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101 |
---|---|
한자 | 杜思忠- 大明洞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석배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2년 - 「두사충과 대명동」 『한국구비문학』Ⅱ에 수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9년 - 「두사충과 대명동」 『대구지명유래총람』에 수록 |
관련 지명 | 대명동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
관련 지명 | 모명재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525길 14-21[만촌동 715-1] |
성격 | 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두사충 |
모티프 유형 | 지명 유래담 |
[정의]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과 귀화 장군인 두사충에 관하여 전하여 오는 이야기.
[개설]
「두사충과 대명동」은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大明洞)의 지명 유래와 중국 귀화 장군인 두사충(杜師忠)에 관하여 전하여 오는 이야기이다. 조선 시대 귀화 장군인 두사충이 지금의 대명동에 터를 잡고 동네 이름을 ‘대명동’이라 하였다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두사충과 대명동」은 2002년에 펴낸 『한국구비문학』Ⅱ과 대구광역시에서 펴낸 『대구지명유래총람』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은 중국인 두사충과 관련된 지명이다. 두사충은 중국 두릉(杜陵)[두링] 출신인데, 임진왜란(壬辰倭亂)[1592]과 정유재란(丁酉再亂)[1597] 때 우리나라를 돕기 위하여 왔다가 귀국하지 않고 귀화한 장군이다. 두사충은 이여송(李如松)[?~1598]의 일급 참모로서 큰 전공을 세웠다. 특히 이순신(李舜臣)[1545~1598]과 두사충이 각별하였는데, 이순신이 두사충을 위하여 “북거동감고(北去同甘苦) 동래공사생(東來共死生) 성남타야월(城南他夜月) 금일일배정(今日一盃情)[북으로 가면 고락을 같이하고 동으로 오면 죽고 사는 것을 함께하네 성 남쪽 타향의 밝은 달 아래 오늘 한 잔 술로써 정을 나누세]”라는 한시를 읊기도 하였다. 두사충이 귀화하자 조정에서는 두사충의 전공을 인정하여 지금의 경상감영공원(慶尙監營公園) 자리를 주어 살게 하였다. 두사충은 경상감영(慶尙監營)이 자신이 살던 곳으로 옮겨 오자 땅을 모두 내놓고 지금의 계산동(桂山洞)으로 옮겼다. 그러나 고향에 두고 온 부인과 형제들이 그리운 나머지 최정산(最頂山)[지금의 대덕산(大德山)] 밑으로 집을 옮기고 고국인 명나라를 생각하는 뜻에서 동네 이름을 ‘대명동’이라고 붙이고, 단을 쌓아 매월 초하루에 고국의 천자에게 배례를 올렸다고 한다. 그 후 두사충이 세상을 떠나자 자손들이 묘를 두사충이 자신의 묘지 터로 잡아 둔 고산(孤山)의 명당에 쓰지 못하고 형제봉 기슭에 썼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두사충과 대명동」은 지명 유래담을 주요 모티프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