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성』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356
한자 東聲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연속 간행물
지역 대구광역시 중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종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창간 시기/일시 1932년 9월 1일연표보기 - 『동성』 창간
폐간|종간 시기/일시 1933년 1월연표보기 - 『동성』 폐간
제작|간행처 잡지 『동성』 발행소 -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2가 지도보기
성격 문예 잡지
관련 인물 유한식|황수창
창간인 유한식
발행인 유한식
총호수 통권 4호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지역에서 유한식이 발행한 문예잡지.

[개설]

『동성』은 유한식(柳漢植)[발행인]이 동성사에서 발행한 잡지이며, 인쇄는 선일(鮮一) 인쇄소[대표 황수창(黃洙昌)]에서 하였다. 당시 『동성』의 발행처 주소는 대구부 명치2정목 345이며, 조직은 사장 이종건, 주간 류입영, 영업 담당 황수창이었다. 참여 동인으로는 홍영근, 정춘자, 최동희, 은영표 등이다.

[구성/내용]

『동성』은 시, 소설, 시나리오 등 문예 작품과 평론, 기행문, 역사 등의 글을 실었다. 대구 출신 영화감독 이규환(李圭煥)[1904~1982]은 「한울을 뚫은 자여」를 발표하였는데, 이규환의 출세작은 「임자 없는 나룻배」[1932]이다. 『동성』의 창간호 권두언을 홍효민이 썼다. 그 당시 홍효민은 대구에서 발행된 잡지 『문원』[1937년 4월 창간]에도 글을 발표한 것으로 보아 대구와 어떤 인연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황이주의 「대구는?」은 대구의 지명 유래에 대해서 쓴 글이다. 그 외 눈여겨볼 것은 ‘외래어 사전’ 코너이다. 여기에는 당시에 유통되던 서양 외래어에 대해서 뜻풀이를 하였다. 그런데 정작 『동성』은 난해한 한자를 많이 사용하였다.

[변천과 현황]

『동성』은 문예지를 표방하면서 1932년 9월 창간되었으나, 2호부터는 논설의 분량이 늘어나고 문예란이 줄어들어 원래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였다. 『동성』은 1933년 1월 폐간되었다.

[의의와 평가]

『동성』은 창간 당시[1932] 종합 문예지로 출발하였으나, 시나 소설 등 문예 작품에 국한되지 않고 평론, 외국 문예 사상 등의 번역, 기타 사회문제[농촌문제와 여성문제 등]를 포괄적으로 다룬 종합잡지였다. 특별한 점은 창간호부터 제3호에 이르기까지 대구 지역을 조명하는 글을 발표함으로써, 대구에 기반을 둔 잡지임을 강조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