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2487 |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특산물/특산물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정옥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5월 26일 - 우리밀, 제1회 광산우리밀축제 개최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9년 - 우리밀, 광주광역시 우리밀광역클러스트사업단 출범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9년 8월 17일 - 우리밀, 「광주광역시 우리밀 육성에 관한 조례」 제정 |
생산지 | (주)우리밀식품 -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산단6번로 3 |
체험장|전시처 | 한국우리밀농업협동조합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로35번길 18-1[본덕동 511-4] |
체험장|전시처 | 우리밀식품(주) -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산단6번로 3 |
체험장|전시처 | 광주광산우리밀영농조합법인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로 678[지평동 89-3] |
체험장|전시처 | 우리밀생명학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지정길 100[지평동 718-1] |
체험장|전시처 | 우리밀빵·맥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8번로 100-13 2층[오선동 5647-16 23층] |
체험장|전시처 | 류호선우리밀베이커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등로 2111[신가동 961-3] |
체험장|전시처 | 자활기업 뷰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 65 |
성격 | 특산물 |
재질 | 밀 |
용도 | 농산물|우리밀 |
[정의]
광주광역시 일원에서만 재배되는 특산 밀.
[개설]
우리밀은 「광주광역시 우리밀 육성에 관한 조례」 제2조(정의)에 따르면 광주광역시 관내에서 재배되는 밀을 통칭하고 있다. 우리밀은 수입밀에 반하여 우리나라에서 오래 전부터 재배해 온 밀이라는 뜻도 있다. 1980년대 말 수입밀에 비하여 제빵성이 낮고,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우리밀 재배가 사라지게 되었을 때, 1991년에 한살림과 가톨릭농민회가 '우리밀 살리기 운동본부'를 창립하고 우리밀 종자를 확보하여 재배 촉진을 시작하였다. 광주광역시도 이때부터 광산구에서 우리밀 재배를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우리밀 산업 거점지역으로 발전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광주광역시는 1990년대 초부터 광산구에서 우리밀 재배 활성화를 시작하였다. 2007년부터는 '광산우리밀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우리밀 요리경연대회, 우리밀 빵만들기 체험교실 운영, 우리밀 생산자 교육, 학교급식 등 단체급식으로 시장 확대 등 우리밀 생산과 이용 확대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2009년 4월에 '우리밀광역클러스트사업단'이 출범하여 우리밀 연구, 제품생산의 산업화, 마케팅을 추진하였으며, 2009년 8월 17일에 「광주광역시 우리밀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다.
[제조(생산) 방법 및 특징]
2021년에는 '우리밀 광역클러스터사업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우리밀식품의 우리밀 제품 생산 가공공장이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HACCP 적용 사업장 인증을 획득하였다.
[현황(관련 사업 포함)]
2019년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우리밀 재배 면적은 511㏊, 생산량은 2,100M/T이다. 지역 대학에서도 우리밀을 이용한 여러 가지 제품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우리밀식품에서 생산되고 있는 우리밀을 이용한 제품으로는 생면류, 건면류, 등숙면류, 기능성 국수류, 유탕식품 등이 있다. 류호선우리밀베이커리, 자활기업 뷰밀, 우리밀빵·맥에서도 우리밀을 이용한 다양한 빵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2021년 광주광역시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는 우리밀을 지역 전략식품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