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888
한자 星州-
영어공식명칭 Seongju Korean Melon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특산물/특산물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성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조(생산) 시기/일시 1957년 - 일본에서 은천 참외 도입
제조(생산) 시기/일시 1975년 - 신은천 참외 육종 보급[중앙종묘]
제조(생산) 시기/일시 1984년 - 싸라기 은천 참외 육종 보급[흥농종묘]
제조(생산) 시기/일시 1989년 - 단성화 계통 금싸라기형 참외 육종 보급
제조(생산) 시기/일시 1993년 - 금싸라기, 금노다지, 금괴 등 단성화계 참외 품종 전면적 재배
제조(생산) 시기/일시 2002년 - 게르마늄, 키토산, 한방 참외 등 기능성 참외 생산
제조(생산) 시기/일시 2003년 - 오복 꿀참외 보급[농우바이오]
제조(생산) 시기/일시 2014년 - 양성화 계통, 비타민 C 보강 참외, 황색 과육 참외, 통째 먹는 참외 등 기능성 참외 품종 시험 재배[농업기술센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 작목회 조직으로 참외 재배 면적 증가[초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9년 - 참외 재배 면적 증가[중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1년 - 농림수산부 시설 채소 시범 단지[34,000㎡]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 작목회 구성 확대 보급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참외 자동 세척 선별기 개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참외 토양 선충 방제 기술 개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 하우스 보온 덮개 자동 개폐 장치 개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 경운기, 트랙터 부착 참외 덩굴 파쇄기 개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참외 품질 향상을 위한 이랑 다지는 기계 개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내재해 성주형 시범 비닐하우스 등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담배가루이 방제 농약 등록[팬텀, 지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7월 - 참외 재배용 내재해형 비닐하우스 개발 농림부 고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7월 25일 - 참외 생장 조정제 지베렐린, 도마도톤 직권 등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참외 선별 포장 능률 향상 시스템 개발[농업기술센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관리기 부착 참외 모종 정식용 천공기 개발[농업기술센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시설 참외 터널 환기 개선용 농자재 개발[농업기술센터]
체험장|전시처 성주군 농산물산지유통센터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성4길 1[옥성리 356]지도보기
체험장|전시처 참외생태학습원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참별로 2479[옥성리 197]지도보기
성격 특산물
용도 식용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생산되는 여름철 대표 특산물인 참외.

[개설]

참외는 삼국 시대 중국을 거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독특한 향과 맛으로 대표적인 여름철 과채류로 애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재래종 참외는 각 지방 특유의 품종이 발달되었는데, 충남 성환 지방의 성환 참외[개구리 참외], 평남 강서 지방의 강서 참외 이외에 열골 참외, 감참외 등이 재래종으로 재배되었으나 1950년대 중반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은천 참외가 1960년대 이래 우리나라 참외 품종의 주축을 이루게 되었다. 성주 지역은 일조량이 풍부하며, 배수가 양호하고 토심이 깊고 비옥한 미사질 양토(微沙質壤土)의 낙동강 연안 넓은 평야 지대이며, 수자원이 풍부하여 지리적으로 참외 재배에 적지이다. 1940년대부터 축적된 참외 재배 기술과 햇빛 투과율이 좋은 성주형 하우스에서 친환경 농법에 의한 재배 방법으로 당도[15~17브릭스] 및 신선도, 형태, 빛깔 등에서 최상급 품질의 참외를 생산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1949년 이전에는 재래종 참외의 자가소비(自家消費)를 위한 재배가 이루어지다가 1957년 일본에서 은천 참외가 도입되었고 1960년 직파(直播) 및 온상 육묘(溫床育苗)[인공적으로 따뜻하게 하여 식물을 기르는 설비에서 모종을 기르는 일] 재배를 통한 상품화와 대도시 출하가 이루어졌다.

1970년 본포 하우스 재배가 시작되었고, 1975년 신은천 참외 육종이 보급[중앙종묘]되었으며, 1981년 작목회가 조직되어 참외 재배 면적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1984년 싸라기 은천 참외 육종이 보급[흥농종묘]되었고, 1989년 단성화 계통 금싸라기형 참외 육종이 보급되면서 재배 면적이 더욱 증가하였다. 1991년 농림수산부 시설 채소 시범 단지[3만 4000㎡]가 지정되었다. 1993년 단성화계 참외 품종[금싸라기, 금노다지, 금괴 등]을 전면적으로 재배하였다. 1994년 작목회 구성이 확대 보급되었다. 2002년 게르마늄, 키토산, 한방 참외 등 기능성 참외가 생산되었다. 2003년 오복 꿀참외를 보급[농우바이오]하였다. 2014년 기능성 참외 품종을 시험 재배[농업기술센터]하였다. 여기에는 양성화 계통, 비타민 C 보강[신맛] 참외, 황색 과육 참외, 통째 먹는 참외[오름이꿀]가 있다.

1995년 참외 자동 세척 선별기 개발[내 고장 새 기술 개발 사업]과 참외 토양 선충(土壤線蟲) 방제 기술 개발[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공동 연구], 1997년 하우스 보온 덮개 자동 개폐 장치 개발[현장 애로 기술 개발], 2002년 경운기, 트랙터 부착 참외 덩굴 파쇄기 개발, 2003년 참외 품질 향상을 위한 이랑 다지는 기계 개발 등을 통해 성주 참외의 재배 규모화와 고품질 유지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참외 자동 세척 선별기 개발로 참외 수확 후 세척·선별·포장 등 작업 시간과 노동 시간이 단축되고 고른 선별에 따른 상품성이 향상되어 농가 소득의 증대를 가져왔다. 하우스 보온 덮개 자동 개폐 장치 개발로 매일 아침저녁 보온 덮개를 벗기고 덮는 노동력이 절감되었으며 참외 품질이 향상되었다. 참외 덩굴 파쇄기는 참외 덩굴 제거 인력 대비 20배 이상 노동력 절감을 가져왔고 참외 부산물을 유기 퇴비로 재활용하였다. 이랑 다지는 기계를 통해 꾸준한 수분 및 지온 유지로 고품질 참외 생산이 가능해졌다.

2008년 내재해 성주형 시범 비닐하우스를 등록하였고 담배가루이 방제 농약을 등록하였다[팬텀, 지존]. 2010년 7월 참외 재배용 내재해형 비닐하우스 개발 농림부 고시 지정을 하였다. 2011년 7월 25일 참외 생장 조정제 지베렐린(gibberellin), 도마도톤 직권 등록[농촌진흥청 고시 2010-29호]을 하였다. 2015년 참외 선별 포장 능률 향상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관리기 부착 참외 모종 정식용 천공기를 개발하였으며 시설 참외 터널 환기 개선용 농자재를 개발[농업기술센터]하였다.

이처럼 성주 지역에서 참외 생산 증대, 품질 향상, 작업 효율화 제고 등 성주 참외 산업의 고도화를 위한 기술 개발을 꾸준히 하여 1995년 6,370개 농가가 30.75㎢에서 재배하였고 2020년 3,848개 농가가 34.22㎢에서 재배하였다. 이처럼 성주 참외는 농가당 평균 재배 면적이 1995년 4,800㎡에서 25년 만에 8,800㎡로 두 배가량 늘었고, 품질과 시장 장악력이 더욱 높아졌다.

연도별 참외 재배 면적은 1975년 3.28㎢, 1981년 12.32㎢, 1984년 12.80㎢, 1989년 14㎢이다. 1991년 19.35㎢, 1993년 23.10㎢, 1994년 25.44㎢, 1995년 30.75㎢, 1997년 31.73㎢이다. 2002년 40.57㎢, 2003년 37.03㎢, 2008년 38.20㎢이다. 2010년 40.11㎢, 2011년 46.82㎢, 2014년 36.79㎢, 2015년 36.55㎢이다.

[제조(생산) 방법 및 특징]

모종을 심기 전 염류(鹽類)[산성을 띠는 물질인 황산, 질산, 탄산 등과 알칼리성을 띠는 칼륨, 암모니아, 마그네슘, 칼슘 등과 같은 물질이 반응해서 만들어지는 물질을 염이라 하고 이렇게 다양하게 만들어진 물질들 모두를 합쳐서 염류라고 한다]를 제거하기 위해 물을 가두거나 태양열로 토양을 소독하고, 옥수수·수수·참깨·총체 벼 등을 재배하며, 기존 참외 덩굴로 퇴비를 만든다. 또한 높은 이랑과 밭이랑 다지기, 하우스 내 땅 온도 높이기, 하우스 동 사이 필름 접착 설치를 통해 토양을 관리한다.

참외는 파종, 접목 등의 육묘(育苗)[작물 재배나 나무를 번식시키는 데 이용되는 뿌리가 있는 어린 식물을 기르는 것] 과정[0~40일] 후 정식(定植)[온상에서 재배한 모종을 밭에 옮겨 심는 일] 과정[40~45일]을 하게 되며 덩굴 고르기 및 순치기 관리를 통해 착과(着果)[열매가 달리는 것] 과정[75~80일], 수확 과정[115~120일]에 이르며 촉성 재배, 반촉성 재배, 터널 조숙 재배, 노지 재배 등의 재배 방법이 있다. 참사랑 꿀참외, 스마트 꿀참외, 부자 꿀참외 등은 3~9월 출하되며, 금싸라기 은천 참외, 금괴 은천 참외, 금지게 은천 참외, 금노다지 은천 참외 등은 2~9월 출하된다.

[현황(관련 사업 포함)]

성주 참외는 전국 참외 재배 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성주군 전체 농업 경지 면적의 약 46%를 차지한다. 2020년 현재 농가 수는 3,848호에 재배 면적은 34.22㎢이며 생산량은 18만 6501톤, 소득은 5019억 원에 달한다. 성주 참외는 일본, 홍콩, 대만,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으로 수출되며 2020년 414.8톤이 수출되어 약 13억 9000만 원의 소득을 가져왔다. 성주 참외는 관내 공판장에서 47.6%, 관외 공판장에서 32.2%가 판매되며 농산물 산지 유통 센터의 소포장 출하 및 기타 출하가 20.2%에 달한다. 성주조합공동사업법인에서 운영하는 성주군 농산물산지유통센터에서 농산물 집하, 선별, 포장 저장, 판매를 진행한다. 참외생태학습원에서 참외 재배 관련 홍보 및 체험, 성주 참외 캐릭터 참돌이 외 성주 참외 브랜드 전시 등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