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1529 |
---|---|
한자 | 洞祭[達城郡] |
영어공식명칭 | Village Tutelary Festival |
이칭/별칭 | 당제,성황제,산신제,수살제,탑제,포제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창언 |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 지역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동제(洞祭)는 마을의 무병과 풍년를 기원하며 마을의 수호신에게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당제', '성황제', '산신제', '수살제', '탑제', '포제' 등이라고도 한다. 동제는 자연 마을을 단위로 생활 공동체를 형성했던 전통 사회에서, 마을 공동체의 안녕과 결속의 상징으로서 기능했다. 달성 지역의 동제는 대도시에 인접하여 급격한 도시화의 영향을 받으며 대체로 간소화된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신당 및 신체]
동제를 지내는 장소를 제당(祭堂)이라 하는데, 달성 지역에서는 주로 당산이라 한다. 제당은 당목이나 기암괴석과 같은 자연물로 구성되거나, 돌무지, 입석, 당집 등과 같은 인공 조성물로 구성하거나, 자연물과 인공 조성물을 함께하여 구성하기도 한다. 신목을 가리켜 당목이라 하고, 돌무지나 입석은 조산이라 한다. 당집인 경우 성황당 등으로 불린다. 당목의 수종은 느티나무가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회나무, 팽나무, 소나무 등이 있다. 돌무덤은 흔히 조산이라 하는데, 동제의 신체인 동시에 비보 풍수와 관련된다. 동제를 지내는 제당은 일반적으로 상당, 중당, 하당 혹은 산신당, 동제당, 골맥이당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간소화되는 과정에서 한 곳 정도만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제의]
달성 지역의 동제는 대부분 정월 열나흘 자정 무렵에 지내 왔다. 동제를 엄격히 지냈던 당시에는, 자정 무렵에 상당인 산신당에 올라 제를 지낸 뒤 밤새 제당을 지키다가 새벽녘에 마을로 내려와 중당과 하당에서 제를 지냈다. 모든 제의를 마친 뒤인 대보름 아침 무렵에 마을 사람들이 모여 음복을 하고 대동회를 개최했다. 일부 마을에서는 대동회 때 이듬해 동제의 제관을 미리 선정하여 1년간 금기를 수행하도록 했다. 달성 지역에서 제관 선정은 일반적으로 정초에 천왕대 내림을 통해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제관은 목욕재계를 비롯해 각종 금기를 수행하면서 제수를 장만했다. 달성 지역 동제에서 제수는 대부분 직접 도살한 돼지를 진설하거나 돼지머리를 진설했다. 일부 마을에서는 열나흘 자정 무렵에 동제를 지내고, 다음날 제당에서 천왕대를 놓고 마을의 한 해 신수를 묻는 절차를 갖기도 했다.
[현황]
대도시에 인접하여 급격한 도시화의 영향을 받는 대구광역시 달성 지역에서 동제를 근래 간소화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동제의 간소화는 제관 선정과 금기 수행, 제수 장만, 제의 절차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예전처럼 풍물을 울리고 대내림을 통한 제관 선정은 거의 사라지고, 극히 일부 마을에서만 시행하고 있다. 제관의 금기 수행 기간도 1년에서 몇 주 혹은 며칠 정도로 크게 간소화되었다. 돼지를 직접 도살하여 장만하던 제수도 현재는 정육점에서 구입한 돼지고기 수육으로 대체하고 있다. 제를 지내는 시간도 열나흘 자정 무렵에서 대보름 오전으로 변경된 곳이 많다. 무엇보다도 농촌 지역의 과소화와 고령화로 몇 가구 남지 않은 마을에서는 두세 명의 여성이 제관이 되어 근근이 동제를 지속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