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송병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1270
한자 宋炳圭
영어공식명칭 Song Byeonggyu
이칭/별칭 경칠(景七),만회(晩悔),문익공(文益公)
분야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효자·열녀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홍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추모 시기/일시 1914년 4월 - 효자 은진 송공비(孝子恩津宋公碑) 건립
출생지 경상도 대구도호부 - 대구광역시 달성군
사당|배향지 효자 은진 송공비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 318지도보기
성격 효자
성별
본관 은진

[정의]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가계]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경칠(景七), 호는 만회(晩悔)이다.

[활동 사항]

송병규(宋炳圭)는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우면서도 매사에 분명한 사람이었다. 어머니가 병으로 위독하여 거의 죽을 지경이 되자 송병규는 자신의 손가락 끝을 베어 그 피를 수혈하여 다시 되살아나게 하였다. 그런데 삼 일이 지난 후 다시 모친의 목숨이 경각에 이르자 송병규는 재차 자신의 손가락을 베어 그 피를 먹게 하여 삼 년여를 더 살게 하였다. 송병규는 어머니를 여의고 실의에 찬 나날을 보내던 중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어 나라를 잃게 되자 울분을 참지 못하고 죽음으로써 항거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그의 효성과 순절(殉節)을 기리는 정문(旌門)을 세워 세상 사람들에게 사표(師表)로 삼게 하였다. 벼슬은 고종(高宗) 때 경연관(經筵官)을 지냈다.

[상훈과 추모]

1914년 송병규의 효성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석조 비각(碑閣) 효자 은진 송공비(孝子恩津宋公碑)가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 318번지에 있다. 효자 은진 송공비는 높이 103㎝, 폭 35㎝, 두께 17㎝에 비석 몸체의 머리 부분의 양쪽 모서리를 잘라 낸 귀잡이 양식으로, 그 좌우에 보호대를 세우고 상부에 화강암으로 된 옥개석(屋蓋石)을 덮어 놓았다. 앞면에는 「효자 은진 송공비명(孝子恩津宋公碑銘)」과 갑인(甲寅)[1914] 4월의 건비(建碑) 명(銘)이 새겨져 있다. 시호는 문익공(文益公)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