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864 |
---|---|
한자 | 李相虎 |
영어공식명칭 | Lee Sangho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최재성 |
출생 시기/일시 | 1926년 2월 19일 - 이상호 출생 |
---|---|
수학 시기/일시 | 1943년 - 이상호 대구상업학교 재학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3월 - 이상호 항일 비밀결사 태극단 결성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5월 9일 - 이상호 항일 비밀결사 태극단 결단식에서 단장 선임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5월 23일 - 이상호 일제 경찰에게 체포 |
활동 시기/일시 | 1944년 1월 19일 - 이상호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단기 5년, 단기 10년형 선고 |
활동 시기/일시 | 1945년 2월 - 이상호 병보석으로 출소 |
몰년 시기/일시 | 1945년 12월 9일 - 이상호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963년 - 이상호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출생지 | 봉산동 -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
거주|이주지 | 대구 - 대구광역시 |
학교|수학지 | 대구상업학교 - 대구광역시 |
활동지 | 대구 - 대구광역시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성 |
대표 경력 | 태극단 단장 |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이상호(李相虎)[1926~1945]는 1926년 2월 19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에서 태어났다. 대구상업학교 재학 중 항일 비밀결사 조직인 태극단(太極團)을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1943년 3월 대구상업학교에 재학 중이던 이상호는 김상길(金相吉)·서상교(徐尙敎)와 함께 태평양전쟁의 전황 및 아시아 각 나라의 동향, 일제의 민족 차별, 독립의 필연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고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운동을 펼치기로 결의하였다. 이상호 등은 구한말 조선이 사용하였던 태극기를 본떠 태극단이라는 단명을 정하고 약칭을 T·K·D라고 하였다. 태극단은 전국의 학교와 각 지역별로 조직을 완성한 후 항일투쟁을 전개하고, 국내에서의 투쟁이 여의치 못할 때에는 중국으로 집단 망명하여 항쟁을 이어 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상호 등은 결성 이후 단원이 26명으로 늘어나자 5월 9일 대구 앞산에서 정식으로 태극단 결단식을 거행하고 조직을 구성하였다. 태극단의 조직 체계는 일반 조직과 특수 조직으로 구성되었는데, 일반 조직에는 활동을 총괄하는 관방국과 체육국 산하에 군사·무도·경기·등산·항공·박물·이화 등 8개부를 두었다. 특수 조직인 건아대(健兒隊)는 중학교 1·2학년생과 국민학교 상급반 학생들 가운데 민족의식이 높고 실천력과 책임감이 높은 학생들을 가입시켜 육성하려는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이때 이상호는 단장을 맡았다.
1943년 5월 23일 이상호는 한 학생의 밀고로 대구경찰서 고등계 형사에게 체포되었고, 가택 수색 과정에서 태극단 관련 문서가 발각되었다. 5월 25일 학교에서 수업을 듣던 서상교·김상길·김정진(金正鎭)·이준윤(李浚允)·이원현(李元鉉)·윤삼룡(尹三龍)·정광해(鄭光海)·이태원(李兌遠)·정환진(鄭晥鎭) 등도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이상호는 1944년 1월 19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단기 5년 장기 7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김천소년형무소로 이감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상호는 1945년 2월 건강이 악화되어 병보석으로 출소하였으나, 고문 후유증으로 12월 9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상호의 공적을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대구상원고등학교 총동창회는 이상호 등의 의거를 기리기 위하여 2003년 대구상원고등학교 후문 인근에 태극단 학생 독립운동 기념공원을 조성하였고, 2003년 10월 19일 태극단 학생 독립운동 기념탑을 건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