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0708
한자 大邱革新都市
영어공식명칭 Daegu Innovation Town
이칭/별칭 팔공이노밸리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재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7년 4월~2015년 12월 - 대구혁신도시 혁신도시개발예정지구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 4월 - 대구혁신도시 혁신도시 발전방안 수립 제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4년 - 대구혁신도시 부지조성 완료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12월연표보기 - 대구혁신도시 개발사업 준공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일대에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계기로 조성한 미래형 도시.

[개설]

혁신도시란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과 산·학·연·관이 서로 협력하여 최적의 혁신여건과 수준 높은 생활 환경을 갖춘 새로운 차원의 미래형 도시를 말한다. 대구혁신도시 조성은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계기로 수도권 인구분산과 국토 균형개발을 위한 것이다. 21세기형 혁신도시의 비전으로는 산·학·연·관의 연계를 통해 혁신을 창출하는 혁신거점도시, 지역 테마를 가진 개성 있는 특성화 도시, 누구나 살고 싶은 친환경 녹색도시, 학습과 창의적 교류가 가능한 교육·문화도시 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혁신도시는 2017년 기준, 전국에 10개가 조성되어 있다. 부산[영도구, 남구, 해운대구], 대구[동구], 광주전남[나주시], 울산[중구], 강원[원주시], 충북[진천군, 음성군], 전북[전주시, 완주시], 경북[김천시], 경남[진주시], 제주[서귀포]에 혁신도시를 조성하였다. 이를 통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던 각종의 공공기관을 이전하고, 지역의 대학·연구소·산업체·지자체 등이 상호협력하여 지역사회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기반이 되도록 하고 있다. 혁신도시의 조성이 결과적으로 지방분권이나 지역균형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에 대해서는 향후의 추이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구혁신도시[팔공이노밸리]는 2007년부터 2015년까지 LH[한국토지주택공사]를 시행자로 하여 대구시 동구 신서동 일원 422만㎡에 조성되었다. 대구 혁신도시는, 국토 동남권의 지리적 이점과 풍부한 고급인력을 바탕으로 교육·학술기능군을 이전하여 세계적인 교육과 학술산업의 중심도시로 육성된 곳이다. 대구혁신도시는 수준 높은 교육·문화·주거 등 정주환경과 자족기능을 갖춘 복합도시 건설, 첨단의료분야의 연구·개발과 생산이 한 곳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첨단의료복합단지 건설 등을 목적으로 하여 조성되었다. 현재 대구혁신도시는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혁신성과 역동성을 갖춘 미래도시이다. 대구혁신도시는 개성있고 특색있는 모습의 색깔 있는 도시(Colorful City), 우수한 생태환경을 지닌 도시(Eco City), 교육과 학술을 진흥하는 도시(Edu City), 첨단의료복합 중심도시(Medi City)를 지향하고 있다. 또한 이전된 공공기관과 지역의 대학·연구소·산업체·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지역사회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공간구성]

대구혁신도시는 테마회된 4개 지구를 축으로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1지구는 ‘신산업지구’로 의료기기 신약생산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다. 2지구는 ‘도시형 복합지구’로 교육학습 및 비즈니스 클러스터로 되어 있다. 3지구는 ‘첨단의료 혁신지구’로 이전공공기관·중심상업지구·중앙공원·첨단의료복합클러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4지구는 ‘친환경 주거지구’로 공동·단독주택이 주로 있다. 이러한 공간·입지 구성을 통해 산·학·연·관의 기능별 클러스터 구축으로 개성적인 지구형태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혁신도시의 지리적 요충지에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도시 전체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대구혁신도시에 이전하기로 한 공공기관은 당초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2005. 6. 24]에서는 12개였으나, 중앙119구조대가 개별이전 대상기관으로 분류되면서[중앙119구조본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으로 이전] 2015년, 11개 공공기관이 이전대상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이들 중 한국장학재단은 서울시 서초구에서 2015년 11월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으로 이전되어 현재 혁신도시 내 이전공공기관은 10개이다. 10개 기관을 분류하면 정부소속기관 2개[중앙신체검사소, 중앙교육연수원], 공기업 2개[한국감정원, 한국가스공사], 준정부기관 5개[신용보증기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기타 공공기관 1개[한국사학진흥재단] 이다.

한편 대구혁신도시에는 2015년까지 6,857호의 공동주택이 LH와 민간에 의해 시행되어 공급되었다. 혁신도시 내에는 2017년 기준 유치원 3개소, 초등학교 2개소, 중학교 1개소, 고등학교 1개소 등 7개교가 설립되어 있다.

[추진경과]

대구혁신도시는 2007년 4월, 개발예정지구 및 사업자 지정이 이루어진 이후 2007년 9월까지 개발계획[2007년 5월 30일]과 실시계획[2007년 9월 5일]을 승인받았다. 그리고 2007년 9월 1공구를 시작으로 2009년 1월까지 3개 공구가 모두 착공되었고, 2009년 10월부터 혁신도시 진입도로가 순차적으로 착공되었다. 2008년 5월에는 대구경북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었고, 2009년 8월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지 선정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2009년 12월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고시 및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지에 따른 개발계획이 변경승인 되었다. 2011년 1월, 1지구 108만 7000㎡의 부지가 대구 연구개발특구[의료R&D지구]로 지정·고시 되었다.

2011년 중앙신체검사소 착공을 시작으로 이전, 공공기관 착공, 입주 등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2015년 12월 준공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10.05 현행화 [공간구성]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