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100500
한자 德水張氏
영어의미역 Deoksu Jang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기도 광명시
집필자 권만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세거지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집성촌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입향시기/연도 1593년(선조 26)연표보기
성씨시조 장순룡
입향시조 장준

[정의]

장순룡을 시조로 하고 장준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연원]

덕수장씨(德水張氏)는 의랑공파(議郞公派)와 판윤공파(判尹公派)가 있으며, 조선시대에 왕비 한 명, 상신 한 명, 호당(湖堂) 두 명, 공신 세 명, 문과 급제자 여덟 명을 배출하였다. 시조 장순룡(張舜龍)은 원나라 세조 때 필도치라는 벼슬을 지낸 장백창(張伯昌)의 아들로, 1274년(원종 15) 충렬왕 비인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왔다가 귀화하여 충렬왕으로부터 장순룡이란 이름을 받았다. 이후 원나라와의 외교에서 활약하였고 첨의참리(僉議參理)·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거쳐 대장군에 올랐으며, 덕성부원군(德城府院君)에 봉해져 경기도 개풍군 덕수현[지금의 황해북도 개풍군 개풍읍]을 식읍으로 하사받고 덕수를 본관으로 삼았다.

덕수장씨 문중 3대 중시조 중 한 사람인 전서공(典書公) 장우빈의 맏아들 장우(張羽)는 고려 말에 예부의랑(禮部議郞)을 지냈고, 조선 초기에는 문과에 급제한 뒤 이조판서겸영경연사·지의금부사·춘추관사·오위도총부도총관 등을 지냈다. 장정(張挺)은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결책익운정국공신(決策翊運靖國功臣) 1등에 책록되고 하음군(河陰君)에 봉해졌으며 다시 하원군(河源君)으로 승직되어 하원군파의 중시조가 되었다. 장옥(張玉)은 1547년(명종 2) 춘추관편수관이 되어 『중종실록(中宗實錄)』을 편수하고 승문원판교에 올랐다. 저서로는 『유정유고(柳亭遺稿)』가 있다.

문충공(文忠公) 장유(張維)는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1611년(광해군 3) 장원급제하였고, 승정원주서(承政院主書)·예문관검열(禮文館檢閱)을 지냈다.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호당에 발탁되고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올랐다. 이정구(李廷龜)·신흠(申欽)·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한문학의 4대가로 일컬어졌고,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통틀어 김부식(金富軾)·김창협(金昌協)·홍석주(洪奭周)·김택영(金澤榮)·이제현(李齊賢)·이식(李植)·박지원(朴趾源)·김매순(金邁淳) 등과 함께 9대 한학자로 꼽힌다. 딸이 봉림대군[훗날의 효종]에게 출가했으나 효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세상을 떠났다.

[입향경위]

1593년(선조 26) 행주대첩 때 권율(權慄) 장군 휘하에서 싸우다가 장렬하게 전사한 10세손 충의공 장응기(張應箕)가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봉되고 지금의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충의사에 배향되면서 아들 장준(張晙)이 영정을 고향 행주에서 옮겨 온 것이 계기가 되었다.

[현황]

덕수장씨는 처음 광명시 철산3동 쇠머리마을에 정착한 뒤 150여 가구에 이르는 집성촌을 이루었다.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1985년 11월 당시 경기도 광명시에 거주한 덕수장씨는 총 85가구에 378명, 1996년 70가구, 2000년에는 136가구에 437명이었다. 현재 덕수장씨는 광명시 향토인 모임인 금오회(衿梧會)에 참가하고 있다.

독립 유공자로 쇠머리마을 출신인 장원겸(張元謙)은 1907년 음력 8월 14일 밤 당시 42세로 박홍석(朴弘錫)·연창수(延昌洙) 등 수십 명의 주민과 함께 총기를 지니고 직산군 읍내에 잠입하여 주재소 경찰의 총기를 탈취하고 이동하던 중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어 경성재판소에서 징역 7년을 선고받았다.

[관련유적]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주공아파트 12단지 뒤에 장응기를 배향한 충의사와 충의사 묘정비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