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123 |
---|---|
영어공식명칭 | Damtigogae |
이칭/별칭 | 대장현(大墻峴),장현(墻峴),원현(垣峴),담고개,담치고개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이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한승희 |
해당 지역 소재지 | 담티고개 - 대구광역시 수성구 이천동 |
---|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이천동에 있는 고개.
[개설]
대구광역시 수성구 이천동 달구벌대로 위에 있는 고개이다. 담티고개는 대륜중고등학교 동쪽 높은 담장 같은 고개이다. 과거 대구와 경산 간 경계에 위치한 고개이다.
[명칭유래]
최초의 고문헌 기록으로는 『여지도서(輿地圖書)』 내 고지도에 한자어로 장현(墻峴), 즉 담장고개라는 기록이 있다. 1700년대 초 『해동지도(海東地圖)』, 『경주도회좌통지도(慶州都會左通地圖)』, 『비변사인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地圖)』에서 대장현(大墻峴) 또는 장현(墻峴)으로 표기하였으며, 원현(垣峴), 담고개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장현’을 한글로 표현한 것이 ‘담티’인데, ‘담장처럼 높은 고개’라는 뜻이다. 담치라고도 불린다. ‘티’와 ‘치’는 한자어 ‘고개 치(峙)’에서 변형된 것이다.
일설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에 집과 집 사이 담을 트듯이 산을 뚫어 대구에서 경산에 이르는 신작로를 내었다 하는 데서 유래하였다고도 한다. 그런데 이보다 2세기 앞서 기록된 고지도에 이미 장현, 곧 담티라 하였고, 기록 이전에도 이렇게 불렀을 것이므로 납득하기 어려운 설이다. 속설에는 한 노인이 명당을 찾아다니다 이곳에서 담(痰)[가래]이 들어 사망한 것에서 유래하였다고도 한다. 한자가 다를 뿐더러 나쁜 일화에서 유래한 이름을 지명으로 삼았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
[자연환경]
지질 특징으로는 상부대동계 신라층군 대구층으로서 자색 또는 회색 셰일스톤, 암회색 셰일, 사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