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571
한자 金潤植
영어공식명칭 Kim Yunsik
이칭/별칭 김상희(金祥熙)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종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8년 3월 5일연표보기 - 김윤식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43년 - 김윤식 대구공업고등학교 기계과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44년~1948년 - 김윤식 경북 경산 용성초등학교 교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50년~1952년 - 김윤식 『대구신보』 기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52년~1958년 - 김윤식 흥해중학교·경주여자고등학교 교사 역임
수학 시기/일시 1954년 - 김윤식 홍익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55년 - 김윤식 시 동인 『청맥』 창여
활동 시기/일시 1959년 - 김윤식 시 동인 『시림(詩林)』 창립
활동 시기/일시 1957년 - 김윤식 시집 『오늘』 출간
활동 시기/일시 1964년 - 김윤식 『대구일보』 신춘문예에 시 「고난을 헤치고」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69년~1972년 - 김윤식 『영남일보』 기자
활동 시기/일시 1979년 - 김윤식 경산문학회 창립
활동 시기/일시 1991년~1996년 - 김윤식 『경산신문』 초대 주필
몰년 시기/일시 1996년 8월 29일연표보기 - 김윤식 사망
학교|수학지 대구공업고등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홍익대학교 - 서울특별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시인
성별 남성
본관 경주
대표 경력 『영남일보』 기자|『경산신문』 초대 주필|4·19혁명 유공자

[정의]

1960년대 대구에서 활동한 저항시인.

[개설]

김윤식(金潤植)[1928~1996]은 1928년 3월 5일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이다. 김윤식은 1943년 대구공업고등학교 기계과를 졸업하고 1954년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64년 『대구일보』 신춘문예에 시 「고난을 헤치고」를 김상희(金祥熙)라는 필명으로 발표하여 등단하였다. 불교의 영향이 짙은 시로 출발하여 1960년대에는 현실의 부조리에 항거하는 저항시를 발표하였다. 1970년대 이후 경산 용성면에서 농촌 생활을 하며 농민시를 발표하였다.

[활동 사항]

김윤식은 1944년부터 1948년까지 경산 용성공립국민학교[현 용성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였다. 1950년부터 1952년까지 『대구신보』 기자로 활동하였고, 1952년부터 1958년까지 흥해중학교와 경주여자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였다.

김윤식은 1955년 경주에서 유치환 등과 시 동인 『청맥(靑麥)』을 창립하였다. 1957년 경주여자고등학교 교사 시절 시집 『오늘』을 출간하였다. 1959년 전상렬·윤혜승 등과 시 동인 『시림(詩林)』 회원으로 대구 문단에서 활동하였다.

김윤식은 ‘2·28 대구학생데모를 보고’라는 부제를 단 시 「아직은 체념할 수 없는 까닭」을 1960년 3월 1일 『대구일보』에 발표하였다. 「아직은 체념할 수 없는 까닭」은 김윤식이 1960년 2월 28일 농사지은 땅콩을 팔러 염매시장에 가는 길에 삼덕동 일대에서 학생 시위대를 목격하고 쓴 시로 알려져 있다. 1960년 「사이비 학자 교사에게」를 『대구매일신문』[현 『매일신문』]에 3월 30일과 31일 2회에 걸쳐 발표하였다. 혼탁한 사회를 방치하고 있는 사회 지도층을 비판하였다는 이유로 피신 생활을 하던 중 4·19혁명 직전에는 대구 봉덕동에 있던 전상렬 시인의 집에 잠시 숨어 지내기도 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3·15 마산의거 희생자인 김주열 열사를 애도하는 시 「강이여 산이여 봄이여」를 1960년 4월 15일 『대구매일신문』에 발표하는 등 1960년대 대구 지역의 저항시인으로 활동하였다.

김윤식은 1979년 고향 경산에서 도광의·서석달·안태중·윤혜승·전상렬·정석모 등과 함께 경산문학회[현 한국문인협회 경산지회]를 창립하였다. 김윤식은 『경산신문』 초대 주필[1991~1996], 『영남일보』[1969~1972] 기자,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대구광역시연합회 사무국장, 경산문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김윤식은 1996년 8월 29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윤식은 1962년 3월~4월 사이에 『석굴암』을 필명 김상희『대구매일신문』에 연재하였다. 『오늘』[1957], 『아직은 체념할 수 없는 까닭』[1960], 『산촌근일초』[1973], 『하늘이여 너에게』[1984], 『아직도 체념할 수 없는 까닭은』[제2시집 재간][1991] 등을 발간하였다.

[상훈과 추모]

김윤식의 시비 ‘합장’이 1995년 4·19국립묘지에 조성되었다. 2010년 10월에 고향 경상북도 경산 남매공원에 시비 ‘아직도 체념할 수 없는 까닭’이 세워졌다. 2018년 6월 경상북도 경산시 용천면 덕천리 생가에 생가 표지석을 세웠다. 김윤식은 2019년 4·19혁명 유공자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