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각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실. 안동인 권인형(權仁衡)과 권인형의 아들 권세평(權世平)의 제사를 지내고 무덤을 관리하기 위해 세운 건물이다. 권인형은 안동권씨 부정공파 영덕 입향조인 권책(權策)의 아들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각리리(角里里)는 병곡면 남서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각리1리, 각리2리, 각리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은 대장수, 발새재, 다릿골, 어느실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각리1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각리1리 각실앞마을의 윗마을과 아랫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의 할배당과 할매당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거무역리(居無役里)는 영덕군 병곡면 동부에 있는 지역으로, 행정리는 거무역리 하나이다. 자연마을은 바닷마, 안모치, 천방모치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있는 거무역리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거무역리와 시중 박세통」은 영덕군 병곡면에 있는 한 마을이 거무역리라고 불리게 된 유래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박세통(朴世通)[미상~미상]은 영해박씨(寧海朴氏)로서 고려 시대 최고 관직인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오른 인물이다. 박세통이 고을을 순행하던 중 동해 용왕의 아들인 거북이를 구해...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거무역리에 있는 개신교 구세군 교회. 구세군 거무역영문(救世軍居無役營門)은 구세군 경상북도 지방 소속 29개의 구세군 교회[영문] 중 하나로 김영배 특무가 개영(開營)하였다....
-
조선 후기 영덕 출신의 문신. 권대림(權大臨)[1659~1723]은 경상도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 출신의 문신으로 1687년(숙종 13)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자인현감(慈仁縣監)·만경현감(萬頃縣監)·보령현감(保寧縣監) 등을 지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한 법정리. 금곡리는 영덕군 병곡면 북쪽에 있는 지역으로, 행정리는 금곡1리·금곡2리·금곡3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 마을로는 거무실마을·지경마을·유금마을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금곡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금곡리는 동해안을 따라 영덕군의 최북단에 있으며,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금음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농촌 마을인 금곡1리 거무실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밤에, 어촌마을인 금곡2리 지경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시(子時) 무렵에 동제(洞祭)를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금곡1리 거무실마을에 있는 김녕김씨 집성촌. 김녕김씨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관향으로 하고, 김시흥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금곡리 김녕김씨의 입촌조는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의 증손인 김한중(金漢重)[?~1579]이다. 김한중이 이 마을로 피신하여 정착한 후 후손들이 대를 이어 세거함으로써 김녕김씨 집성촌이 되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천리는 영덕군 병곡면 남동부에 자리한 법정리로, 행정리는 덕천리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실. 돈수재(遯峀齋)는 김덕유(金德裕)[1694~1767]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하였다. 김덕유의 자는 주언(周彦)이고, 호는 돈수(遯峀)이다. 1804년(순조 4) 김덕유의 후손인 김정련(金鼎鍊)[1783~1862]의 주도로 수안김씨(遂安金氏) 부장공파(部將公派)와 지역 유림의 공론으로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영덕 지역의 민간에 전승되어 오는 생활 관습과 지식. 민속은 민간에 전승되는 관습과 지식 체계를 의미한다. 경상북도 영덕 지역은 경상북도의 동북부에 해안 지역에 있다. 동해안과 접한 영덕 지역은 기후적으로 냉온대에 속하고 있으며, 바다를 끼고 있어 혹한(酷寒)과 혹서(酷暑)는 거의 없는 편이다. 영덕 지역은 과거에는 강구·금호·영해 평야를 중심으로 농업이 주로 이루어졌지만...
-
조선 전기 영덕 출신의 학자. 박응천(朴應天)[1561~1603]은 지역의 문풍과 교화에 힘쓴 향유(鄕儒)로서 운계서원(雲溪書院)에 제향되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백석리 백륙마을·흰돌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백석2리는 동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인접하여 하나의 마을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백석항에 인접한 백석2리 흰돌마을은 어촌이며, 백석1리 백륙마을은 농촌으로 각기 정월대보름에 동제(洞祭)를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 범흥사(梵興寺)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고 있으나, 일설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고도 한다. 구체적인 기록이 남아 있지는 않으나, 조선 후기인 19세기 초에 폐사되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있는 개신교 교회. 병곡교회(柄谷敎會)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교단 소속 교회이다. 6.25전쟁이 끝나고 1958년 3월 23일 병곡면에서 첫 예배를 드리고 천막교회로 시작하였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병곡리는 영덕군 병곡면의 동쪽에 있는 지역으로, 행정리는 병곡1리·병곡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 마을은 구렁모태·종달리[종다리끝]·두둘마·용머리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병곡리 자래실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병곡2리 자래실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회관 인근에 마련해 둔 동제당(洞祭堂)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 속한 법정면. 병곡면은 영덕군의 북동쪽에 있는 지역으로, 법정리는 삼읍리·금곡리·백석리·병곡리·영리·거무역리·아곡리·원황리·이천리·각리·사천리·신평리·송천리·덕천리 등 14개이며, 행정리는 삼읍리·금곡1리·금곡2리·금곡3리·백석1리·백석2리·병곡1리·병곡2리·영1리·영2리·영3리·영4리·거무역리·아곡리·원황1리·원황2리·이천리·각리1리·각리2리·각리3리·사천리·신...
-
1919년 3월 18일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민족대표 29명은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이어 2시 30분경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3.1독립운동이 시작되었다. 영덕에서도 서울을 다녀온 인사들에 의해 3.1 독립운동 소식이 전해지게 된다. 1919년 3월 18일 오후 1시경 영해면 성...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2011년에 간행한 향토지. 『병곡면지(柄谷面誌)』는 영덕군과 영덕문화원에서 영덕군민들에게 병곡면 지역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내 고장에 대한 자긍심과 애향심을 갖게 할 목적으로 간행한 읍면 향토지의 하나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 전파된 석가모니를 교조로 하는 종교. 우리나라에 불교가 처음 들어온 것은 삼국시대이다. 고구려는 372년(소수림왕 2), 백제는 384년(침류왕 1), 신라는 527년(법흥왕 14) 불교를 공인하였다. 영덕군은 637년(선덕여왕 6)에 유금사(有金寺)가 창건되면서 불교가 전파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20여 종단에서 73개의 사찰을 운영하고 있고, 전통 사찰 2개소와...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천리는 영덕군 병곡면 남서부에 있는 지역이며, 행정리는 사천리 하나이다. 자연 마을은 골마, 단바우, 모개[項里], 아랫마[아랫모태], 중간마[중간모태]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삼읍리에 있는 김녕김씨 집성촌. 김녕김씨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관향으로 하고, 김시흥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김녕김씨로 삼읍리에 처음 입촌한 인물은 노은(魯隱) 김명남(金命南)[생몰연대 미상]이다. 김명남이 1720년에 금곡리에서 이 마을로 옮겨와 정착한 후 후손들이 세거하여 김녕김씨 집성촌을 이루었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음력 3월 3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로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로 여겨진다. 한자로는 삼중일(三重日), 삼진일(三辰日), 상사일(上巳日), 상제(上除), 원사일(元巳日), 중삼일(重三日), 답청절(踏靑節), 계음일(禊飮日)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음력 1월 1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설날은 음력 1월 1일로, 한 해의 시작을 맞는 날이다. 원일(元日), 원단(元旦), 원정(元正), 원신(元新), 원조(元朝), 정조(正朝), 세수(歲首), 세초(歲初), 연두(年頭), 연수(年首), 연시(年始)라고도 하며, 근대에는 양력 1월 1일인 신정(新正)과 대비하여 구정(舊正)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설날은 전근대 시기...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일 년 중 특정한 날에 주기로 행하는 의례와 관습. 세시풍속(歲時風俗)은 사람들이 제때 철을 인식하는 철갈이 민속이다. 1년을 주기로 반복되는 자연의 변화를 인간의 생활 주기로 관습화한 세시풍속은 자연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생활상의 주기적 대응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에 있는 개신교 교회. 송천교회(松川敎會)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교단 소속 교회로 낙평교회와 함께 1919년 영덕 지역 3.18독립만세 운동의 중심이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1리에 있는 안동권씨 집성촌. 안동권씨는 경상북도 안동을 관향으로 하고, 권행(權幸)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송천리의 안동권씨는 송천자(松川子) 권득여(權得輿)[1636~1716]가 1665년경에 관어대에서 이 마을로 이거하여 정착한 후 아들 7형제 중 3명이 문과에 급제하는 등 많은 인재를 배출하고 후손들이 세거하여 안동권씨 집성촌을 이루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천리(松川里)는 영덕군 병곡면 남부에 자리한 법정리이다. 행정동은 송천1리와 송천2리로 구분되어 있다. 자연마을은 개양모태, 서당모태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에 세워진 근대 교육기관. 송천정사(松川精舍)는 권득여(權得輿)[1636~1716]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권득여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득초(得初), 호는 송천자(松川子)이다. 1682년(숙종 8) 생원시·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93년(경종 19) 경릉참봉에 제수되었다.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송천자독오록(松川子獨娛錄)...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평리는 영덕군 병곡면 남부에 있는 법정리로, 행정리는 신평리이다. 자연 마을은 아릿모태·우물모태·웃모태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아곡리(牙谷里)는 영덕군 병곡면 중심에 있는 지역으로, 행정리는 아곡리 하나이다. 자연마을은 건네모치, 고란모치, 논뚝모치, 새논골[보곡(保谷)]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의 부속 건물. 영덕운산서원강당(盈德雲山書院講堂)은 1812년(순조 12) 백문보(白文寶)[1303~1374]와 백현룡(白見龍)[1543~1622]을 배향하기 위해 건립한 운산서원(雲山書院)의 강당이다. 현재 강당 건물은 1899년(광무 3)에 새로 복설한 것이다. 백문보의 본관은 대흥(大興), 호는 담암(淡庵), 시호는 충간(忠...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에 있는 영덕군청 산하 보건 의료 기관. 영덕군보건소는 1962년 5월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에 설치되었으며, 영덕군청의 4개 직속 기관[보건소. 농업기술센터. 물관리사업소. 시설체육사업소] 중 한 곳으로 운영되고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에 있는 행정 기관. 영덕군청은 기초 지방자치단체인 영덕군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에 있는 경북지방우정청 산하 우정사업 기관. 영덕우체국은 경북우정사업본부가 관할하고 있는 대구 경북 지역 시군의 33개 우체국과 우편집중국 중 하나로 운영되고 있는 우정사업 기관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영리는 영덕군 병곡면 동쪽에 있는 지역으로, 행정리는 영1리·영2리·영3리·영4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 마을로는 교회모태, 범흥, 부엉바우, 썩은바우마을, 아릿마, 아릿모태, 영동보곡, 웃말[웃연골], 주막거리, 중간마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영리 미륵불(榮里彌勒佛)은 보곡마을 미륵당(彌勒堂)에 봉안되어 있으며, 1689년(숙종 15)에 제작되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2리 연골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영2리 연골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 마을회관 건너편 숲에 있는 제당(祭堂)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1리 범바우마을에 있는 울진장씨 집성촌. 울진장씨는 경상북도 울진군을 관향으로 하고, 장말익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영1리의 울진장씨는 1616년에 명고(明皐) 장효일(張孝一)[1596~1655]이 입촌한 후 후손들이 세거하여 울진장씨 집성촌을 이루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금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부도비와 부도. 영운당대선사비(影雲堂大禪師碑)와 부도(浮屠)는 1806년(순조 6)에 건립된 영운당의 부도비와 부도이다. 영운당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비문에는 김해김씨(金海金氏)이며 어머니가 달성서씨(達城徐氏)라고 새겨져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박제상을 시조로 하고 박명천을 입향조로 하는 세거성씨. 영해박씨(寧海朴氏)는 신라 파사왕의 5세손인 박제상(朴堤上)을 시조로 하고 박제상의 26세손 박명천(朴命天)를 입향조로 하는 성씨이다.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일대에 세거했으나, 현재 영덕 지역에 남아 있는 후손은 그리 많지 않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축산면·창수면·병곡면 일원에 발달한 반촌의 사회문화적 특성. 옛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 지역에는 조선시대 이후 유수한 반촌이 형성되었다. 또한 학문과 절의를 숭상하고 혼인으로 연대하며 지금까지 반촌 특유의 문화를 전승해 오고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거무역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운계서원(雲溪書院)은 1824년(순조 24)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 유림들에 의해 건립되었다. 박제상(朴堤上)·박세통(朴世通)·박응천(朴應天)[1556년~1603]을 제향한다. 박제상은 신라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 대의 충신으로 영해박씨(寧海朴氏) 가문의 시조이다. 그 후손 박세통은 고려 고종 연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황리(遠黃里)는 영덕군 병곡면 동남쪽에 있으며, 행정동은 원황1리·원황2리로 분동되어 있다. 자연 마을은 대포동[원황2리], 서실막, 운산, 아릿모치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금곡리에 있는 삼국시대 사찰. 유금사(有金寺)는 637년(선덕여왕 6) 왕의 명령으로 자장율사(慈藏律師)[590~658]가 창건한 고찰(古刹)로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佛國寺)의 말사(末寺)이다. 유금사에는 보물[제674호]로 지정된 '영덕 유금사 삼층석탑(盈德有金寺三層石塔)'을 비롯해 지정문화재에 버금가는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있는 유금사에 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유금사(有金寺)에 온 영험한 도승이 불법(佛法)으로 스님들을 죽이는 큰 지네를 물리치는 이야기이다.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유금사는 영덕군 병곡면 칠보산(七寶山)에 있는 절로서, 삼국시대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慈藏律師)[590~658]가 창건한 사찰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천리(伊川里)는 영덕군 병곡면 서부에 있으며, 행정리는 이천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가매골, 아릿이래실[아릿마], 양지모치, 텃골모치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음력 1월 15일을 전후하여 행하는 세시풍속.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을 전후한 날로, 이날을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중원(中元)[7월 15일], 하원(下元)[10월 15일]과 연관해서 부르는 한자어이다. 또 이날을 오기일(烏忌日) 또는 달도(怛忉)라고 부르기도 한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주민이 자치권을 이양받아 스스로 참여와 결정에 따라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제반 활동. 지방자치(地方自治)는 단체자치(團體自治)와 주민자치(住民自治)가 결합한 용어로서, 자신이 속한 지역의 일을 주민 자신이 처리한다는 민주 정치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는 일정한 지역의 주민들이 법률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를 구성하여 중앙 정부로부터 상대...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음력 8월 15일을 맞아 행하는 세시풍속.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설, 단오와 함께 최대의 명절 중 하나이다. 추석은 한가배(嘉俳), 가배일(嘉俳日), 가위, 한가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하는데, 이날은 한해 결실의 기쁨을 조상, 친척과 나누는 날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산모와 가족들이 아이의 출생과 성장을 위해 행하는 일생 의례. 출산 의례는 일생 의례 중 인간의 출생, 탄생과 관련된 단계의 의례이다. 출산 의례는 새로운 생명의 잉태를 염원하는 것에서부터 산모가 임신 중에 자신의 몸과 태아를 돌보는 것, 출산 후 아이의 성장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아우른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리에 위치한 자연휴양림. 1993년 개장한 칠보산자연휴양림(七寶山自然休養林)은 칠보산과 등운산을 잇는 능선 아래에 자리한다. 구역 면적은 109.04㎢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휴양림이 자리한 칠보산[801m]은 병곡면 금곡리와 창수면 삼계리,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과 경계에 있는 산으로, 태백산맥 끝자락 부근에 있다. 등운산(騰雲...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윤신달을 시조로 하고 윤황을 입향조로 하는 세거성씨. 파평윤씨(坡平尹氏)는 윤신달(尹莘達)을 시조로 하고 윤황(尹堭)[1404~?]을 입향조로 하는 성씨이다.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매일리·대지리·주응리·덕산리 등지에 세거하고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리 등운산에 향교암이라고 불리는 바위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향교암과 처사 박응천」은 영덕군 병곡면 영리 등운산에 있는 바위굴이 향교암(鄕校岩)이라고 불리게 된 유래를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향교암은 선비 박응천(朴應天)이 피난하던 곳이다. 박응천은 영해박씨(寧海朴氏)로서 고려시대에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를 지낸 박세통[미상~미상]의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