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100504
한자 迎日鄭氏
영어의미역 Yeongil Jeong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기도 광명시
집필자 권만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세거지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
집성촌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
입향시기/연도 조선 후기
성씨시조 정습명
입향시조 정익채

[정의]

정습명을 시조로 하고 정익채를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연원]

영일정씨(迎日鄭氏)는 신라의 전신인 사로국 6촌 가운데 취산진지촌(觜山珍支村) 촌장 지백호(智伯虎)를 시조로 한다. 서기 32년(유리왕 9) 6촌을 6부로 바꾸고 촌장들이 왕으로부터 성을 하사받을 때 본피부(本彼部)로 개칭하고 정씨(鄭氏) 성을 받은 것이 시초이다. 정씨는 후대에 여러 갈래로 갈라지면서 본관은 달리하지만 모두 지백호의 후예들이다. 그러나 연원은 같으면서도 혈족의 계대가 실전되고 소목(昭穆)을 고증할 문헌이 전하지 않아 고려 예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인종 때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를 지낸 정습명(鄭襲明)을 시조로 하는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와 감무(監務)를 지낸 정극유(鄭克儒)를 시조로 하는 감무공파(監務公派)로 나누어져 세계(世系)를 이어 오고 있다.

지주사공파 11대손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는 공민왕 때 장원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낸 뒤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에 올라 익양군(益陽君)·충의백(忠義伯)에 봉해졌다. 이성계(李成桂) 등과 연합하여 당시 국제 정세에 적응하면서 고려 중흥의 길을 도모하고자 했으나 이성계가 역성혁명의 뜻을 보이자 결별하고 최후까지 고려에 대한 절의를 굽히지 않았다. 정몽주의 손자 정보(鄭保)는 사육신 사건에 연루된 팔현(八賢) 가운데 한 사람이고, 정제두(鄭齊斗)는 지식과 행동의 일치를 주장한 양명학의 사상적 체계를 완성했다.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와 더불어 가사 문학의 대가로 한국 시가 문학의 쌍벽을 이룬 송강(松江) 정철(鄭澈)은 국문학사에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는 「관동별곡(關東別曲)」, 「훈민가(訓民歌)」, 「성산별곡(星山別曲)」 등을 지었다. 정하빈은 승정원좌부승지·병조참의·사간원대사간을 지냈고 『속대전(續大典)』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어제(御製)의 편제(篇題)와 홍화문(弘化門) 편액을 썼다. 정후겸(鄭厚謙)은 영조 때 개성부유수·공조참판을 지냈고, 정기원(鄭岐源)은 철종 때 어영대장·훈련대장을 거쳐 지삼군부사(知三軍府使)를 지냈다. 정경원(鄭敬源)은 고종 때 법무협판·평양부관찰사를 지냈다.

[입향경위]

1700년대 초에서 중기에 이르는 시기에 25세손 정익채(鄭益采)가 경기도 광주에서 광명시 하안1동 갠이불로 이주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정익채는 가문이 처한 상황 때문에 벼슬에 나아가지 못하고 농업에 종사하면서 일생을 보냈다.

[현황]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1985년 11월 당시 경기도 광명시에 거주한 영일정씨는 총 60가구에 233명, 2000년에는 138가구에 467명이었다. 26세손 정환봉(鄭煥鳳)부터 묘소를 모시고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 첫째 일요일에 제사 지낸다.

정익채가 처음 정착했던 갠이불은 마을 어느 집에서 기르던 개가 늙고 병들어 앓아눕자 주인이 이불을 덮어 주며 보살폈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세거하던 영일정씨들이 뜻을 모아 마을 유래비를 옛 터에 세웠다. 일제강점기에는 마을 주위가 산림으로 우거져 그림처럼 아름다웠으므로 가림동(佳林洞)이라고도 하였다. 현재 행정상으로 광명시 하안1동에 속하며 1987년 도시 계획에 따라 마을이 없어지고 하안주공아파트 5단지가 들어섰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