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850 |
---|---|
한자 | 海東輿地圖 河陽地圖 |
영어공식명칭 | Map of Hayang in Hadongyeojido |
분야 |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류명환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8년 12월 22일 - 『해동여지도』 보물 제1593호로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6월 29일 - 『해동여지도』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소장처 |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
성격 | 지도 |
권책 | 3책 |
규격 | 34.0×22.3㎝ |
문화재 지정 번호 | 보물[『해동여지도』] |
조선 후기에 제작된 『해동여지도』에 수록된 경상도 하양현의 지도.
『해동여지도(海東輿地圖)』 「하양지도(河陽地圖)」 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해동여지도』[古貴2107-36] 제1책에 신녕현과 같은 지면에 수록되어 있다. 「하양지도」는 한 지면에 하양현와 신녕현 두 개의 군현을 함께 그렸기 때문에 1개의 군현을 1장의 지도에 묘사하던 영조대 제작된 20리 방안지도를 정조 연간에 편집하여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동여지도』 「하양지도」 의 크기는 세로 34.0㎝, 가로 22.3㎝이며, 세로 3칸, 가로 3칸의 방안에 그려져 있다. 광곽(匡郭)의 크기는 세로 25.0㎝, 가로 17.0㎝이며, 방안 외곽에는 동98~100, 남27~28의 수치가 기재되어 있다.
『해동여지도』 「하양지도」 에서 읍치는 적색의 원형 기호로 표시되어 있다. 방리는 현재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지역인 마양면·북면, 경산시 와촌면 지역인 와촌면, 경산시 진량읍 지역인 낙산면·중림면, 대구광역시 동구에 편입된 안심면이 표기되어 있다. 이 외에 동쪽 영천 경계에 소당리·걸삼리, 서쪽 대구 경계에 우암리 등도 기록되어 있다.
산줄기는 ‘∧’ 모양으로 중첩되게 그렸다. 읍치 서쪽에는 진산인 무락산이 있고, 서쪽에는 경산 성산봉수의 신호를 받는 시산봉(匙山烽)이 기호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영천·신녕과 경계를 이루는 북쪽에는 공산, 자인과 경계를 이루는 남쪽에는 금박산·외적산이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 독립된 봉우리로 초례산, 별방산이 그려져 있다.
하천은 두 줄의 실선을 사용하여 청색으로 채색하였는데, 오늘날의 금호강이 읍치 남쪽을 흐르며 공산에서 흘러오는 지류들을 합류한다. 역참은 화양역이 기록되어 있고, 서원은 허조(許稠)[1369~1439]를 배향한 금호서원이 읍치 서쪽에 표기되어 있다. 읍치 북서쪽에는 신녕현의 월경지(越境地)인 이지현(梨旨縣)이 ‘이지음곡(利旨音谷)’으로 기재되어 있다.
『해동여지도』는 동일한 크기의 지도에 20리 방안의 간격을 조절하여 각 군현이 두 지면을 넘지 않게 제작되었다. 『조선지도(朝鮮地圖)』 계통의 지도이지만, 20리 방안에 수치가 기재되어 있는 점과 도로망이 그려져 있지 않은 점 등에서 차이가 난다. 『해동여지도』는 20리 방안식 군현지도가 『청구도(靑邱圖)』·『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 19세기 대축척 조선전도로 발전하는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지도로 조선 후기 지도 발달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료이다. 『해동여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3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해동여지도』 「하양지도」 는 당시 하양 지역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