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꽝철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949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집필자 박유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61년 8월 - 「꽝철이」 유증선이 전병만에게서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71년 - 「꽝철이」 유증선이 발간한 『영남의 전설』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1년 - 「꽝철이」 『내 고장 전통문화』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1년 - 「꽝철이」 『청도 군지』에 수록
관련 지명 대비사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794지도보기
관련 지명 대비사골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지도보기
채록지 안인동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면 안인동
성격 설화|전설|용 전설
주요 등장 인물 주지|상좌|꽝철이
모티프 유형 등천(登天)의 실패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전해 내려오는 꽝철이에 대한 이야기.

[개설]

「꽝철이」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대비사(大悲寺)에 전해지는 용이 되지 못한 이무기 꽝철이에 대한 전설이다.

[채록/수집 상황]

유증선이 전병만[65세, 남,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면 안인동]에게 채록하여 1971년 발간한 『영남의 전설』에 수록하였다. 또한 청도군에서 1981년에 발간한 『내 고장 전통문화』와 1991년에 발간한 『청도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꽝철이’는 용이 되지 못한 이무기를 말하는데, 지역에 따라 강처리, 깡처리, 깡철이라고도 부른다.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자리한 대비사에도 꽝철이에 얽힌 이야기가 전한다.

호거산 북편 대비사골에 위치한 대비사에는 상좌(上佐)가 한 사람 살았다. 어느 해 가뭄으로 온 마을 주민들이 고충을 겪고 있을 때 대비사도 마찬가지로 어려움에 처하였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이 상좌가 가꾸는 채소밭만은 가뭄이 들지 않았다. 주지는 상좌의 밭에 있는 채소들만 시들지 않은 것이 이상하여 상좌를 의심하였다. 그런데다 매일 밤 상좌 중에 슬며시 절을 나가는 것도 이상하였다.

상좌가 밤마다 향하는 곳은 운문사 계곡 깊은 곳이었다. 상좌는 용이 되어 승천할 날만을 기다리며 계곡 안쪽에 큰 못을 만들고 있었다. 어느 날 밤 상좌가 절을 빠져나가자 주지가 몰래 뒤를 밟았다. 한참을 따라가다 보니, 상좌가 막 용으로 변하고 있었다. 주지는 깜짝 놀라 저도 모르게 헛기침을 하였다. 그 순간 승천하려던 용은 사람의 인기척에 그만 하늘로 올라가지 못하고 꽝철이가 되고 말았다.

꽝철이가 된 상좌는 오랫동안 고대하던 일이 무산이 되자 원통하고 화가 치밀어 꼬리로 바위들을 세게 내리쳐서 깨버렸다. 이것이 대비사 뒤쪽 호거산 봉우리 사이에 깨져 있는 듯한 형상의 ‘깨진 바위’이다. 심통을 실컷 부리고 난 뒤 꽝철이는 운문산 능선을 넘어 경상북도 밀양시 산내면으로 달아났다. 이때 꽝철이가 새로 터를 잡은 곳이 ‘시례 호박소[실이 호박소]’라고 전한다.

이후 사람들은 가뭄이 들면 시례 호박소에서 꽝철이를 쫓기 위한 기우제를 올렸다. 꽝철이가 대대로 불을 일으켜서 가뭄을 관장하는 도깨비였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화가 난 꽝철이가 불을 내뿜고 다녀 가뭄이 든다고 믿었다. 그래서 ‘꽝철이의 가을’이라고 하면 ‘흉년’을 뜻하였고, ‘꽝철이가 가는데 가을도 봄 같다.’라고 하면 그해 농사가 모내기 전으로 돌아갔다는 의미로 흉년이 된 것이라고 하였다.

한편 상좌가 승천하기 위해 만든 못 근처에 있는 마을은 ‘못골’이라 하였다. 지금의 대비사골에서 호거산 능선을 너머에 위치한 마을이다.

[모티프 분석]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대비사와 관련해 전해 오는 「꽝철이」는 ‘등천의 불발’이라는 모티프를 통해 용이 되지 못하고 ‘시례 호박소[실이 호박소]’에 살게 된 이무기의 내력을 소개하고 있다. 대비사 근처에 똑바로 선 바위가 없다는 것을 증거물로 제시하여 진실성을 부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영** 영천 지방에서 고스톱 화투패를 고민 하다 방 바닥에 던져 칠때 "에따 모르겠다 용 아니면 꽝철이지 뭐" 하고 흔히들 소리 지릅니다(크게 잘 되거나 완전히 망해 피박 덮어 쓴다). 그리고 가뭄이 계속되면 근처에 꽝철이가 있기 떄문 이라며, 꽝철이를 다른 곳으로 보내기 위해 동네 사람들이 산에 가서 북과 징을 치던 기억이 납니다(1960년대 이전). 2017.05.12
영** 1982년 7월 저녁 9시경 저의 부부와 인근 마을 사람들이 목격했습니다
전방 약 500미터 산 너머에서 하늘을 나는 길이 약 3미터 의 독수리 같은새가 전체에 불이 타면서 비행하는 모습으로 뒤산 너머로 날아갔습니다
분명히 큰 독수리가 평행으로 방향을 약간 틀기도 하며 날아가는 모습으로 속도는 매우 빨랐습니다 이튼날 인근 주민들의 목격담도 있었음
2017.05.12
구** 저도 1977년 여름에 가뭄이 약간 심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붉은 빛깔의 불덩어리가 마치 쥐불놀이 하는것처럼 하늘을 날아다니는 것을 동네 어귀에서 친구들과 본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그전에 어른들로부터 꽝철이에 대해 가물때 나타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어 저것이 꽝철이인가 보다 생각했던 적이 있습니다
  • 답변
  • 디지털청도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16.08.14
자***** 위 기사의 얘기로는 전설이지만 실제 이런 현상이 있다는 것입니다. 당시 얘기나 우리 어머님 말씀으로는 꽝철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전설처럼 용이 되려다 되지 못한 이무기라는 것은 똑같네요. 신기한 자연현상인지... 2016.04.18
자***** 모두 세 사람이 같이 보았는데 이튿날 나무가지에는 아무런 흔적이 없었습니다. 분명히 불덩어리처럼 번쩍번쩍했는데 정말 신기했지만 후에 이런 얘기를 해도 남들은 별로 귀담아 듣지 않더군요. 2016.04.18
자***** 제가 1964년 여름에 시골에서 소위 꽝철이라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적어도 어른들 말씀엔 제가 본 것을 그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저녁 으스름이 들기 직전무렵에 눈앞 2미터 정도 떨어진 자작나무 가지 사이에 아이들이 갖고 노는 붉은 야광공과 똑같은 모습이 축구공만한 것이 날아왔다 사라지는 듯한 모습이랄까 아니면 갑자기 나타났다가 사라졌다라는 표현이 맞을지 2016.04.1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