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1530
한자 興龍里古墳群
영어의미역 Heungnyong-ri Tomb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171-7
시대 고대/삼국 시대/가야,조선/조선
집필자 송영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재지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171-7 지도보기
성격 고분
양식 매장 유구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에 있는 고분군.

[개설]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흥룡마을, 호암마을, 먹점마을 등으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으로, 섬진강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흥룡리는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산세가 섬진강을 도강하는 용의 모습과 같다’고 한 데서 유래했다는 설과 흥룡리에 있던 ‘용소에서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고 한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위치]

흥룡리는 하동읍사무소에서 국도 19호선을 따라 서쪽으로 약 7㎞ 떨어진 거리에 있다. 흥룡리 삼국 시대 고분군흥룡마을 뒷산 분기봉에서 섬진강 쪽으로 뻗어 내린 서쪽 능선 사면부에 위치하고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흥룡리 삼국 시대 고분군국도 19호선 확장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삼국 시대 구덩식 돌덧널무덤[竪穴式石槨墓] 21기, 조선 시대 분묘 16기가 확인되었다. 구덩식 돌덧널무덤은 단곽식 [1봉토 내에 1기의 무덤]과 다곽식 [1봉토 내에 여러 기의 무덤]으로 구분되며, 대부분 주구(周溝)가 설치되어 있다. 주구나 벽석에서는 장속 행위의 일종으로 매납한 토기가 발견되었다. 조선 시대 분묘는 등고선과 수직으로 축조되었는데, 회곽묘와 널무덤[土壙墓]로 구분된다.

[출토 유물]

구덩식 돌덧널무덤에서는 토기, 철기, 장신구 등 191점의 유물이 출토되었고, 5~6세기 때의 것으로 추정된다. 소가야, 대가야, 백제, 신라 등의 외래 양식 토기와 재지에서 만든 토기가 같은 비율로 출토되었다. 또한 조선 시대 무덤에서는 청동 숟가락, 백자 등이 출토되었는데, 16~17세기 때의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삼국 시대 고분의 조사 예가 부족했던 하동 지역에서 비교적 대단위의 고분군이 조사되어 삼국 시대 하동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 교류상을 밝혀줄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