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826
한자 大邱 瑞鳳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 十王像 一括
영어공식명칭 Daegu Seobong-sa Mokjo Jijangbosal Samjonsang Mit Siwangsang Ilgwal|The Wooden Ksitigarbha Triad and Ten Underworld Kings of Seobong-sa Temple in Daegu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물/불상
지역 대구광역시 남구 명덕로54길 31[이천동 438-7]|경상북도 상주시 지천1길 223-35[지천동 72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병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665년연표보기 - 대구 서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16년 3월 10일연표보기 - 대구 서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29일 - 대구 서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장처 서봉사 - 대구광역시 남구 명덕로54길 31[이천동 438-7]지도보기
원소재지 용흥사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1길 223-35[지천동 722]
성격 불상
재질 목재
크기(높이) 92.6㎝[지장보살좌상]|128.3㎝[무독귀왕입상]|119.0㎝[도명존자입상]
소유자 대구광역시
관리자 서봉사
문화재 지정 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 서봉사 명부전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개설]

대구 서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大邱瑞鳳寺木造地藏菩薩三尊像및十王像一括)은 승일(勝一), 성조(性照), 정륜(淨倫) 등 아홉 명의 조각승이 1665년(현종 6) 3월에 시작하여 5월까지 3개월에 걸쳐 조성한 총 스물아홉 구의 불상이다. 이러한 조각승과 조성 시기에 관한 기록은 지장보살좌상의 대좌에서 조성 기록이 발견되면서 확인되었다. 원래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 722에 있는 용흥사(龍興寺)에 봉안된 것을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 438-7에 있는 서봉사로 이안한 것이다. 2016년 3월 10일에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형태]

대구 서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은 높이 92.6㎝의 지장보살좌상(地藏菩薩坐像) 1구가 가운데 본존이며 오른쪽에 높이 128.3㎝의 무독귀왕입상(無毒鬼王立像) 1구, 왼쪽에 높이 119.0㎝의 도명존자입상(道明尊者立像) 1구가 봉안되어 있다. 삼존의 좌우에는 각각 시왕상, 인왕상(仁王像), 동자상(童子像) 등이 배열되어 있는데, 제1진광대왕의좌상(第一秦廣大王椅坐像) 1구, 제2초강대왕의좌상(第二初江大王椅坐像) 1구, 제3송제대왕의좌상(第三宋帝大王椅坐像) 1구, 제4오관대왕의좌상(第四五官大王椅坐像) 1구, 제5염라대왕의좌상(第五閻羅大王椅坐像) 1구, 제6변성대왕의좌상(第六變成大王椅坐像) 1구, 제7태산대왕의좌상(第七泰山大王椅坐像) 1구, 제8평등대왕의좌상(第八平等大王椅坐像) 1구, 제9도시대왕의좌상(第九都市大王椅坐像) 1구, 제10오도전륜대왕의좌상(第十五道轉輪大王椅坐像) 1구, 귀왕상(鬼王像) 2구[입상], 판관상(判官像) 2구[입상], 사자상(使者像) 2구[입상], 인왕상 2구[입상], 동자상 8구[입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징]

대구 서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을 조성한 조각승 승일은 17세기 중후반에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승일의 작품으로는 17세기 중후반에 조성된 불상 열두 건이 있으며, 그중에서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서울奉恩寺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을 비롯한 일곱 건이 보물과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대구 서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에도 불상의 얼굴 모양이나 입 모양, 세부 표현에서 승일 작품의 특징이 잘 드러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 서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조각승과 조성연대 기록이 남아있고, 작품의 완성도도 뛰어나며, 17세기 후반 경상북도 지역을 무대로 활동한 대표적인 조각승 승일의 작품으로서 학술 연구에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 국가문화유산포탈(http://www.heritag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