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452 |
---|---|
이칭/별칭 | 척취(尺取),척타(尺打),타척(打尺)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혜정 |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긴 막대기로 짧은 막대기를 치며 노는 민속놀이.
[개설]
자치기는 아이들이 마당이나 공터에서 긴 막대기로 짧은 막대기를 쳐서 날아간 거리를 재어 승부를 정하는 민속놀이이다. 자치기 놀이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자치기의 명칭은 '자'와 '치기'의 합성어로서 자로 치는 놀이라는 뜻이 되겠지만, 이 '자'는 길이나 높이를 재는 도량형기인 '자[尺]' 아니라 나무 막대기를 가지고 놀되 그 거리를 자처럼 이 막대기로 재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그래서 긴 막대기를 '긴 자' 또는 '큰 자', 짧은 막대기를 '작은 자'라고 부른다.
[연원]
자치기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 막대기를 가지고 하는 놀이로 다양한 놀이법이 개발되어 오늘에 이르렀다고 추측할 수 있다. 『조선의 향토오락』에서는 이 놀이를 척취(尺取), 척타(尺打), 타척(打尺) 등으로 기록하고 있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자치기 놀이 도구인 나무 막대기의 재료는 밤나무, 참나무 등의 가지가 있는 나무를 사용한다. 가지가 있는 나무의 거친 표면을 낫으로 다듬고 톱으로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다. 큰 자는 약 30~50㎝, 작은 자는 약 10~20㎝로 만든다. 놀이는 주로 마당이나 공터에서 행하여진다.
[놀이 방법]
자치기는 땅구멍 파고 놀기와 원 긋고 놀기가 있다. 광주광역시에서는 대체적으로 땅구멍 파고 놀기가 성행하였다. 2명 이상이 편을 지어 공격과 수비를 하는데, 공격편은 순서에 따라 한 사람씩 공격한다. 먼저 땅바닥에 나룻배 모양의 땅구멍을 길이 12㎝ 가량 파 놓고 놀이에 들어간다. 일반적인 놀이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공격하는 편은 길쭉하게 파 놓은 구멍에 작은 막대기를 가로로 얹어 놓고 큰 막대기의 한쪽 끝을 구멍에 넣어 작은 막대기를 걷어낸다. 이때 수비편이 날아오는 작은 막대기가 땅에 떨어지기 전에 받으면 공격편은 죽는다. 그러나 받지 못하면 수비편은 그 자리에서 구멍을 향해 작은 막대기를 던진다. 이때 날아오는 작은 막대기를 공격자가 들고 있는 큰 막대기로 되받아친다. 그 떨어진 자리로부터 구멍까지의 거리를 큰 막대기로 1자, 2자 식으로 재서 먹는다. 그러나 그 거리를 반드시 재는 것은 아니다. 공격자가 가늠해 '몇 자'라 외치면 수비측이 타당하다 여기면 '좋아 먹어' 하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만약 부당하다고 생각하면 '재자'고 제의하고 들고 있는 큰 자로 정확히 잰다. 남구 덕남동 덕남마을에서는 공격편이 쳐 낸 작은 막대기를 수비편이 받으면 실격되지만, 받지 못하면 공격편이 큰 막대기를 구멍에 가로로 얹어 놓는다. 그리고 수비편은 그 자리에서 작은 막대기로 놓여 있는 큰 막대기를 향해 던지는데, 맞히면 공격편이 실격되고 못 맞히면 떨어진 거리만큼 공격편이 먹는다. 광산구 평동 옥동마을에서는 이를 '뜨기'라고 부른다.
② 땅구멍 위치에 서서 왼손으로 작은 막대기의 한쪽 끝을 잡고 오른손의 큰 막대기로 작은 막대기의 끝을 세차게 쳐서 멀리 날려 보낸다. 이때도 수비편이 받으면 공격편은 자격을 상실하고 못 받으면 공격편이 그 위치까지 자수를 재어 먹는데 그 방법은 ①과 같다. 광산구 평동 옥동마을에서는 이를 '병아리치기'라고 한다.
③ ②와 같은 자세를 취하고 큰 막대기로 작은 막대기를 때려서 한 번 회전시킨 다음 멀리 쳐서 날려 보낸다. 날아가는 작은 막대기를 수비편이 받지 못하면 공격편이 그 위치까지 재어서 먹는데 방법은 ①과 같다.
④ 작은 막대기를 구멍에 넣어 한쪽 끝이 땅바닥에 비스듬히 나오게 하고 그 끝을 큰 막대기로 쳐 작은 막대기가 위로 튀어 오르면 이것을 큰 막대기로 쳐서 날려 보낸다. 이때 수비하는 편이 못 받으면 공격편이 그 위치까지 재어 먹는데 방법은 ①과 같다. 북구 일곡동에서는 이를 '개잡기'라고 부르고, 광산구 평동 옥동마을에서는 '크뜨레기[코뜨리]'라고 부른다.
⑤ ④와 같으나 큰 막대기를 잡은 오른손을 뒤에서 가랑이 사이에 넣고 작은 막대기를 때려 회전시킨 다음 오른손을 가랑이 사이에서 빼면서 작은 막대기를 때려 날려 보낸다. 못 받으면 공격편이 그 위치까지 재어서 먹으며 방법은 ①과 같다.
서구 덕남동 덕남마을에서는 일반적인 놀이 방법과 비슷하나 ②의 방법부터 수비편이 작은 막대기를 받으면, 공격편은 실격됨과 동시에 수비편은 다음과 같이 자의 수를 먹는다. ②는 20자, ③은 30자, ④는 40자, ⑤는 50자를 먹는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자치기는 신체를 이용하며 집중력과 순발력이 요구되어 아이들의 심신을 단련시킬 수 있는 놀이로 손쉽게 할 수 있으나, 놀이 도구인 막대기로 인해 부상의 위험도 큰 놀이이다.
[현황]
자치기는 현재에는 다양한 놀이 도구들이 많아 거의 단절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