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담바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1716
영어공식명칭 cigarette folk song
이칭/별칭 「담바고」,「담바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4년 - 「담바귀」 이연이로부터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4년 - 「담바귀」『대구의 뿌리 달성』에 수록
채록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
가창권역 경상북도
가창권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성격 민요|유희요
기능 구분 가창 유희요
가창자/시연자 이연이[여, 1922년 생]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서 담배를 소재로 하여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개설]

「담바귀」는 담배의 생산국, 휴식 시간의 담배 피기, 소원 빌기 등을 노래로 풀어 내는 가창 유희요이다. 이를 「담바고」, 「담바구」라고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2014년 간행한 『대구의 뿌리 달성』에 실려 있다. 이는 1994년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서 이연이[여, 당시 72세]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특정 형식이 없는 민요로서, '담바귀야' 하고 담배를 부르고 난 후 시어머니와 나누어 피면서 소원을 빌어 달라는 기원을 담고 있다.

[내용]

담바귀야/ 대국에서 나온 담바귀야/ 어서어서 쌍걸음을/ 시오마시 줌채도 한 줌치 넣고/ 내 줌치에도 한 줌치 넣고/ 날멍걸멍 밭 매다가/ 너도 한대 나도 한대/ 그러고로 푸는 담배/ 소원을 빌아주소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우리나라에는 지금으로부터 400여 년 전인 광해군 때 담배가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배가 조선 사회에 막 퍼지기 시작하던 무렵에는 임금과 신하, 주인과 하인, 훈장과 서당 아이 등 남녀노소, 신분의 귀천을 막론하고 서로 함께 피우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이 때문에 양반 사회에서 의견이 분분하다가 연례(煙禮)라고 해서 양반 사회는 물론 천민 사회에까지 상하 생활 예절로 담배 피는 예절이 정착되기에 이르렀다.

[현황]

「담바귀」는 조선 시대에 들어온 담배를 노래한 민요로서, 현재 전승 현장의 악화로 전승력이 약해지고 있다. 특히 텔레비전 시청이 각 가정의 주요한 오락물이 되면서 「담바귀」와 같은 유희요도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

[의의와 평가]

「담바귀」에는 아낙네가 힘든 밭일을 하며 담배를 피우는 직접적인 행위를 묘사하는 등 담배와 더불어 살아온 서민들의 애환이 잘 나타나 있다. 특히 담배를 통해 '소원을 빌어 주소'라며 긍정적인 기원을 함께 담아내고 있는 점이 「담바귀」의 특징적인 면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