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0821
한자 李蘭美
영어공식명칭 Lee Ran Mi
이칭/별칭 유형(幼馨),양촌(陽村)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삼리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92년 4월 26일연표보기 - 이난미 출생
몰년 시기/일시 1661년 7월 4일연표보기 - 이난미 사망
출생지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고탄리
거주|이주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삼리리
묘소|단소 이난미 묘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어곡리
성격 문인
성별
본관 광산
대표 관직|경력 부호군

[정의]

조선 후기 달성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

[개설]

이난미(李蘭美)[1592~1661]는 오늘날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고탄리 일대에서 거주하였던 인물이다. 고탄리 일대는 현풍현낙동강을 경계로 마주 보는 지역으로 이난미의 활동 역시 고령, 성주, 현풍 일대에서 있었다. 또한 이난미의 후손들도 성산면 일대에 분거하면서 현풍현을 생활 및 통혼권으로 두고 있었다.

[가계]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유형(幼馨), 호는 양촌(陽村). 고조할아버지는 성은군(星隱君) 이화식(李華寔)으로 처음 서울에서 고령군 성산면 일대로 이거해 왔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과 이한손(李漢孫)이며, 할아버지는 훈련원 봉사 이수(李樹)이다. 아버지는 육일헌(六一軒) 이홍량(李弘量)이며, 큰아버지는 이홍기(李弘器), 작은아버지는 이홍우(李弘宇)이다. 이홍량은 1568년(선조 1) 진사시에 입격했으며, 오건(吳健), 최영경(崔永慶) 등과 사귀었고, 한강(寒岡) 정구(鄭逑)와 연혼(連婚) 관계였다.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공릉 참봉(恭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는데, 사후에 성주(星州) 향사(鄕祠)에 제향되었다. 이홍량 삼형제의 효행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1668년(현종9)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에 '삼처사 유허비(三處士遺墟碑)'가 세워졌다. 이홍량은 처음 참봉 이백죽(李伯竹)의 딸 광주 이씨(廣州李氏)와 혼인하였으나 딸 하나만 두었고, 두 번째 부인은 양녕 대군(讓寧大君)의 후손인 충의위 이양(李讓)의 딸 완산 이씨(完山李氏)로 슬곡(瑟谷) 이난귀(李蘭貴), 이난미(李蘭美) 형제를 두었다. 이난미의 부인은 삭주 도호부사 변혼(卞渾)의 가문인 밀양 변씨(密陽卞氏)이다.

[활동 사항]

이난미가 태어나던 때에 아버지 이홍량이 거창에서 사망하여 어머니 밀양 변씨가 홀로 이난미 형제를 양육하였다. 성장하면서 지극한 정성으로 어머니를 모시고 효를 다하여 부근의 고을까지 이난미의 효행에 대한 칭송이 자자하였다. 어려서 가정의 가훈을 잇고 장성해서는 정구에게 학문을 익혔는데, 문장(文章)과 효행이 뛰어나 당대의 동문들이 모두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라고 칭송하였다. 아버지 이홍량 역시 당대에 학문과 행의로써 이름이 높았기 때문이다. 1610년(광해군 2) 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삼리리 구마이 마을에 양촌 고택(陽村古宅)을 건립하였다. 나이와 덕과 벼슬이 높다 하여 사람들이 삼달(三達)이라 칭하였다.

[묘소]

묘는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어곡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70세 때 노인을 우대하는 법에 따라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에 제수되었다. 1795년(정조 19) 이난미를 추모하고 후손들의 교육을 위해 승호 서당(承湖書堂)이 건립되었다. 승호 서당은 양촌 고택 뒤편에 위치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