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상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101289
한자 喪禮
영어의미역 Funeral Rites
이칭/별칭 장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기도 광명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만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평생의례|통과의례
의례시기/일시 사람의 임종 직전부터 임종 후까지

[정의]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개설]

상례는 사회의 구성원이었던 사람이 죽어서 사회에서 분리되는 의례로 전통적인 관습이 가장 잘 나타나는 통과 의례이다. 보통 ‘장례(葬禮)’로 표현하기도 한다. 상례는 사람이 죽음에 임박한 시기부터 운명한 후 시신의 수습, 입관, 매장, 장례 후의 애도 기간 등과 관련된 모든 의례를 포함한다.

현대에는 전통 상례의 절차가 간소화되고, 전문적으로 상례를 담당해 주는 상조회나 장례식장 등에 의해 상례의 절차가 진행됨으로 인하여 일반인들의 생활과 점차 분리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매장 문화 자체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면서 화장을 통한 납골묘나 수목장(樹木葬)의 형태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상례는 마지막까지 효를 다하는 중요한 의례로 인식되고 있어 전통적인 절차나 의례 형태가 지속되고 있는 모습을 광명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에 걸쳐 불교와 유교 및 민간신앙의 양식이 혼합된 상례가 행해졌으나, 고려 말 중국으로부터 『주자가례(朱子家禮)』가 전래되고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崇儒抑佛)을 강행하면서 점차 유교 중심의 의례로 변화되었다. 그러나 중국의 풍속이 우리와 차이가 있기에 우리의 실정에 맞는 의례가 만들어지게 되었으며, 숙종 때의 이재(李縡)가 엮은 『사례편람(四禮便覽)』에 기록된 상례가 보편적으로 행해지게 되었다.

전통 풍속이 강하게 지속되었던 상례도 현대에 이르러 간소화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69년 「가정의례준칙」이 제정된 이후 상례를 간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었으며, 사회가 점차 핵가족화 및 도시화됨으로써 상례가 간소화되는데 영향을 주었다. 근래에 이르러서는 장례식장이나 병원의 영안실에서 상례의 절차가 전문적으로 진행되고, 부수적인 의례도 상조회나 종교 단체에서 주관해 주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상례가 일반인들의 직접적인 생활에서 멀어지고 있다. 광명 지역에서도 대부분의 상례는 장례식장이나 병원에서 치르는 것이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농촌 지역에서는 아직도 전통적인 의례에 따라 상례가 진행되기도 한다.

[절차]

상례의 절차는 초종(初終)·습렴(襲殮)·치장(治葬)·반혼(返魂) 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사례편람』의 기록에는 이를 세분화하여 초종·습(襲)·소렴(小殮)·대렴(大殮)·성복(成服)·조상(弔喪)·문상(聞喪)·치장(治葬)·천구(遷柩)·발인(發靷)·급묘(及墓)·반곡(反哭)·우제(虞祭)·졸곡(卒哭)·부제(副祭)·소상(小祥)·대상(大祥)·담제(譚祭)·길제(吉祭) 등의 19개 절차로 되어 있으나 지역에 따라 절차를 간소화하여 상례가 행해졌다. 여기에서는 광명 지역의 상례 절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초종

1) 정침(正寢): 광명 지역에서는 임종이 가까워지면 사랑과 건넌방 등은 객실이라 하여 부모님을 정침[안방]으로 거처를 옮긴다.

2) 종[臨終]: 운명이라고도 하며, 가족들이 돌아가시는 분의 마지막 순간을 지켜보는 것을 말한다.

3) 초혼(招魂): 고복(皐復)이라고도 하며, 죽은 사람의 흐트러진 혼을 불러 돌아오게 한다는 뜻이다. 광명 지역에서는 마을의 연로한 사람 가운데 혼백을 잘 부르는 사람이 돌아가신 분의 옷가지를 들고 문 밖에서 북쪽을 향해 ‘○○○씨 ○○ 운명’이라고 하며 초혼을 한다.

4) 시[收屍]: 천시(遷屍)라고도 한다. 초혼 이후 시체가 굳기 전에 주물러서 곧고 바르게 하고 입·코 등을 막는 것을 말한다. 광명 지역에서는 옷을 입힌 채 허리띠로 손·발을 묶고 옷고름으로는 무릎을, 대님으로는 팔꿈치를 묶어서 ‘칠성판’ 위에 모신다.

5) 사잣밥: 수시를 하는 동안 ‘사잣밥’을 마련한다. 밥 세 그릇, 무나물 세 그릇, 동전 세 개, 짚신 세 켤레, 죽은 사람의 신발 등으로 차리며, 손이 없는 방향으로 놓는다.

6) 발상: 남자 상주는 흰 두루마기로 바꿔 입고, 여자 상제는 머리를 풀어 헝겊을 매달아 집안에 초상이 난 것을 밖에 알리는 과정이다. 이때 남자 상주는 두루마기의 한 팔을 끼우지 않고 입는다.

7) 호상(護喪) 정하기: 호상이란 상주를 도와서 상사(喪事)의 모든 일을 처리하는 사람으로서, 상사를 알리는 일에서부터 치상(治喪)의 범절까지를 주관한다. 호상은 상주의 친구 가운데서 다른 마을까지 잘 아는 사람으로 정한다. 부고(訃告)도 호상의 이름으로 한다.

2. 습렴

1) 습: 시신의 옷을 벗기고 향 물이나 쑥 삶은 물로 씻기는 것을 말한다. 광명 지역에서는 시신이 남자일 경우에는 집안 어른이, 여자일 경우에는 친구들이나 마을 여자들이 맡아서 하였다. 씻을 때는 시신의 위쪽부터 냉수로 씻은 뒤, 향 물로 한 번 더 씻긴다.

2) 소렴: 수의를 입히는 것을 말하는데, 수의는 아래부터 위로 입힌다. 광명 지역에서는 수의를 다 입힌 뒤 버드나무로 만든 수저로 물에 불린 쌀을 입에 넣으며 “천 석이요, 십만 석이요.” 하면서 반함(飯含)을 한다.

3) 대렴: 시신을 입관하는 절차로써 전통적으로 소렴 다음날 하였으나, 현대에는 같이 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4) 성복: 입관 후에는 망자(亡者)의 성씨와 관직 등을 쓴 명정(銘旌)을 쓰고, 성복제(成服祭)를 지낸다. 성복은 상제들이 상복을 입는 절차로써 보통 친계(親系) 후손인 8촌까지의 범위에서 입는다. 과거에는 죽은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차이를 두어 다섯 단계의 옷을 입도록 하였으나, 굴건제복(屈巾祭服)이나 삼베 상복도 대부분 사라진 현대에는 검은 양복을 입고 완장을 차는 경우가 보편적이며, 건(巾)을 쓰는 형태로 간소화되고 있다.

3. 치장

1) 상여 꾸미기와 산역: 장삿날이 되면 아침에 상두꾼을 시켜 상엿집에서 상여를 가지고 와서 꾸미게 하고, 일부는 산역을 한다.

2) 발인: 시간에 맞추어 방에 들어가 관을 들고 나오는데, 광명 지역에서는 이때에 쪽박이나 바가지를 깨뜨린다. 관을 상여에 모신 뒤에 발인제를 지낸다. 상여 앞에 제물을 차리고 곡(哭)을 하면서 맏상제를 비롯하여 차례로 삼헌(三獻)·고축(告祝)·곡 등으로 끝낸다.

3) 분묘(墳墓): 상여는 선소리꾼에 의해 인도되며, 명정[영정]-공포(功布)[널을 닦는데 쓰이는 천]-혼백(魂帛)-상여-상주-조객의 순서로 묘지까지 간다. 가는 길에 친척집 옆을 지나갈 때에는 노제(路祭)를 지내기도 한다. 하관은 복인(服人)들이 결관바를 풀어서 하며, 이때 관이 놓일 자리인 내광(內壙)에는 백지를 깐다. 하관한 다음에는 석회로 내광을 채우고 명정을 덮은 다음에 홍대를 홀수로 덮는다. 맏상제가 흙을 떠서 세 번 실토(實土)하고, 이어서 복인들이 실토한 뒤에 일꾼들이 마무리를 하고 회를 다지는 작업을 한다. 회 다지기는 보통 ‘달구질’이라고 하며, 세 번 한다.

4. 반혼

1) 반곡: 장례 후에 신주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오면 여상주들이 곡 마중을 나온다. 장지(葬地)로부터 집에 돌아올 때까지 곡이 끊어지면 안 된다고 여겼다. 반혼한 혼백은 그동안 마련해 둔 상청에 모셨다가 지방을 써서 붙인 다음에 맏상제가 모시고 밖에 나가 분향재배한 다음에 태워 버린다. 상청에 돌아와서 반혼제를 지낸다.

2) 우제: 식사 때가 되면 아침저녁으로 상식을 올린다. 이튿날 아침에 재우제(再虞祭)를 지내고 성묘를 다녀오며, 삼우제도 같은 방식으로 한다.

3) 졸곡: 보름마다 삭망제를 지내며, 100일째 되는 날이거나 특별한 날을 잡아서 졸곡제(卒哭祭)를 지낸다.

4) 탈상(脫喪): 1년 후에 소상, 2년째 되는 날 대상을 지내며, 이날 탈상을 하면 상례가 끝나게 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광명시 일부 농촌의 자연 마을에서는 대동회를 통한 상부상조의 전통이 이어지고 있으며, 상례도 전통적인 관습대로 행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도시화와 농촌의 노령화로 인하여 대부분의 상례는 장례식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다. 특히, 절차가 복잡하고 어려운 초종과 염습은 전문적인 장의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치장의 경우에도 매장 풍습 중심이었던 전통적인 상례는 그 절차가 복잡하고 많은 인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점차 간소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잘 정비된 공원묘지를 이용하거나 화장을 하는 비중도 점차 늘어가는 추세이다. 현재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상례는 지역적인 특징이 거의 사라지고, 종교에 따른 일정한 형식으로 변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