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떡노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1729
영어공식명칭 Rice cake a song
이칭/별칭 「떡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오산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4년 - 「떡노래」 한차순으로부터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4년 - 「떡노래」『대구의 뿌리 달성』에 수록
채록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풍산면 오산 1리
가창권역 전국
성격 민요|유희요
기능 구분 가창 유희요
가창자/시연자 한차순[여, 1922년 생]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풍산면 오산 1리에서 떡을 소재로 노래한 유희요.

[개설]

「떡노래」는 가장 대중적인 떡인 인절미를 소재로 부르는 가창 유희요이자 비기능요이다. 이를 「떡타령」이라고도 한다. 제목은 「떡노래」로 되어 있지만 떡의 종류에 대한 언급보다는 인절미를 안주로 하여 술을 마시자는 「권주가(勸酒歌)」의 성격을 지닌 민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2014년 간행한 『대구의 뿌리 달성』에 실려 있다. 이는 1994년 달성군 풍산면 오산 1리에서 한차순[여, 당시 72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떡노래」는 인절미만 등장하는 비교적 짧은 내용과 자유로운 구성을 하고 있다. 인절미로 배를 몰아서 약주깡·안주깡으로 술을 마시러 놀러 가자는 내용이 이어진다.

[내용]

인절미 베를 모아/ 약주깡 안에 띄어나 놓고/ 포도죽 돛대를 달아/ 소주바람을 꺼뜨록 찌드록/ 선주야 배머리 돌려라/ 안주깡으로 놀러 가자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우리 조상들이 언제부터 떡을 만들어 먹었는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신라 시대 고분에서 떡시루로 추정되는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기사를 통해 신라 시대 전부터 떡을 만들어 먹었을 것이라 추측할 뿐이다. 이처럼 떡의 역사는 상당히 오래되었다. 제사, 생일, 혼인, 환갑 등 중요한 행사에 따라 떡도 여러 종류를 만들어 먹었다. 떡은 지방에 따라 종류도 다르며, 특징도 다르다. 떡을 만드는 재료 역시 풍토에 따라 그 색을 달리하고 있다.

[현황]

「떡노래」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비기능요로, 유희적인 목적에서 가창되었다. 지금은 나이가 지긋한 노인층을 중심으로 면면히 전승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