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100462 |
---|---|
한자 | 李元翼先生墓-神道碑 |
영어공식명칭 | Tomb and Stele of Yi Wonik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유적/비 |
지역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산137-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권만용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5년 9월 20일 - 이원익선생묘및신도비 경기도 기념물 제85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이원익선생묘및신도비 경기도 기념물 재지정 |
성격 | 능묘 |
건립시기/일시 | 1634년 |
관련인물 | 이원익 |
높이 | 3.35m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산137-1 |
소유자 | 충현문화재단 |
문화재 지정번호 | 경기도 기념물 |
[정의]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원익의 묘소 및 신도비.
[개설]
이원익(李元翼)[1547~1634]의 본관은 전주, 자는 공려, 호는 오리, 시호는 문충이다. 한성부 유동(楡洞) 천달방(泉達坊)에서 태어났다. 태종의 아들 익녕군(益寧君) 이치(李礻+多)의 4세손이며 수천군 이정은(李貞恩)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표(李彪)이고, 아버지는 이억재(李億載)이며, 어머니는 동래정씨(東萊鄭氏)로 감찰(監察) 정치(鄭錙)의 딸이다. 강서(姜緖), 조충남(趙忠男) 등과 교유하였다.
성품이 소박하여 과장이나 과시할 줄을 모르고, 소임에 충실하고 정의감이 투철하였다. 다섯 차례나 영의정을 지냈으나 집은 두어 칸짜리 오막살이 초가였으며, 퇴관 후에는 조석거리조차 없을 정도로 청빈했다고 한다. 인조로부터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저서로는 『오리집』·『속오리집』·『오리일기』 등이 있으며, 가사로 「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가 있다. 인조의 묘정에 배향되었고, 그가 벼슬을 물러나 노년을 보내던 광명시 소하동 옛 집터 관감당(觀感堂)[광명시 향토유적 제3호]과 오리영우(梧里影宇), 충현서원지 등이 남아 있었는데, 최근에 이곳을 정화하고 복원하여 충현기념관을 건립하였다. 특히 오리영우에 보관된 영정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로 지정되었다. 묘소는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데, 신도비와 함께 1985년 9월 20일 경기도 기념물 제8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위치]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산137-1번지에 있는데, 서독산의 서북으로 뻗은 능선 아래 남향으로 안장되어 있다.
[형태]
이원익 선생 묘는 전주이씨 묘역 중앙에 위치한다. 정경부인(貞敬夫人) 연일정씨(延日鄭氏)와 쌍분을 이루었다. 쌍분의 중앙 앞에는 묘표, 상석, 향로석이 있다. 상석의 전방에는 장명등이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좌우에 망주석과 문인석이 각각 1쌍이 배열되어 있다. 문인석은 복두공복형이며, 망주석에는 운각과 염의가 간략하게 표현되어 있다.
장명등[160㎝]은 1990년 7월 22일 도난을 당하여 새롭게 만든 것이다. 묘비는 대리석제 방부원수형으로 후면에는 음기가 있는데, 비문은 그의 4세손 이존도(李存道)가 안진경(顔眞卿)의 글씨를 집자(集子)한 것이다. 건립 시기는 1734년(영조 10)이다.
신도비는 묘역의 아래쪽에 있는데, 이수와 비신, 방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수에는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다투는 형상이 생동감 있게 묘사되어 있다.
[금석문]
비문은 승정원우승지 이준(李竣)이 찬하고, 글씨는 손녀사위인 미수 허목(許穆)이 썼다. 크기는 높이 335㎝, 비신 높이 185㎝, 폭 90㎝, 두께 28㎝이다. 현재의 비문은 마모가 심하여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며, 비신 자체도 균열과 박락이 심하다.
[의의와 평가]
이원익선생묘및신도비는 조선 후기 정치·사회·문화의 특징과 인맥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