대비 문제 대책
전개 시기/일시 1924년 9월 22일 - 군산항 축항 실시 요구
전개 시기/일시 1923년 4월 19일~25일 - 군산 미곡 취인소 조직 방법 결정
전개 시기/일시 1924년 2월 29일 - 미곡 취인소 조직 방법 결정
전개 시기/일시 1923년 5월 7일 - 민립 대학 군산지부 설치
전개 시기/일시 1923년 5월 24일~27일 - 민족별 교육비 배정 차등 개선
전개 시기/일시 1923년 11월 15일 - 군산 부협의회 후보자 선출
전개 시기/일시 1924년 3월 28일 - 보통 학교 고연령자 월반 문제 개선
전개 시기/일시 1924년 4월 7일 - 군산 부윤 행정 문제 제기
전개 시기/일시 1926년 2월 27일 - 전기 요금 인하 1차 요구
전개 시기/일시 1926년 3월 1일 - 전기 요금 인하 2차 요구
전개 시기/일시 1926년 8월 8일 - 군산 지역 한국인 6대 문제 해결
전개 시기/일시 1928년 2월 20일 - 운송점 설치 제한 반대 1차
전개 시기/일시 1928년 2월 25일 - 운송점 설치 제한 반대 2차
전개 시기/일시 1930년 2월 11일 - 제 2 보통 학교 설치 및 운영
전개 시기/일시 1931년 12월 18일 - 군영 설치를 위한 군산 부민 의견 청취
전개 시기/일시 1933년 11월 2일 - 군산항 축항 문제 해결
전개 시기/일시 1934년 2월 9일 - 미곡 통제법 실시 반대
성격 집회
관련 인물/단체 조선 총독부|군산 부청

[정의]

일제 강점기 행정 제도 개선·학교 설립·기관 유치 등과 같은 지역의 이해 관계 및 발전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 지역 주민의 의견을 듣기 위해 전라북도 군산에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개최되었던 집회.

[개설]

3·1 운동 이후 1920년대에 문화 정치 시작과 사회 주의 사상 유입으로 인해 군산에서는 부민 대회(府民大會)가, 인근 옥구·임피 지역에서는 면민 대회(面民大會)와 같은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집회가 개최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부민 대회는 전시 체제기에 들어가는 1930년 중반에 가면 개최 횟수가 줄어들었다.

부민 대회 소식은 『동아 일보』, 『조선 일보』, 『매일 신보』와 같은 언론에 소개되었는데, 시민 대회로 명칭이 소개되는 경우도 있었다. 부민 대회 개최 사유로는 조선 총독부, 군산 부청[식민지 행정 당국]의 행정에 대한 문제 제기, 지역 내 주요 시설 유치·설립하기 위한 내용과 전국적으로 일어난 사건의 영향을 받고 시작된 것들이 있었다.

부민 대회 개최를 주도했던 계층은 군산부 협의회 의원, 군산 상공 회의소 회원, 미곡상, 사회 주의 운동가, 일본인, 친일 성향의 인사 등으로 다양하였고 사안에 따라 이합 집산 하는 모습을 보였다. 부민 대회 목적 달성을 위해 많은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였고, 개최를 주도했던 단체는 이를 바탕으로 식민 당국에 압력을 가하였다. 그 결과 목적을 달성하는 경우도 있었고,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역사적 배경]

3·1 운동 이후 전국의 각 급 행정 단위 별로 주민들이 참여하는 집회가 진행되었다. 행정 단위를 중심으로 개최된 집회는 도민·부민·군민·읍민·면민 대회라는 명칭으로 1920년 시작되어 1927년까지 활발히 진행되었다. 지역 현안과 관련된 문제들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았다. 참여 계층도 사안에 따라 다르기는 하였지만 한국인과 일본인이 참여하는 경우도 있어 활발히 진행되었다. 하지만 전시 동원 체제가 시작되는 1936년 이후에는 소멸되어 갔다.

이는 기본적으로 일제 강점기 동안 집회가 식민 당국의 허가를 받아 진행되는 성격의 대회였지만, 통치 방식의 변화가 개최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즉, 문화 통치 기간인 1920년대에는 허가를 통해 규제했지만, 개최 허용이 많아 활발히 전개되었다. 반면 1930년 중반 이후에는 전시 체제기로 들어서면서 언론·집회·출판의 자유가 탄압되면서 이전과 달리 주민들이 참여하는 부민·군민·면민 대회가 줄어들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경과]

일제 강점기 군산에서 진행된 부민 대회는 식민 당국의 정책 반대, 주요 기관 설립 유치, 학교 운영, 민족 운동 동참을 호소하는 방향에서 진행되었다.

식민 당국을 대상으로 해서 개최되었던 부민 대회는 군산 부윤 혹은 조선 총독부에 정책 변경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군산 부윤을 대상으로 하여 조선인 학교와 일본인 학교 간의 예산 배정 차이에 대한 시정 요구, 군산 보통 학교 고령자 학생에 대한 월반 제도 철폐 요구, 조선인 주거 구역에 대한 시설 확충을 요구하는 부민 대회가 있었다. 조선 총독부에 대해서는 전기 요금 인하, 1역(驛) 1운송점 설립 반대, 미곡 통제법 실시에 따른 대책을 요구하는 군산 부민 대회가 개최되었다.

주요 기관 설립 및 유치와 관련해서는 군산 미곡 취인소(群山米穀取引所) 설치와 조직 방법, 공병대 유치를 위한 의견 청취를 위해 군산 부민 대회가 열렸다. 학교 운영과 관련해서는 군산 제 2 공립 보통 학교 후원금 마련을 위한 방법을 강구하기 위해 부민 대회가 개최되었다. 중앙에서 주도한 민족 운동에 참여할 목적으로는 민립 대학 지방부 기성회(民立大學地方部期成會)설립을 목표로 한 부민 대회가 있었다. 군산부 협의회(群山府協議會)에 출마할 인사 선출을 위한 군산 부민 대회도 개최되었다.

군산 부민 대회는 대부분 군산좌(群山座)라는 장소에서 오후 7시에 개최되는 경우가 많았다. 부민 대회는 선언서 발표-결의문 낭독-집행 위원회 구성-결의 내용 실천 순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일제 강점기에 진행된 군산 부민 대회는 목표를 이루었던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목표를 달성했던 경우로는 군산항 축항 문제, 미곡 취인소 설치, 공병대 유치, 민족별 교육비 배정, 한국인 거주 지역 시설 확충 문제가 있었다. 이외의 부민 대회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의의와 평가]

일제 강점기 진행된 군산 부민 대회는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군산 부민대회는 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의사를 결정하였던 자치 운동의 성격을 일정 부분 띠고 있었다. 동시에 일제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진 제한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군산 부민 대회를 주도했던 인사들은 민족별로 구분이 되는 경우보다 이해 관계에 따라 구분되어 이합 집산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회주의 운동가들이 군산 지역 발전에 해당되는 사항이면 일본인 상공업자, 지주 혹은 친일 성향의 한국인 인사가 있더라도 부민 대회에 참여하는 경우가 있었고, 한국인만 참여하는 경우, 한국인과 일본인이 참여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군산 부민 대회가 민족별로 구분되기 보다는 이해 관계에 따라 이합 집산 되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셋째, 군산 부민 대회 결과 목적을 이루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이는 대회에 참여하는 군산 부민을 통해 식민 당국에 압력을 가하여 실행을 촉구는 할 수 있었지만, 모든 것의 변화를 바랄 수는 없었던 것이다. 즉, 식민 당국의 의지에 따라 부민 대회의 성공 여부가 달려 있었다.

[참고문헌]
  • 『동아 일보』(1923. 2. 15, 1923. 4. 25, 1923. 5. 7, 1923. 5. 24, 1923. 5. 27, 1924. 2. 29, 1923. 11. 15, 1924. 3. 28, 1924. 4. 7, 1924. 4. 24, 1924. 9. 22, 1926. 2. 27, 1926. 3. 1, 1928. 2. 20, 1928. 2. 25, 1929. 11. 16, 1930. 2. 11, 1934. 2. 9, 1934. 11. 20, 1934. 11. 29)
  • 『매일 신보』(1930. 2. 26, 1931. 12. 18, 1931. 12. 22, 1932. 1. 18, 1933. 11. 2)
  • 『시대 일보』(1926. 4. 25)
  • 『조선 일보』(1923. 2. 17, 1923. 4. 19, 1923. 5. 27, 1923. 11. 17, 1924. 4. 7, 1926. 3. 2, 1926. 8. 8, 1928. 2. 27)
  • 『중외 일보』(1928. 2. 25)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