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하동특수교육지원센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0785
한자 河東特殊敎育支援-
영어의미역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ithin Hadong Office of Education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신기리 429-8[군청로 191] 경상남도 하동교육지원청 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문정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06년연표보기
이전 시기/일시 2007년연표보기
이전 시기/일시 2011년 2월 21일연표보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연표보기
주소 변경 이력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423-5 지도보기
현 소재지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신기리 429-8[군청로 191]지도보기
성격 공공 기관
전화 055-880-1931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신기리에 있는 경상남도 하동교육지원청 소속 특수 교육 지원 기관.

[설립 목적]

하동특수교육지원센터는 특수 교육 대상자에 대한 진단과 평가를 활성화하여 특수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특수 교육의 서비스 향상을 도모하는 특수 교육 센터이다. 하동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 학생들의 특수 교육 지원 사업을 홍보하고, 특수 교육의 질과 교원의 특수 교육 전문성을 높이고 장애 인식을 개선하여 통합 교육의 내실을 추구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2006년 진교초등학교 내에 있던 하동특수교육지원센터가 2007년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423-5번지 경상남도 하동교육청으로 이전되었다. 2011년 2월 21일 경상남도 하동교육지원청과 함께 하동군 하동읍 신기리 429-8번지에 청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하동특수교육지원센터는 장애로 인한 취학 유예 및 면제자에 대해 취학을 독려하고, 특수 교육 대상자의 의무 교육 실시에 대해 홍보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특수 교육 대상자 진단·평가팀을 구성하여 학구(學區) 내 특수 학교나 특수 학급이 없을 경우 학구가 아니더라도 주민 등록 이전 없이 거주지와 가장 가까운 특수 학교와 특수 학급에 입학이 가능하도록 도와주고 있으며 취학 의무 유예자와 복지 시설 등에 있는 의무 교육 및 학령기 교육 미수혜자를 조사하고, 특수 학교와 특수 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현황을 파악하여 장애 수준에 맞는 개별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만 3~5세의 특수 교육 대상 유아에 대해서는 공립과 사립 유아 교육 기관별로 실비를 지원하고 있다. 경상남도 하동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시[군]·도 협동으로 특수 학급 장학 활동을 전개하고 있고, 특수 학급과 전일제 통합 학급에 대해 특수 교육 활동비를 학교 회계에 편성하고 있다. 통합 학급 담임 교사 연수를 실시하고 일반 교원 연수 과정에 특수 교육 관련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그리고 통합 학급 교사와 특수 학급 교사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통합 학급 담임에 대해 우대책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단위 학교별 체험 중심 장애 인식 행사를 개최하고 장애 이해를 돕는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에 주력하고 있으며 하동군 관내 타 특수 교육 관련 기관과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하동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하동 지역 장애인 및 특수 교육 대상자의 가족을 상담하고 지원하고 양육 상담, 보호자 교육, 가족 지원 프로그램, 치료 지원 서비스를 확대 실시하고 있다. 특수 교육 대상자의 진로·직업 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운영하고 특기 적성 교육도 지원하고 있다.

[현황]

하동특수교육지원센터의 계획 수립과 전담 교사 지도 등 운영 전반에 대한 관리는 경상남도 교육청 특수 교육 담당 장학사가 맡고 있다. 조직은 특수교육지원팀, 통합교육지원팀, 진단·평가지원팀, 전환·진로교육지원팀, 순회·치료교육지원팀 등 5개 분과로 나누어져 있다. 협조 기관은 하동특수교육연구회,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하동군 장애인복지회, 하동장애인부모회, 하동군 종합사회복지관, 한국국제대학교 특수교육과 등이다.

[의의와 평가]

하동특수교육지원센터는 특수 교육 여건이 열악한 농어촌 지역에 교육적 지원을 확대하고 특수 교육 대상 학생의 발견과 관리를 통하여 특수 교육과 치료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하동특수교육』 (경상남도 하동교육청, 2010)
  • 경상남도 하동교육지원청(http://www.gnhde.go.kr/)
  • 하동특수교육지원센터(http://special.gnhde.go.kr/)
  • 인터뷰(하동특수교육지원센터 치료 교육 교사 정은아, 2010. 8. 23.)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