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4494
한자 樸谷書堂
이칭/별칭 모교재,박곡재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가창동로 219-5[상원리 415]
시대 조선/조선 후기,현대/현대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64년 - 박곡서당 중건
현 소재지 박곡서당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가창동로 219-5[상원리 415]지도보기
원소재지 모교재|박곡재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 지도보기
성격 재실|서당
양식 목조 와가
정면 칸수 5칸[정당]
측면 칸수 2칸[정당]
소유자 옥산[경산] 전씨 문평공 문중
관리자 옥산[경산] 전씨 문평공 문중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전백영의 재실.

[개설]

박곡서당(樸谷書堂)은 조선 태종 때 경상도·경기도·풍해도[황해도] 관찰사와 예조판서를 역임한 전백영(全伯英)의 추모 재실이다. 처음에는 전백영의 무덤이 있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 산 아래에 있었는데 후에 지금의 자리인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 415번지로 이건하였다. 처음에는 ‘모교재(慕敎齋)’라고 하였는데 이건하면서 지명을 취하여 ‘박곡재(樸谷齋)’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모교’는 ‘가르침을 사모한다’라는 의미이다.

1964년에 세 번째 중건을 하고 ‘박곡서당(樸谷書堂)’이라고 하였다. 박곡서당 입구의 삼문(三門)을 ‘앙지문(仰止門)’이라 하였는데 이 말은 『시경』「소아(小雅)」 ‘거할(車舝)’에 나오는 ‘고산앙지(高山仰止), 경행행지(景行行止)’에서 취한 말로 ‘우러러 사모한다’라는 의미이다. 기문은 추연(秋淵) 권용현(權龍鉉)이 지었으며, 상량문은 오천(烏川) 정화식(鄭華植)이 지었다.

[위치]

박곡서당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 415에 있다.

[형태]

박곡서당은 목조 와가 건물이다.

[현황]

박곡서당의 정당(正堂)은 남향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이다. 서쪽에 서재가 있으며, 동쪽에는 벽을 사이에 두고 종가가 있다. 중앙에 삼문이 있으며, 박곡서당의 앞 광장에 신도비가 있다. 건물이 깨끗하고 관리 상태가 양호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