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324 |
---|---|
한자 | 俞拓基 |
영어공식명칭 | Yoo Cheokki |
이칭/별칭 | 전보(展甫),지수재(知守齋),미음(渼陰),문익(文翼)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병호 |
출생 시기/일시 | 1691년 - 유척기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714년 - 유척기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721년 - 유척기 신임사화에 연루되어 유배 |
활동 시기/일시 | 1726년 - 유척기 경상도관찰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727년 - 유척기 경상도관찰사 파직 |
활동 시기/일시 | 1730년 - 유척기 강화유수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733년 - 유척기 황해도관찰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737년 - 유척기 경상도관찰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739년 - 유척기 우의정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758년 - 유척기 영의정 역임 |
몰년 시기/일시 | 1767년 - 유척기 사망 |
출생지 | 한성 - 서울특별시 |
거주|이주지 | 한성 - 서울특별시 |
수학지 | 한성 - 서울특별시 |
부임|활동지 | 경상감영 -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 |
유배|이배지 |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
묘소|단소 | 유척기 묘소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산140 |
성격 | 문관 |
성별 | 남성 |
본관 | 기계(杞溪) |
대표 관직 | 경상도관찰사|영의정 |
[정의]
조선 후기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한 문관.
[가계]
유척기(俞拓基)[1691~1767]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전보(展甫), 호는 지수재(知守齋) 또는 미음(渼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조참의 유성증(兪省曾)이고, 할아버지는 대사헌 유철이다. 아버지는 청주목사 유명악(兪命岳)이고, 어머니는 이두악(李斗岳)의 딸 용인이씨(龍仁李氏)이다. 부인은 신사원(申思遠)의 딸 평산신씨(平山申氏)이며, 슬하에 4남 4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유척기는 1691년(숙종 17) 한성[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한죽당(寒竹堂) 신임(申銋)[1639~1725]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714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며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검열을 거쳐 정언·수찬·이조정랑·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소론의 언관 이거원(李巨源)의 탄핵을 받고 동래(東萊)에 안치되었다. 1726년(영조 2)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였으나, 1727년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파직되었다.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 양주목사를 거쳐 분무공신(奮武功臣)에 녹훈되었다. 1730년 강화유수가 되었고, 1733년 황해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유척기는 1737년 다시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1738년에 안동 청음(淸陰)의 서원 건립을 허락한 일로 파직되었으나 얼마 뒤 호조판서에 등용되었다. 1739년 우의정에 오르자 신임사화 때 세자 책봉 문제로 연좌되어 죽은 김창집(金昌集)·이이명(李頤命) 두 대신의 복관(復官)을 건의하여 신원시켰다. 그러나 신임사화의 중심인물인 유봉휘(柳鳳輝)·조태구(趙泰耉) 등의 죄를 공정히 다스릴 것을 주청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사직하였다. 1741년 경상도관찰사 재임 시에 유생들이 서원을 세운 일로 파직되어 판중추부사가 된 이후 관직을 사양하고 맡지 않았다. 1749년 모친상을 치른 뒤 도제조 등을 역임하다가 1758년 영의정에 올랐다. 1767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유척기의 저술로는 『지수재집(知守齋集)』, 15권 8책이 있다. 글씨에도 뛰어나 경주의 「신라시조왕비(新羅始祖王碑)」, 청주의 「만동묘비(萬東廟碑)」가 남아 전한다.
[묘소]
유척기의 묘소는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산140에 있다.
[상훈과 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