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721 |
---|---|
한자 | 市民軍尹祥源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신현준 |
창작|발표 시기/일시 | 1996년 - 「시민군 윤상원」 창작 발표 |
---|---|
제작 단체 | MBC광주문화방송 -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로 116번길 17[월산동 300-10] |
성격 | 드라마 |
양식 | 다큐멘터리 |
작가(원작자) | 박효선 |
감독(연출자) | 오창규 |
출연자 | 박효선|김창준|신동호|오성환|은송|김훈찬|박규상|나창진|심효정|김진홍|이방수|이경훈|최금표 |
주요 등장 인물 | 윤상원|김상윤|김영철|이양현|윤강욱|정상용|김창길|박용진|박기순|박남선|김종배|임낙정|박관현 |
공연(상영) 시간 | 88분 |
[정의]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의 삶과 철학을 다룬 방송 다큐멘터리 드라마.
[개설]
「시민군 윤상원」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외신기자였던 브래들리 마틴, 테리 앤더슨, 필립 퐁스 등의 취재 경험과 증언을 바탕으로 하여 윤상원을 중심으로 한 5월 항쟁 지도부의 투쟁과 고뇌, 긴박하였던 상황 등을 입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공연 상황]
1996년 MBC광주문화방송에서 다큐멘터리 드라마 형식으로 제작하여 방영되었다.
[구성]
1부[투사회보]와 2부[마지막 새벽] 총 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윤상원과 함께 들불야학과 시민군 지도부 역할을 하였던 박효선이 직접 극본을 쓰고 배우로 참여하였다.
[내용]
1부에서는 구술을 통하여 윤상원이 들불야학에서 활동한 이야기와 녹두서점에서의 경험을 주로 재현하였다. 2부에서는 항쟁의 마지막날 윤상원의 생애를 언론 보도 및 구술을 통하여 재현하였다.
[의의와 평가]
「시민군 윤상원」은 5·18민주화운동을 이끈 한 시민군 지도자의 결연하고 숙연한 삶의 태도에서 감동을 받은 외신기자들의 고백이 잘 드러나 있다. 5·18민주화운동을 취재한 외신기자들의 최초의 증언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시민군 윤상원」을 통하여 시민군 지도부의 전남도청 내 상황에 대한 영상화가 최초로 시도되었다는 점도 고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