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떡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697
이칭/별칭 떡판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생산|제작처 전라북도 순창군
성격 주방 용구
재질 나무|흙
용도 작업용

[정의]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흰 떡이나 쑥떡에 모양과 무늬를 찍어 낼 때 도장처럼 사용하는 도구.

[개설]

떡살은 예부터 여인들의 살림 도구였다. 그래서 조선 시대 여인들은 혼숫감으로 떡살을 챙겨 갔다고 한다. 절편을 만들어 이웃과 나눠 먹을 때 자신의 살림 솜씨를 자랑하는 방편이기도 하였다. 더욱이 큰 잔칫날에 함께 모여 떡을 만들 때는 온 마을 떡살이 다 모이게 되므로 자신의 떡살에 이름이나 주소를 새겨 두었다고 한다.

[형태]

떡살의 문양은 지방에 따라 다른데, 산간 지방에서는 노루나 토끼, 해안 지방에는 가재나 새우가 나타난다. 특히 들판이 넓고 해안이 발달해서 싱싱한 음식 재료가 많았던 남부 지방에서 여러 모양의 무늬가 발달하였다. 떡살을 만드는 나무로는 강하고 질기며 결이 없고 탄력성이 있는 박달나무, 감나무, 대추나무, 회양목 등을 선택해서 만드는데, 다른 말로 떡판이라고도 한다.

떡살의 종류로는 앞뒤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양면 조각한 것, 여섯 면으로 조각한 것, 홍두깨나 다듬이 방망이 같은 생활 용품을 개조해서 만든 것도 있다. 떡살은 떡살 형태로 나무를 다듬은 후 갖가지 문양을 복사한 종이를 다듬어 놓은 나무에 붙이고 문양을 따라 창칼을 망치로 두드리며 조각하는데, 만드는 데 일주일 정도 걸린다고 한다. 나무 떡살은 1자 정도 긴 나무에 4~6개의 각기 다른 무늬를 새긴다. 보통 5~11㎝ 정도의 둥근 도장 모양으로 만드는 자기 떡살은 사기·백자·오지로 만든다. 궁중에서는 고급스러운 백자로 만들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떡살은 절편의 표면에 무늬를 찍어 내는 판이다. 떡에 살[문양(文樣)]을 부여한다는 뜻으로, 절편으로 무늬 찍는 것을 ‘살 박는다’고 하였다. 원형 문양에 손잡이가 양 가장자리에 있는 것을 떡손이라고 하는데, 떡을 일정한 크기로 먼저 떼어 내 눌러 찍은 것을 말한다. 하지만 장방형의 긴 떡살은 가래떡처럼 긴 떡에 연속무늬나 단독 무늬라도 연이어 있는 떡살을 양쪽에서 눌러 찍은 다음 떡을 적당한 크기로 떼 내거나 썰어서 먹었다.

떡살의 무늬는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어 때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였다. 시기나 온도에 따라서도 다른데, 단옷날의 수리치 절편에는 수레 무늬, 잔치 떡에는 꽃무늬, 사돈이나 친지에게 보내는 떡에는 길상무늬를 찍었다. 집안마다 독특한 떡살 무늬가 정해져 있어 별다른 일이 없으면 바꾸지 않았을 뿐 아니라, 바꿀 때는 문중의 승낙을 받아야 할 만큼 중시하였다. 떡살 무늬에는 우리 민족의 마음, 즉 떡 하나를 만들더라도 정성을 다해 멋스럽고 아름답게 만들려는 우리 조상들의 노력을 알 수 있다.

백일에는 기쁨을 의미하는 물고기나 파초를 그린 떡살을 사용하였고, 결혼식에는 원앙이나 꽃 위를 날아다니는 나비, 석류나 복을 가져다준다는 한 쌍의 박쥐 등을 사용하였다. 즉 아들딸 많이 낳고 복 받기를 기원하는 의미였다. 회갑에는 수복(壽福) 문자나 태극 팔괘 무늬 그리고 장수를 의미하는 잉어나 거북 등의 무늬를 새겼다. 승려들의 불공에는 연꽃무늬나 만자(卍字) 무늬를 넣었다. 장수나 다복, 부귀 등의 간절한 바람을 떡살에 담아냈던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