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영월군에서 고집 센 최씨 건달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고집 센 최씨 이야기」는 “산 김가 셋이 죽은 최가 하나 못 이긴다.”라는 속담과 관련된 이야기라고 하면서 시작된다. 하지만 실제 이야기 속에서는 김가가 세 명이 등장하는 것은 아니고 김가를 세 번 속인 것으로 되어 있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이목리 마네골과 윗배나무골을 잇는 고개. 구리고개는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이목리(梨木里) 서쪽 국도 제31호선 주변의 전나무골[회골(檜谷)]의 마천교 건너 마네골과 윗배나무골 사이에 있다. 마네골은 용마가 난 곳이므로 ‘말난골’이 ‘말낸골’로, 다시 ‘마네골’로 명칭이 변화하였다. 옛날 전나무골에 있는 말머리 굴에서 용마가 나왔으나 장수를 찾지 못하자 사흘 동...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연상리에 있는 자연마을. 궁장동(弓長洞)은 국도 제31호선과 연결된 산촌 마을이며, 망경대산[1,088m] 자락에 자리 잡고 있다. 산촌마을 앞으로 흐르는 계곡은 활[弓] 모양으로 굽은 곡류천(曲流川)인데, 높고 낮은 산봉우리에 둘러싸인 채 손도우골을 지나 석항천과 합류하여 영월읍 덕포리에서 남한강 상류로 유입된다. ‘궁장동’은 계곡의 자연경관이 아름다워서 여...
-
일제 강점기에 강원도 영월군에서 태어난 승려 출신 시조시인. 김어수(金魚水)[1909~1985]는 1909년 1월 4일 지금의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김소석(金素石), 호는 영담(影潭)이다. 어수(魚水)는 법명이며, 1922년 범어사(梵魚寺)에서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1930년대부터 시조시인으로 활동하였다. 1969년 대한불교 조계종의 첫 중앙상임포교...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 있는 영월군 출신 시인 김어수를 기념하기 위한 공원. 김어수공원(金魚水公園)은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 있는 공원이다. 영담(影潭) 김어수(金魚水)[1909~1985]는 강원도 영월군 출신의 승려이자 시인이며, 본명은 김소석(金素石)이다. 1909년 1월 4일 상동면 직동리[지금은 산솔면 직동리]에서 출생하였고, 1922년 부산 범어사(梵魚寺)에...
-
강원도 영월군에서 벌어진 영월지구 전투를 지휘한 경찰 간부. 김인호(金麟鎬)[?~?]는 1949년 북한 무장 유격대 토벌 작전을 지휘한 경찰 간부이다. 또한, 이듬해에 벌어진 6·25전쟁에서는 영월지구전투사령관으로 참전하여 강원도 영월 지역의 방어와 탈환을 위한 여러 전투를 지휘하였다....
-
개항기 강원도 영월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김찰은 강원도 영월 출신으로 개항기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서 의병을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
1950년 7월 8일 강원도 영월군에서 벌어진 녹전전투에서 전사한 6·25전쟁영웅. 김해수(金海洙)[1924~1950]는 1924년 9월 강원도 통천군 고저읍 보통리에서 태어났다. 6·25전쟁 초기에 강원도 비상경비사령부 전투경찰 제8대대 제1중대의 중대장을 맡았다. 강원도 영월군으로 침입한 북한군에 맞서서 영월 화력발전소를 사수하라는 명령을 받고 영월 녹전전투를 이끌던 중 북한군...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1920년대 영월 지역에는 상동 지역을 중심으로 한 텅스텐 광산 사업이 시작되었다. 1923년 채굴이 시작되었고, 1966년에는 텅스텐 광산 사업 종사자가 2,200여 명이었다. 지역의 거주 인구는 1만 6000명이 넘었다고 한다. 이처럼 텅스텐 광산 사업이 활발하던 시기에 교회도 개척되었으며, 대표적인 교회는 상동제...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교량. 녹전대교(碌田大橋)는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왕복 2차선의 교량이다. 국가지원 지방도 제28호선 영월동로 구간에 있으며, 녹전사거리에서 영월동로가 태백산로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지방도 제28호선 영월동로는 녹전대교를 지나 녹전사거리에서 좌회전 후 다시 녹전교를 지나 태백산로로 연결되어 국도 제31호선과 중복되면서 북쪽 석...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교육목표는 ‘창의력과 올바른 인성을 갖춘 꿈이 있는 행복한 미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근면, 노력’이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같이 느끼고 배려하는 어린이, 한 가지 일에도 정신을 쏟는 어린이, 거기에만 머무르지 않는 어린이, 지금부터 즐겁게 누리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있다. 교훈은 ‘지혜롭고 예절 바르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교량. 녹전교(碌田橋)는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으며, 태백산로의 노선에 위치하여 있다. 국도 제31호선이 새로운 노선으로 건설되기 이전의 구(舊) 국도 제38호선에 위치한 교량이다. 녹전교, 녹전대교, 충혼교가 모여 있는 녹전사거리에서 태백 방면으로 1㎞ 가면 녹전교차로가 있는데, 녹전교차로에서 응고개길 방면을 연결하는 다리도 동명의...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녹전리(碌田里)와 유전리(柳田里)에서 첫 자를 따서 녹전리(碌田里)라고 하였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당나무. 녹전리 엄나무 당목은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 녹전중학교 앞에 있는 수령 300년 이상 된 엄나무[개두릅나무]이다. 과거에는 녹반리[현재의 녹전리] 서낭당의 당나무 역할을 하였는데, 1970년대 새마을운동 당시에 서낭당은 없어지고 엄나무만 남았다. 서낭당이 있던 당시 마을 사람들은 단종(端宗)이 죽어 태백산 신령이 되었다고 믿어 서낭...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에서 재배되는 단호박. 강원도 영월의 특산물 단호박은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에서 재배되는 미니단호박[미니밤단호박]이란 종류다. 겉모습은 일반 단호박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한 손으로 쥘 수 있을 정도로 작게 개량된 품종이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 도화동과 하유전리의 붉은뱅이 사이에 있는 고개. 덧재[德峙]는 하유전리에서 도화동(桃花洞)으로 가는 붉은뱅이에 있다. 도화동(桃花洞)은 조선 후기 『정감록』이라는 비기서에 심취한 사람들이 ‘도화락지형국(桃花落地形局)’의 명당을 찾아와 터를 잡은 곳이다. 밖에서 보면 마을 입구가 좁고 사람이 살지 않는 동네 같으나 그 안은 넓고 땅이 기름져서 농사가 잘되...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자연마을. 도화동(桃花洞)으로 가는 길은 국도 제31호선인 태백산로에서 도화동길을 거쳐 가는 길이 있고, 다른 길로는 하유전리 붉은뱅이에서 덕재[큰재]를 넘어가는 포장 도로가 있다. 도화동은 도화낙지형국(桃花落地形局)의 명당터로 조선 후기에 『정감록(鄭鑑錄)』을 신봉하는 비기파들이 터를 잡았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의 특산물.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 있는 ‘두무동토종된장’에서는 최정해 대표와 이재용 대표의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방법을 토대로 만들어진 전통 된장을 2005년부터 ‘두무동토종된장’이라는 이름으로 시중에 선보이고 있다. 콩을 이용한 전통 장류는 발효될수록 영양 성분이 풍부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두무동에서 만들어지는 전통 장류들은 다이어트와 노화...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이목리에 있는 자연마을. 마네골은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이목리를 지나는 국도 제31호선에 있는 전나무골[회골[檜谷]]을 지나면서 마천교(馬川橋) 건너쪽으로 길게 뻗은 골짜기에 위치한다. 마네골은 수라리재에서 내려오는 수라리천과 국도 제31호선 주변에 자연마을인 전나무골, 고장골, 윗배나무골과 함께 위치하고 있다. 중심지인 이목리 아랫마을에 마을회관이 있다. 마...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 있는 자연마을. 막동(幕洞)은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 있는 자연마을이다. 동학(東學)이 삼남 지방으로 교세가 확장되자, 1871년 교주 최제우(崔濟愚)는 “혹세무민의 죄”로 대구에서 처형당하였다. 2대 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은 인제군 갑동리, 영월 소미원, 직동리, 정선 갈래사의 적조암(寂照庵)으로 피신하여 교단 정비와 조직 확대에 나섰다. 최...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연상리 망경대산에 있는 공립 휴양림. 망경대산자연휴양림(望京臺山自然休養林)은 영월의 명산인 망경대산 일원에 숙박과 교육 중심의 체험 공간으로 조성된 산림휴양 시설이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에 있던 자연마을. 망전리(望田里)는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에서 소미원(小味院)을 지나 망경대산[1,088m]에 있었던 한일탄광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마을이다. 망전리에는 1960년 초에는 한일탄광 관사와 망전이분교가 있었고 화전민들이 개간한 화전에서 콩, 옥수수 등 잡곡을 생산하여 모곡상에게 팔기도 하였다. 1970년대 폐광과 화전민 정리 사업으로...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연상리에 있는 자연마을. 영월에서 석항(石項)으로 가는 국도 제38호선 옛길 위로 미구2교가 지나간다. 석항천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건너 별빛정원펜션 앞을 지나 미구마을의 안골로 갈 수 있다. 미구(美九) 골짜기 입구에 큰 소(沼)가 있는데, 옛날 큰 이무기가 용이 되어 승천하였다는 전설이 있는 ‘용소’이다.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연상리의 미구마을은 진산(鎭山)...
-
개항기에 강원도 영월군으로 피신한 동학 제2대 교주 최시형을 도운 동학교도. 박용걸(朴龍傑)[?~?]은 지금의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 출신이다. 동학의 제2대 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이 1871년에 발생한 이필제(李弼濟)의 난을 피하여 영월 지역으로 숨어들자 최시형을 도와 보호하고 동학에 입도하였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이목리에서 정선군 신동읍 길운으로 넘어가는 고개. 뱃재가 있는 뱃재마을은 상동면이었으나, 1986년 4월 1일 영월군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산솔면에 편입되었다. 옛날 한 도사가 뱃재마을은 이화낙지형국(梨花落地形局)이므로 배나무를 심으라 하였다. 이 같은 이유로 다른 지역보다 배나무가 많았으므로 순수한 우리말인 ‘뱃재’라고 불렀으나, 일제 강점기에 한자식 지명인...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연상리에 있는 자연마을. 북실은 석항리 국도 제31호선 북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북실’이라 하였다. 북실의 ‘실’이란 ‘골짜기[谷]’의 이두식 표기로 ‘마을’을 의미한다. 또 다른 유래는 마을의 형상이 베틀에 사용하는 ‘북실’같이 좁고 긴 모양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연상리에 있는 서낭당. 서낭당은 마을을 수호하는 서낭신을 모시는 신당인데, 보통은 마을 어귀나 고갯마루에 있는 나무, 장승, 돌무더기, 당집의 형태를 띠고 있다. 북실 서낭당은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연상리 북실마을에 있는 당집 형태의 서낭당이다....
-
강원도 영월군에 속하는 법정면. 산솔면은 영월군 7개 면 중 하나로, 6개의 법정리에 12개의 행정리가 있다. 산솔면은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서쪽, 영월군 김삿갓면 북쪽에 위치하여 있다. 북쪽으로 강원도 정선군 사북읍·신동읍·남면(南面), 서쪽으로 영월군 영월읍, 남쪽으로 김삿갓면, 동쪽으로 상동읍과 접하여 있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산솔면 관할 행정기관. 산솔면사무소는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의 행정과 민원사무를 담당하는 공공기관이다. 관내 법정리 6개, 행정리 12개, 40개 반을 관할하고 있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에서 생산되는 지역 특산물. 산초(山椒)는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인 산초나무의 열매를 말한다. 주로 우리나라 중부 이북 지역에서 종자를 이용해 기름으로 짜 양념 등으로 활용한다. 산초기름은 생유로 섭취하거나, 건강주, 추어탕, 장아찌 등에 이용되는데, 특히 산초기름을 이용한 산초두부구이는 강원도 영월군의 대표 음식이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정보화 시범 마을. 삼굿마을은 강원도 영월군 중동면 녹전3리에 있는 마을로 유전리마을이라고도 한다. 산촌 사람들의 생활을 도시민들이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관광객을 유치하고자 다양한 행사와 전통문화를 발굴, 보존하는 마을이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광업회사. 삼성석회는 석회석을 채광하여 각종 제품을 생산하는 광업회사이다. 창립 이래 국내 최대 철강회사인 포스코에 석회석을 납품하고 있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 한밭골에서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로 가는 고개. 새비재[鳥飛峙]는 매봉산[1,268m] 맞은편에 있는 질운산의 왼쪽 날개 부분에 해당한다. 새비재에는 예부터 “앞 산인 매봉산은 매이고 조비치산은 새이기 때문에 조비치 마을 남자가 매봉산 마을 여자와 결혼을 하면 남편이 일찍 죽어서 서로 혼인을 하지 않는다.”라는 이야기가 전하여 온다. 새비재는 의병, 6·...
-
강원도 영월군에서 벌어진 녹전전투에서 활약한 6·25전쟁영웅. 석상익(石商益)[1919~1950]은 1919년 9월 6일에 태어났다. 6·25전쟁 당시 강원도 영월 지역 사수의 임무를 받고 비상경비사령부 전투경찰 제8대대 제1중대 소속 경위로서 지금의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서 벌어진 영월 녹전전투에 투입되었다. 중대장인 김해수 경감이 전사하자 중대장의 임무를 이어받아 전투를...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석항리에 있었던 서낭당의 터. 석항 서낭당터는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석항리 뒤편에 있던 서낭당의 터이다. 석항리의 서낭당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 당시 허물어졌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석항마을 뒤편에 있는 서낭당에서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에 서낭제를 지냈으나 서낭당이 허물어진 이후부터는 지내지 않게 되었다. 허물어지기 이전에 존재하였던 서낭당 건물은 양철 지붕...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연하리와 산솔면 연상리를 각각 지나는 터널. 석항1터널은 영월군 영월읍 연하리를 지나고, 석항2터널은 영월군 산솔면 연상리를 지난다. 석항1터널·석항2터널은 국도 제38호선에 있는 터널이다. 국도 제38호선의 영월군 구간은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 쌍용리 느릅재터널에서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의 신동교차로까지인데, 이 구간은 전체가 자동차전용도로이다. 국도...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석항리에 있는 태백선 석항역 일원에 조성된 숙박형 간이역 체험 시설. 석항트레인스테이는 태백선(太白線)의 기차역인 석항역 일원에 폐객차를 개조하여 객실과 식당, 카페 등을 조성한 숙박형 간이역 체험 시설이다. 태백선 석항역은 1957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과거 태백, 영월, 정선 등지에서 생산된 석탄의 집하장이자 물류기지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석탄...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에 속하는 법정리. 돌항소(乭項所)라는 천민 집단 구역이 있었던 것에 유래하여 ‘석항리(石項里)’라 칭하였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석항리에 있는 태백선 기차역. 석항역(石項驛)은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석항리에 있는 기차역이며, 한국철도공사 태백선의 무배치간이역이다. 영월군을 지나가는 태백선의 7개 역 가운데 동쪽 끝에 있다. 석항역은 역이 있는 곳의 지명인 석항(石項)[돌항]에서 따왔다. 석항리는 영월군의 이웃 군인 정선군 소속이었지만, 1914년에 영월로 편입되었다....
-
강원도 정선군 남면의 두위봉에서 발원하여 영월군 산솔면 석항리와 영월읍 연하리를 거쳐 동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 석항천(石項川)은 일반적으로 정선군 남면의 두위봉에서 발원한다고 알려졌으나, 정선군 남면의 죽염산에서 발원한다는 설도 있다. 두위봉과 죽염산에서 흘러나온 물이 정선군 신동읍 조동리에서 합쳐서 서쪽으로 흘러 영월군 산솔면 석항리로 들어서면서 비로소 상당히 큰 하천의 면...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이목리에 있는 샘터. 선령약수(仙靈藥水)는 강원도 영월에서 태백으로 넘어가는 국도 제31호선을 타고 수라리재를 넘어 이목리와 녹전리의 경계인 도로 옆에 있는 샘터이다. 수라리재는 고려 마지막 왕인 공양왕이 태조 이성계에 의하여 삼척의 궁촌으로 유배되어 갈 때 수라를 들었다 하여 이름 붙여진 험한 고개이다. 선령약수는 깊은 산골에 있는 만큼 물이 차고 깨끗하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 도화동에서 직동리의 한밭골로 가는 고개. 설운재(雪雲峙)는 산이 높고 골 깊은 오지이다. 설운재 아래 도화동(桃花洞)에 조선 후기 비기서인 『정감록(鄭鑑錄)』을 신봉하는 강릉최씨 일가가 ‘도화낙지형국(桃花落地形局)’의 명당에 터전을 잡았다. 도화동은 밖에서 보면 마을 입구가 좁고 사람이 살지 않는 동네 같으나 그 안은 넓고 땅이 기름져서 농사가 잘되고...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에 있는 자연마을. 소미원은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와 김삿갓면 외룡리 사이에 있는 자연마을이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연상리에 있는 자연마을. 손도우골은 망경대산 자락의 깊은 산간 지역으로 옛날에 호랑이가 자주 출몰하여 마을에서 가축을 물어 갔다. 사람들은 호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산맥이를 하거나, 날이 어두워지면 마당에 산초나무를 태워 호랑이의 침입을 막았다. 그 외에도 손도우골 화전민들은 밧줄로 엮은 호망(虎網)을 치고, 두꺼운 통나무로 빗장을 만들어 문을 보호하거나, 참나...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의 시누리와 상동읍 내덕리 가삼이 사이에 있는 높은 고개. 녹전 시누리에서 국도 제31호선을 따라 솔고개[松峴洞]를 넘으면 내덕리의 가삼과 먼내벌[원천]로 갈 수 있다. 먼내벌을 지나면 상동읍 덕구리(德邱里)와 구래리(九來里)가 있다. 솔고개휴게소 뒤쪽 단풍산[1,150m] 초입에 우아한 자태를 자랑하는 수백 년 된 큰 소나무가 있어 ‘솔고개[松峴]’라고...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에 있던 자연마을. 솔안이[松內]는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의 국도 제31호선이 지나는 점골과 잿말[잿마을]을 지나 동쪽 언덕 위 소나무 숲에 있었던 마을이다. 점말에는 폐교가 된 연상초등학교 화원분교와 수라리재를 넘어 다니는 사람들이 즐겨 찾던 송방집[가게]이 있었다. 마을의 진산(鎭山)인 수라리재의 지세가 너무 강하게 뻗어내려 동네를 위협하였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와 이목리 사이의 고개. 수라리재는 망경대산[1,088m] 자락에 있는 해발 600m의 높은 고개이다. 2013년 수라리터널이 개통되기 전에는 석항에서 녹전으로 갈 수 있는 유일한 국도 제31호선이었다. 수라리고개 아래에는 새벌마을, 잿마을, 점골 등 자연부락이 있는데, 진산(鎭山)에 해당하는 수라리재의 지세가 너무 강하므로 마을의 기를 살리기 위하여 돌...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자연마을. 양지마을은 산솔면 소재지인 녹전리에 있는 자연마을이며, 옛 국도 제31호선이었던 태백산로가 가로 질러간다. 녹전중학교 앞 양지마을에 녹전리 서낭당이 있었는데, 수령이 300년이 된 신목(神木)인 느티나무가 도로 한가운데 서 있다. 단종이 태백산 산신령이 되었다고 믿는 마을 사람들이 단종의 영정을 모시고 해마다 당제(堂祭)를 지냈으나,...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주변을 둘러싼 산봉우리가 연꽃봉우리 형상이고 영월초등학교 연하분교 뒤에 연꽃이 피는 연못이 있었다. 이에 ‘연꽃 연(蓮)’ 자와 ‘못 지(池)’ 자를 써서 만들어진 연지동 위쪽에 있으므로 ‘연상리(蓮上里)’라고 부르게 되었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자연마을. 유전리(柳田里)는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자연마을이다. 유전리는 하유전(下柳田)과 상유전(上柳田)으로 구분한다. 조선 시대에 이목리(梨木里)와 유전리 일대의 버드나무나 싸리를 이용하여 키나, 고리짝을 만드는 천민 집단 구역인 이목소(梨木所)가 있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이목소는 군에서 동쪽으로 50리...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자연마을.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 양지마을 건너편에 있으며, 뒤쪽으로 높고 험준한 목우산(牧牛山)[1.066m]을 두고 있는 자연마을이다. 음지마을에는 강원경찰의 녹전리 전투를 기념하기 위하여 1981년에 녹전전투 호국경찰 전적비(碌田戰鬪護國警察戰蹟碑)를 건립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강원경찰은 영월화력발전소·마차리탄광·상동중석광산을 사수하기...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 응고개마을과 솔고개 사이에 있는 고개. 응고개[鷹峴]는 김삿갓면 내리, 상동읍 덕구리와 함께 소가 엎드려 있는 형상의 목우산(牧牛山)에 감싸여 있다. 국도 제31호선이 개통되기 전에는 상동으로 가는 사람들이 응고개를 넘어 다녔다. 응고개는 끝이 삼각형의 높은 봉우리여서 ‘수리뫼’라고 불렀다. ‘수리’란 ‘가장 높은 곳’을 의미하는 말이다. 그 후 세월이...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었던 서낭당의 터. 응고개 서낭당터는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 응고개마을[응현동]의 서낭당이 있던 자리이다. 응현동 서낭당터라고도 한다. 응고개마을의 서낭당은 1972년 새마을운동 때 미신 타파 정책을 내세워 행정기관과 새마을운동 지도자들이 불태웠다고 한다. 서낭당이 불타 사라지기 전까지 응고개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대보름에 서낭제를 지냈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에 있는 법정리. 옛날 어느 도사가 마을의 형국이 이화낙지형국(梨花落地形局)이므로 배나무를 심으라고 하였다. 원터에 있었던 배나무도 이때 심은 것이라고 한다. 다른 지역보다 배나무가 많았으므로 순수한 우리말로 ‘뱃재’라고 불렀으나 그 후 이목리(梨木里)로 변하였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작은 고개. 장고목재를 넘어 산솔면 사람들은 녹전중학교 근처에 있었던 장승백이에서 선령약수(仙靈藥水)를 지나 영월장을 보러 다녔다. 1960년대 녹전감리교회 근처에 우시장이 있었을 때는 많은 사람들이 소를 몰고 장고목재를 넘어 영월약수캠핑장 쪽으로 질러서 다녔다. 장고목재는 운교산[922m] 줄기가 마치 장구목처럼 잘록하게 생겨서 녹전 읍내 길로...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에 있는 자연마을.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외룡리(外龍里)에서 숲거리를 지나 소미원(小味院) 길을 따라 따라가면 영월군 산솔면 화원2리 마을회관이 있다. 화원2리 마을회관 남쪽 넓은 들녘에 장광마을이 있다. 1960년대 장광마을 서쪽 망경대산에는 덕산탄광이 있었고, 북쪽의 영광산에는 한일탄광이 있어 마을 경기가 좋았고, 1970년대는 30여 가구가 있었으...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 있는 기암괴석. 직동괴암(稷洞怪岩)은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로 들어가는 길가 왼쪽에 있으며,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1단의 절벽이다. 직동괴암이 있는 곳은 양쪽이 큰 산으로 막혀 있기 때문에 외적(外敵)을 막아내기에 용이한 요새처이다. 조선 후기 일본군과 의병의 접전으로 사상자의 피가 계곡을 붉게 물들였기에 피 직(稷) 자를 써서 ‘직동, 핏골’이...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에 있는 법정리. 직동리는 백운산(白雲山) 자락의 두메 산골이다. 의병들이 일본군에 의하여 집단으로 피살되었으며, 가까이는 1949년 좌익 빨치산에 의하여 동네의 우익 청년단원 10여 명이 학살당한 곳이다. 수많은 의병들이 죽으면서 흘린 피가 계곡 전체를 붉게 물들였으므로 ‘피[稷]’ 자와 ‘골[洞]’ 자를 써서 직동리(稷洞里)[핏골]로 부르게 되었다는 유래가...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 있는 호랑이에게 물려 죽은 사람의 무덤. 호랑이로 인한 재앙인 호환(虎患), 호랑이 입에 들어간다는 뜻의 호람(虎嚂)이라는 용어가 있을 정도로 전근대 시대 호랑이로 인한 피해는 매우 컸다. 그래서 조선 시대에는 중앙에 착호갑사(捉虎甲士), 지방에 착호인(捉虎人)을 두어 호랑이가 출몰하면 포획하도록 하였다. 호랑이에게 희생된 사람을 위하여 호식장(虎食葬...
-
개항기에 강원도 영월 지역에서 몸을 숨기고 활동하였던 천도교 제2대 교주. 최시형(崔時亨)[1827~1898]은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 출신이며, 본관은 경주, 호는 해월(海月)이다. 1861년 최제우(崔濟愚)[1824~1864]가 창시한 동학에 입도하였다. 최제우가 체포되어 죽자 제2대 교주로서 강원도 영월에서 재기를 도모하고 동학의 종교적 기틀을 확립하였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에 있는 충신 추익한을 기리는 비. 추익한(秋益漢)[1383~1457]은 조선 전기의 인물로 본관은 추계(秋溪), 호는 우천(愚川)이다. 추익환은 홍문관부수찬, 호조좌랑, 호조정랑을 역임하였다. 훗날 관직에서 물러나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로 낙향하여 시서를 읽으며 자연과 함께하였다. 1457년 단종이 영월 관풍헌에서 승하한 후 태백산신이 되어 갈 때...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자연마을. 행금벌은 녹전리와 응고개[鷹峴] 사이로 국도 제31호선 교차로가 있는 마을이다. 태백, 상동을 지나는 옥동천은 녹전리 응고개를 지나 행금벌로 흘러간다.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때부터 천평리 상류인 어평(御坪)은 사금(砂金) 채취로 유명한 곳이다. 그리고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과 영월군 상동읍 덕구리의 경계인 금정(金井)은 금광으로 유명...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6·25전쟁 당시 경찰의 활약을 기념하는 전적비. 호국경찰 전적비(護國警察戰蹟碑)는 6·25전쟁 당시 영월발전소를 지키기 위하여 활약하다 희생된 김해수 경감 등 경찰 47명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6·25전쟁 당시 영월발전소는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발전소와 함께 대한민국 전력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핵심 시설이었다. 이 같은 배경에서 47명의 경찰...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에 있는 자연마을. 석항에서 녹전으로 가는 수라리재 아래에 있는 공마을, 덕밭골, 뒷대골, 바닥터, 솔안이, 점골(店谷) 등 화원1리에 있는 자연 부락을 통틀어 화라리(禾羅里)라 한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에 있는 레미콘 제조업체. 레미콘 제조업체인 화원산업은 레미콘 제조업체이며, 지역의 환경미화원들에게 내복을 기증하는 등 사회 공헌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는 기업이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통합에 따라 화라리(禾羅里)와 소미원(小味院)에서 한 자씩 따서 화원리(禾院里) 지명이 만들어졌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에서 잿마을을 지나 이목리로 가는 길에 있는 고개. 화원리(禾院里)에 국도 제31호선이 개통되기 전에는 사람들이 하천 옆으로 난 당재를 넘고 잿말을 거쳐 이목리로 걸어 다녔다. 수라리재 남쪽으로 흐르는 가르내를 따라 올라가면 고갯마루에 잿말 동네가 있었다. 잿마을은 고갯마루에 있어 ‘재위에 마을’이라고 부르다가 ‘잿마을’, ‘잿말’로 변하였다....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서 정선군 사북읍으로 이어지는 고개. 화절치(花絶峙)는 직동리 북동쪽, 백운산(白雲山)[1,426m] 자락에 있는 높은 고개이다. 예부터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서 정선으로 질러가던 고개이며, 봄에 진달래와 철쭉꽃이 많아 사람들이 꽃을 꺾어 갔으므로 ‘꽃꺾이재’라고 불렀다. 당시 농촌에서는 나무꾼들이 여러 종류의 꽃을 먼저 꺾는 사람이 이기는 꽃...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화원리에 있는 레미콘 제조업체. 효성레미콘은 콘크리트, 레미콘 및 기타 시멘트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