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가정 신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665
한자 家庭信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집필자 김형준

[정의]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집안에 위치하는 신적 존재인 집의 여러 신을 믿는 의례 행위.

[개설]

가정 신앙은 집안 곳곳에 위치하여 집과 집안을 지탱해 주는 가정신[가신, 가택신]을 섬기는 한국 고유의 신앙 행위이다. 가정신은 대문에 문신, 집의 뒤꼍에 터주신 또는 당산신, 변소에는 측간신, 부엌에는 조왕신, 마루 대들보에는 성주신, 안방에는 조상신 또는 삼신, 우물에는 수신, 용마루에는 업신이 위치한다고 믿고 있다. 가신들은 민간 신앙의 대상이기에 도상과 신상을 갖고 있지 않고, 신체가 곡물을 넣은 단지, 바가지, 보시기 등과 창호지, 실 등 가정용품인 경우가 많다.

가정신들은 보통 집을 지을 때 모신다. 한옥을 짓기 전에 집터를 다지면서 터주신에게 고사를 올리고 집짓기를 한다. 문신은 정월 입춘축으로 용(龍)과 호(虎)자를 한문으로 써서 붙여 놓는 방식으로 섬긴다. 터주신은 대체로 집의 뒤꼍 장독대 옆에 옹기에 쌀을 넣고 볏짚으로 주저리를 씌워 놓는 형식으로 제사를 드린다. 안방의 삼신[또는 산신(産神)]은 출산신(出産神)이라 할 수 있는데, 아이의 출산과 양육을 관장해 주는 신이다. 성주신은 집안의 가장[대주]을 돌보는 가신으로 대들보에 성주 신체를 한지와 실타래를 걸어 놓는다. 조왕신은 부엌에 위치하는데, 부엌 가마솥 위쪽 벽면에 조왕 중발(竈王中鉢)을 걸어 놓고 정화수를 갈아주는 방식이며, 조왕신은 집의 부엌일을 전담하는 주부를 돌보아 주는 가신으로 알려졌다.

가정신은 주로 주부들이 관리를 한다. 주부들은 매년 정월 초, 그리고 추수를 마친 10월 상달에 집안의 신들에게 햇곡식을 갈아 넣어 준다. 헌 곡식을 덜어내고 햇곡식을 갈아 넣는 것으로 의례를 마치며, 방안의 삼신상과 성주상은 제물을 차려서 고사를 올린다.

[순창의 가정 신앙 의례]

순창군에서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가정 신앙의 대상은 조상, 성주, 삼신, 조왕, 철륭, 업, 칠성 등이다. 조상은 조상 단지에 모시는데, 안방에 모시는 게 일반적이다. 성주는 집의 대물림을 담당하는 집주인을 모시는 신이며, 이런 이유로 기제사 때에 성주상을 차려 놓는다. 삼신은 아이를 낳고 나서 한시적으로 모시는 출산신이며, 조왕신은 부엌에 모시는 가정신으로 조왕 중발에 물을 떠 놓는데, 매일 아침 물을 갈아주는 관행이 있다. 철륭은 집의 뒷간에 위치한 당산을 가리키는데, 터주신 또는 지신의 성격이 강하다. 업은 재운신이며, 업신은 구렁이 또는 두꺼비를 업신이라 믿고 있다. 업을 잡으면 집안이 망한다는 속신이 있다. 칠성은 북두칠성을 신격화한 것으로, 수명장수와 무병을 관장하는 가정신이다.

그밖에 비정기적인 가정신 의례로서 액막이, 올벼심리, 동지 팥죽 쑤기, 절에 가서 불공드리기 등이 있다. 액막이는 삼거리에서 간단한 제물을 차려 놓고 고사를 지내는 방식이며, 올벼심리는 추수 전 첫 벼를 베어서 나락을 쪄서 방아를 찧은 후 밥을 지어 성주에게 올리는 관행이며, 동지 팥죽은 동짓날 팥죽을 쑤어 축귀하는 의미로 집안 곳곳에 뿌린다.

그런가 하면 순창 지역에서는 동티잡이와 엄나무 걸기, 부적과 입춘축 붙이기 등의 관행이 있다. 동티잡이는 집안의 사람이 갑자기 아프면 부엌에서 자귀와 망치를 두드리면서 경을 읽기도 한다. 엄나무는 안방의 문 위에 걸어 놓는 것으로 잡귀 방지를 기원하는 의미를 갖는다.

순창군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가정 신앙을 유지하는 전통이 내려오기는 하지만 탈농촌 도시화 현상으로 아파트에서 생활하는 젊은 세대는 가정 신앙을 유지하는 경우를 찾아보기 쉽지 않다. 다만 전통 주택에서 부엌 개량을 하면서 조왕 중발을 주방에 모시는 집도 있고, 집들이를 할 때 마른 명태를 방문 위에 걸어 두는 성주신의 관행이 유지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