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속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1049
한자 俗談
영어의미역 Proverb
이칭/별칭 옛말,속언,상언,이언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집필자 정미란

[정의]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삶의 지혜를 드러내는 짧은 문장의 격언.

[개설]

속담은 예로부터 민중의 일상생활 경험 속에서 생성된 관용적 표현물이다. 간결하고 비유적인 수법으로 보편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기능을 가진 세련된 말이다. 속담의 의미로 옛말, 속언(俗言) 등의 말을 쓰기도 한다. 속담에서의 ‘속’은 일상생활 공간에서 얻어진 삶의 지혜나 예지가 응축된 것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 속담은 인간관계를 부드럽게 해 주는 윤활유 역할을 하기도 한다. 속담은 상대를 불쾌하게 하지 않으면서 진실을 일깨워 준다.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직설적인 방식이 아니라 에둘러 말하거나 비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 속담이 자주 이용된다. 적재적소에 속담을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이 재치가 있고 삶의 지혜를 터득한 사람이다.

하동의 속담들도 삶의 지혜나 예지를 비교적 짧은 문장에 담고 있다. 교훈적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혹은 풍자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비유적으로 서술하는 관용적인 표현들이 많다. 관용적 표현물에는 고사, 명언, 격언 등도 있는데 이들은 비교적 발생 유래나 출처가 분명하고 고상한 표현으로 되어 있다. 반면 속담은 민중들 속에 구비 전승되면서 유래가 불분명해지고 속된 표현들도 포함하고 있다.

[내용]

1. 교화·교육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길이 아니면 가지 말고 말이 아니면 듣지 마라.

늙은이도 세 살 배기 아이에게 배울 것이 있다.

단단한 땅에 물이 고인다.

때린 사람은 다리를 오므리고 자는데 맞은 사람은 뻗고 잔다.

발 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

빨리 먹은 밥이 체한다.

언덕은 내려 봐도 사람은 내려 보지 마라.

자랑 끝에 쉬 쓴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주먹구구에 박 터진다.

태산을 넘으면 평지가 있다.

한 달이 크면 한 달이 작다.

한쪽 말 듣고 송사 못한다.

2. 농사

농사꾼은 굶어 죽어도 종자를 베고 죽는다.

사돈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

오뉴월에는 늙은 송장도 움직인다.

3. 남녀

계집이 독한 마음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

과부 사정은 홀아비가 알고 홀아비 사정은 과부가 안다.

깨소금 단지가 열두 단지라도 서방님 비위 맞추기가 어렵다.

딸이 셋이면 문 열어 놓고 잔다.

무 속과 처녀 속은 모른다.

찹쌀 궁합에 엿 방석.

처녀가 애를 배도 할 말이 있다.

총각은 인심 처녀는 손끝.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

4. 결혼

각시가 예쁘면 처갓집 울타리가 예쁘다.

겉보리 서 되면 처가살이 안 한다.

뒷간과 사돈집은 멀수록 좋다.

때린 서방보다 말리는 시어머니가 더 밉다.

며느리 사랑은 시아버지, 사위 사랑은 장모.

안방에 가면 시어머니 말이 옳고 부엌에 가면 며느리 말이 옳다.

장가들러 가는 놈이 부랄 떼 놓고 간다.

5. 동물

달아 매인 돼지 누운 돼지 나무란다.

미꾸라지 용 되었다.

벼룩도 코가 있고 족제비도 낯짝이 있다.

약삭빠른 고양이 밤 눈 어둡다.

작은 고기가 가시 세다.

장님이 코끼리 구경한 것 같다.

재상집 개가 죽으면 문상객이 줄을 잇지만, 재상이 죽으면 얼씬도 안 한다.

재수가 없으면 곰을 잡아도 웅담이 없다.

짐승을 구하면 은혜를 갚고 사람을 구하면 앙물을 한다.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 굴에 들어가라.

6. 배설

똥 누러 갈 때 마음 다르고 올 때 마음 다르다.

장사치 똥은 개도 안 먹는다.

적게 먹고 가는 똥 싸지.

제 똥 구린 줄 모른다.

핫바지 방귀 새듯.

7. 죽음

죽어 봐야 저승길을 알지.

죽은 놈 콧김만도 못한다.

8. 종교

노는 입에 염불한다.

눈치가 빠르면 절에 가서 젓갈 얻어먹는다.

떡 삶은 물에 중의 적삼 데친다.

선무당이 장구 나무란다.

염불에는 정신이 없고 잿밥에만 정신 쓴다.

절 모르고 시주한다.

절 돈이 중 돈 되고, 중 돈이 절 돈이지.

중이 제 머리 못 깎는다.

[의의]

하동의 속담에는 하동 민중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얻은 체험의 진리가 집약되어 있다. 권선징악의 도덕적 규범, 일반적 철학, 인정, 인간의 세속적인 심리 등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며, 또한 인간의 양면적인 심리를 실감나는 비유를 통해 밝혀내기도 한다.

하동 지역의 속담을 통해서 예리한 풍자와 엄숙한 교훈, 실감나는 비유 등 민중의 번득이는 기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고상하기보다 비속한 것이 많고, 교훈보다는 풍자가 많다.

하동의 속담을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주로 남녀 관계와 결혼 생활을 소재로 한 속담이 많은데, 이는 비속한 표현을 통해 삶의 이치를 전달하는 속담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물이나 배설에 관한 속담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하동 속담에서는 종교와 같이 신성한 대상도 비하하고 세속화시킨다. 하동에 전해 오는 이러한 속담은 하동의 생활 방식이나 가치관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