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500661 |
---|---|
한자 | 白惟咸 |
영어공식명칭 | Baek Yuham |
이칭/별칭 | 중열(仲悅)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류호석 |
출생 시기/일시 | 1546년 - 백유함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576년 - 백유함 식년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583년 - 백유함 이조좌랑에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589년 - 백유함 사간원헌납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594년 - 백유함 황주목사 부임 |
몰년 시기/일시 | 1618년 - 백유함 사망 |
거주|이주지 | 용안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
유배|이배지 | 부안 - 전라북도 부안군 |
사당|배향지 | 용주서원 -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수원(水原) |
대표 관직 | 좌부승지|황주목사 |
[정의]
조선 전기 익산 지역에 은거한 문신.
[가계]
백유함(白惟咸)[1546~1618]의 본관은 수원(水原)이고 자는 중열(仲悅)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승문원참교를 지낸 백사수(白思粹)이고, 할아버지는 왕자사부를 지낸 백익견(白益堅)이다. 아버지는 이조참의 백인걸(白仁傑)이며, 어머니는 만호 안찬(安璨)의 딸 순흥안씨(純興安氏)이다.
[활동 사항]
백유함은 1546년(명종 원년) 태어났다. 1570년(선조 3)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며, 1576년(선조 9)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승정원주서를 거쳐 홍문관부수찬, 병조좌랑, 병조정랑을 역임하고 1583년 이조좌랑에 발탁되었다. 이후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사망하고 조정이 어수선해지자 백유함은 벼슬에서 물러나 익산에 살면서 도솔산 백운암(白雲庵)을 왕래하며 후학을 가르쳤다.
1589년 기축옥사(己丑獄事)가 일어난 뒤에 백유함은 관직에 복귀하여 사간원헌납으로 있으면서 당시의 시국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상소하였다. 이어 예조정랑, 의정부의 검상과 사인을 지내다가 당쟁에 연루되어 경흥(慶興)으로 유배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유배에서 풀려나자마자 의주로 왕을 호위하였다. 백유함은 이후 직제학에 복직되었으며, 각 고을에서 군량미를 조달하고 명군(明軍)의 잔류를 요청하는 일을 맡기도 하였다. 1594년에 동부승지, 좌부승지를 거쳐 황주목사를 잠시 지냈고, 1596년에는 사신으로 연경(燕京)을 다녀왔다. 광해군 즉위 초에 이이첨(李爾瞻)의 탄핵으로 부안에 유배되었다가 1617년(광해군 9) 선산이 있는 양주(楊州)로 방환(放還)[귀양살이하는 사람을 집으로 돌려보내던 일]되었다. 1618년 개성에서 사망하였다.
[묘소]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황지리에 묘소가 있다. 『신독재선생유고(愼獨齋先生遺稿)』에 백유함의 묘갈명[승정원좌부승지백공묘갈명(承政院左副承旨白公墓碣銘)]이 실려 있다.
[상훈과 추모]
백유함은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의 용주서원(龍州書院)에 배향되어 있다. 용주서원은 백유함의 아버지 백인걸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1598년에 건립되었으며, 백인걸과 백유함 외에도 김행(金行), 조감(趙堪), 신제현(愼齊賢) 등이 함께 배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