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월배 지역의 고인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006
한자 月背 地域-
이칭/별칭 월배 선상지의 고인돌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서구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민선례

[정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배 지역에서 확인되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현황]

월배 지역은 대구 지역 내에서 집자리, 고인돌 등 청동기시대 유적이 집중 분포하는 지역이다. 덮개돌이 확인되는 고인돌 유적으로는 대구 월성동 고인돌[월성동 1275유적], 대구 대천동 고인돌, 대구 상인동 고인돌, 대구 진천동 고인돌 등이 있고, 덮개돌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청동기시대 돌널무덤이 확인된 유적으로는 대구 월성동 1300유적, 대구 월성동 1412유적, 대구 월성동 777-2유적, 대구 월성동 585유적, 대구 월성동 498유적, 대구 진천동 716-6유적, 대구 진천동 588-3유적, 대구 유천동 103유적, 대구 대천동 467유적, 대구 대천동 511-2유적, 대구 상인동 119-20유적, 대구 상인동 98-1유적, 대구 상인동 171-1유적 등이 있다. 발굴 조사된 무덤 유적에 비하여 고인돌의 수는 현저히 적은 편이다.

대구 대천동 고인돌은 대구 대천동 511-2번지 유적 내 노거수 아래 덮개돌 3기가 나란히 놓여져 있었고 주변에서 옮겨 온 것으로 보인다. 대구 대천동 511-2번지 유적은 청동기시대 집자리[주거지] 16동, 돌널무덤[석관묘] 68기가 조사된 취락유적이다. 유적에서 조사된 돌널무덤은 석곽[관]묘 A군, 석곽[관]묘 B군, 단독묘로 나누어지는데, 단일 규모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무덤유구로는 대구 지역에서 최대 규모이다.

대구 진천동 고인돌Ⅰ은 진천동 입석의 제단 시설 주변에서 돌널무덤이 함께 조사되었고, 대구 진천동 고인돌Ⅳ에서는 복식돌널[복식석관(複式石棺)]로 나란하게 만들어졌다. 대구 진천동 유적에서는 고인돌 덮개돌[상석] 아래에서 장방형의 묘역이 확인되며, 묘역에서는 4기의 돌널무덤이 확인되었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은 1983년 조사 때 4개 구역에서 확인되었으나, 1990년 조사할 당시에는 민가 주변에 있던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 이외에는 도시화에 의하여 모두 없어져 버렸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1호의 덮개돌 아래에서 돌을 돌덧널[석곽]처럼 쌓은 무덤이 확인되었다. 대구 상인동 고인돌Ⅰ의 덮개돌에는 구멍홈[성혈] 8개가 확인되었다.

대구 상인동 고인돌Ⅳ에서는 묘역을 구획하기 위한 석열이 서로 연접하여 만들어진 무덤 5기[1~5호]와 [장]방형 묘역의 단독 무덤 2기가 조사되었다. 연접한 고인돌 묘역에 대한 조사는 대구 지역 내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진 조사이다.

월배 지역의 고인돌신천 유역의 고인돌처럼 소군집하는 단위화 현상이 확인되며, 묘역식 지석묘가 확인된다. 묘역식 지석묘는 단독 또는 연접하여 축조하였으며, 묘역 내에 1기 또는 여러 기의 돌널무덤을 조성하였다. 돌널무덤의 축조에 사용한 돌의 형태와 조립 방법에 따라 천석만을 이용하여 평적한 석곽형, 판석을 이용하려 4벽을 축조한 석관형, 석곽형·석관형을 혼용하여 축조한 혼축형으로 구분된다. 전기에는 석곽형만이 사용되며, 석관형이라는 새로운 묘제가 추가되면서 후기에는 석곽형·석관형·혼축형이 모두 확인된다. 새로운 묘제가 추가되지만, 이전에 있던 무덤 구조도 지속적으로 사용되면서 다양해지는 과정이 월배 지역 무덤의 변천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