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01728
한자 -湯
영어의미역 Sea Catfish Soup
이칭/별칭 물메기탕,곰치국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옥승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토음식
재료 바다메기|무|콩나물|대파|소금|마늘
계절 겨울

[정의]

전라남도 여수 지역을 비롯한 남해안에서 바다메기를 탕으로 끓인 음식.

[개설]

바다메기는 학명이 아니라 어부들이 부르던 통칭이다. 민물메기와 비슷하게 생겨서 바다메기라고 부르는데 정식 명칭은 꼼치로, 쏨뱅이목 꼼치과의 바닷물고기이다. 지역에 따라 물메기, 물곰, 멍퉁이, 물텀벙이라고도 부른다. 최대 몸길이는 28㎝까지 성장하며 피부와 살이 연하여 일정한 모양을 갖추기가 어렵다. 몸과 머리는 옆으로 납작하고 머리는 큰 편이다. 주둥이는 짧고 끝은 둔하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약간 짧다. 몸 빛깔은 반투명하고 연한 청갈색 바탕에 그물 모양의 갈색 무늬가 있다.

[연원 및 변천]

바다메기는 특유의 흐물거리는 살과 흉한 생김새 때문에 20년 전만 해도 그물에 걸리면 징그럽고 재수가 없다는 이유로 그냥 버렸다. 그러나 생김새와는 달리 비리지 않고 시원한 맛을 내는 특성 때문에 한겨울 속풀이 해장국 가운데 제일로 손꼽힌다. 고깃살이 부드러운 것도 바다메기의 매력이다. 뼈만 잘 발라내면 거의 들이마시다시피 할 수 있다. 특히, 껍질과 살 사이의 점막덩어리로 흐물거리는 부분은 맛의 정점이다.

바다메기탕은 반드시 살아 있는 바다메기를 사용해야만 제 맛을 낼 수 있다. 죽은 바다메기로 탕을 끓이면 담백한 맛이 크게 떨어지는데다 비린내가 나 특유의 제 맛을 내지 못한다고 한다. 바다메기를 요리로 처음 개발한 곳은 통영 지역 식당이었으며, 이후 입소문이 퍼지면서 여수 지역에도 전문식당이 증가하였다.

[만드는 법]

바다메기는 내장을 제거하고 적당한 크기로 썰어둔다. 무는 나박나박하게 썰고 콩나물은 손질하여 씻어 놓는다. 냄비에 무와 콩나물을 넣고 한소끔 끓을 때 바다메기를 넣는다. 다시 한번 끓고 나면 소금 간을 하고, 다진 마늘과 대파를 넣는다. 식성에 따라 고춧가루를 넣기도 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바다메기는 어부들이 잡으면 재수가 없다는 이유로 다시 바다에 던져 버릴 때 ‘텀벙’ 소리가 난다고 하여 ‘물텀벙’이라고도 하였다. 『자산어보(玆山魚譜)』에는 해점어(海點魚)라 이름하고 설명하기를, “살이 아주 연하고 뼈도 연한데, 맛은 싱겁지만 술병을 잘 고친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학자들은 해점어가 오늘날의 바다메기 종류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